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1:53:21

걸프 아랍인

셈족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 딜문(추정)*†
북서셈족(서북셈족) 히브리인( 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 우가리트†) | 칼데아인† | 힉소스(추정)†
남서셈족
(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 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 몰타인) | 레반트 아랍인(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예멘인( 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 예멘 흑인( 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 바까라족)) | 무어인( 하라틴인)
남셈족 사바인(추정)**†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마간(추정)**†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 동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 남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독립국
비아랍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독립국
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해당 지리적 인종 서아시아인 | 아프리카인 | 북아프리카인 | 유럽인
언어 및 문화
언어 셈어파
사상 범셈족주의 | 아랍 내셔널리즘( 범아랍주의) | 시오니즘
신화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서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아랍인 페르시아인 튀르키예인 투르코만( 이라크 투르크멘, 시리아 투르크멘) 쿠르드인
이란인 자자인 길란인 발루치인 페르시아 유대인
루르인 사마리아인 카슈카이인 아시리아인 시리아인
베두인 걸프 아랍인 오만인 사우디인 레바논인
예멘인 요르단인 이라크인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인
아랍 흑인 이란 흑인 야지디족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호라산 튀르크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아제르바이잔계 이란인 방글라데시계 중동인 이스라엘 아랍인 하드라미인
아크담족 소코트라인 히자즈인 아르메니아계 중동인 미즈라힘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 개요2. 상세3. 현황4. 오해
4.1. 걸프 아랍인들은 비현대적이다
5. 출신 인물
5.1. 남성5.2. 여성

1. 개요

아라비아 만 부근인 넓은 의미(역사적 의미)의 바레인[1]에 거주하는 아랍인을 의미한다. 아랍어로는 칼리지(خليجي, Khaliji)라고 한다. 이란에 살고 있는 아랍인 중 후제스탄이 아닌 호르무즈 해협에 살고 있는 아랍인도 언어, 문화적 특성으로 걸프 아랍인으로 분류된다.

2. 상세

문화가 사우디인과 유사하지만 언어는 걸프 아랍어(Gulf Arabic)를 사용한다.

남성의 쿠파예와 토브의 색상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비해서 더 하얗고 여성은 나즈드 아랍인과 달리 Batula라는 금속 마스크를 쓰거나 니캅을 더 철저히 쓰는 경향이 있다. 바다와 접한 지역이여서 요리에 해산물이 많이 들어간다.

고대부터 내륙의 베두인 아랍인과 달리 해양지향적이었는데 딜문이 존재했으며 아시리아, 페르시아의 지배 혹은 간섭을 받던 지역이었고[2] 라흠 왕국을 건설하기도 했지만 이슬람화 이후 별 다른 역사가 없었다. 그러나 20세기 초에 석유가 발견되면서 걸프 아랍인들은 오일 머니로 벼락 부자가 되었고 그들은 아부다비, 두바이, 도하, 마나마, 무하라크, 쿠웨이트 시티 같은 부유한 도시들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바레인의 바레인인(Bahraini), 쿠웨이트의 쿠웨이트인(kuwaiti)은 이란인과 혼혈되기도 했다. 물론 현대에도 지참금 문제 때문에 외국인들과 결혼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때문에 노처녀들이 많아지다 보니 외국인과의 결혼을 제한하는 나라들도 있다.

3. 현황

사우디아라비아의 영향으로 와하브파를 수용하고 있지만 이전부터 말리키파, 시아파의 영향이 있었기 때문에 이들이 사는 나라들은 사우디아라비아와 달리 신정(神政) 국가가 아닌 세속 국가다. 걸프 아랍인들은 타종교와 외국인의 문화에 관대하고 그들을 위한 시설을 분리된 구역에 건설할 정도다.[3]

그렇지만 이주노동자들의 처지는 열악한 경우가 다반사로 한국이나 유럽에서 온 기술자나 고학력자들은 우대되지만 이집트나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예멘 등과 같이 가난한 나라에서 온 건설노동자나 가정부는 돈도 빽도 없고 시민권자도 아니기 때문에 문제제기를 하기 힘들어서 노예에 비견될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서 노동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이 때문에 사고로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게다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학대, 차별이 심각하여 자본주의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고 있다.

4. 오해

4.1. 걸프 아랍인들은 비현대적이다

파일:emiratis.jpg 파일:KuwatiWomen.jpg
대중들이 흔히 생각하는 걸프 아랍인 이미지 현대화된 쿠웨이트 여성들
걸프 왕정 국가들이 오일머니에만 의존하는 개발도상국이라는 이미지가 있고 히잡, 아바야, 쿠피야, 사울을 입는 걸프 아랍인들만 대중매체에 등장하고 있다. 게다가 자국민의 인구가 적어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 노동자가 절반 이상인데 이는 걸프 아랍인이 "돈만 많고 노예제에 의존하는 신기한 사람들"이라는 오리엔탈리즘적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있다.[4]

사회보수주의가 심했던 1990년대까지는 실제로 그런 경향이 있었지만 2000년대부터는 인터넷, SNS의 발달로 서양, 현대 동아시아 문화가 젋은이들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아랍 전통 문화를 준수하는 걸프 아랍인은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후로 서양, 동아시아 대중매체에서는 이런 모습을 보기 어려운데 이유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적극적으로 자국을 이슬람 국가로 보이도록 로비를 벌이기 때문이다. 이런 영향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근접한 걸프 왕정 국가에 대한 묘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당시 서양, 동아시아인들도 2000년대 말까지 아랍, 무슬림이라고 하면 현대적인 모습이 아닌 전근대적인 모습으로 상상해 왔기 때문에 이에 어긋나는 모습을 외면한 탓이 크다.

5. 출신 인물

※ 영내 이민자들은 포함되지 않음

5.1. 남성

5.2. 여성



[1] 오늘날의 바레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해안,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이라크 남부, 오만 북부까지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다. 마그레브를 말할 때 모로코(마그리브 왕국)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북아프리카에서 이집트를 제외한 지역으로 의미하는 것과 비슷하다. [2] 지금도 일부 방언에 아카드어, 아람어의 영향이 있을 정도다. [3] 오일머니로 중상류층이 된 걸프 아랍인들은 내부적으로는 이슬람주의적이기 때문에 전통 의상을 아직도 입으며 샤리아를 준수하고 있다. [4] 한국에서는 무슬림을 혐오해도 걸프 아랍인에 대해선 호의적인데 그 이유는 한국 사회의 인종주의가 GDP 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을 서양인, 동아시아인과 같은 사람으로 보는 것은 아니며 오리엔탈리즘적 사고방식으로 그들을 신기하게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