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8837>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ef7e20 21%, #ef7e20); font-size: 1em;" ]]
중구 |
동구 |
서구 |
남구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0062aa 21%, #0062aa); font-size: 1em;" ]]
북구
|
수성구 |
달서구 |
||||||||||||||||||
자치군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달성군 |
군위군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9631>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FF9631><colcolor=#fff> 동인동 |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10%, #FF9631 10%, #FF9631); font-size: 1em;" ]]
동인동1가 | [[중구청(대구)|구청 ]]
동인동2가 |
동인동3가 |
동인동4가
|
||
삼덕동 | 삼덕동1가 | 삼덕동2가 | 삼덕동3가 | ||
성내1동 | 공평동 | 교동 | 남일동 일부 | 덕산동 일부 | 동성로1가 | 동성로2가 | 동성로3가 일부 | 동문동 | 문화동 | 봉산동 | 북성로1가 | 사일동 | 상덕동 | 완전동 | 용덕동 | 태평로1가 | 포정동 일부 | 화전동 일부 | ||
성내2동 | 계산동1가 | 계산동2가 | 남성로 | 남일동 일부 | 대안동 | 덕산동 일부 | 동산동 일부 | 동성로3가 일부 | 동일동 | 북내동 | 북성로1가 | 북성로2가 | 상서동 | 서내동 | 서문로1가 | 서성로1가 일부 | 서성로2가 | 수동 | 수창동 일부 | 장관동 | 전동 | 종로1가 | 종로2가 | 태평로2가 | 태평로3가 | 포정동 일부 | 하서동 | 향촌동 | 화전동 일부 | ||
성내3동 | 달성동 | 도원동 | 동산동 일부 | 서문로2가 | 서성로1가 일부 | 서야동 | 수창동 일부 | 시장북로 일부 | 인교동 | 태평로3가 일부 | ||
대신동 | 대신동 | 시장북로 일부 | ||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
남산동 | ||
대봉1동 대봉2동 |
대봉동 |
대구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중구
中區 Jung-gu |
}}} | |||
<colbgcolor=#ef7e20> 구청 소재지 | 국채보상로139길 1 ( 동인동2가) |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12 동[1] | |||||
면적 | 7.06㎢[2] | |||||
인구 | 96,757명[3] | |||||
인구밀도 | 13,704.96명/㎢[4] | |||||
구청장 |
|
류규하 (재선) | ||||
구의회 |
|
5석[5] | ||||
|
1석[6] | |||||
|
1석[7] | |||||
시의원 |
|
2석[8] | ||||
국회의원 |
|
김기웅 (초선) | ||||
상징 | <colbgcolor=#ef7e20> 구화 | 백일홍 | ||||
구목 | 느티나무 | |||||
구조 | 백로 | |||||
구가 | 중구의 노래 | |||||
지역전화 | 053 | |||||
| | | | | |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한 자치구. 남구와 함께 대구의 도심 역할을 한다.대구광역시에서 인구는 군위군 다음으로 가장 적지만, 면적이 가장 좁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가장 높다.
동쪽으로는 수성구, 동북쪽으로는 동구, 북쪽으로는 북구, 서쪽으로는 서구, 남서쪽으로는 달서구, 남쪽으로는 남구와 접한다. 다시 말해 대구의 모든 자치구와 접한다.[9] 그야말로 대구의 중심.[10]
중구는 사통팔달 대구광역시 도심교통 1급지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대다수가 중구를 경유하고 대구 도시철도의 모든 노선의 환승역이 중구 소재다.[11]
2. 역사
중구 행정구역 변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ef7e20> 일자 | 舊 대구부 지역 | 남산동 | 대봉동 | |||
<colcolor=#ef7e20> 1896. 8. 4. |
대구군 동상면 (大邱郡 東上面) |
대구군 서상면 (大邱郡 西上面) |
대구군 서상면 남산동 (大邱郡 西上面 南山洞) |
대구군 하수서면 대명동1 (大邱郡 下守西面 大明洞) |
대구군 동상면 (大邱郡 東上面) |
||
1910. 10. 1. |
대구부 동상면 (大邱府 東上面) |
대구부 서상면 (大邱府 西上面) |
대구부 서상면 남산동 (大邱府 西上面 南山洞) |
대구부 하수서면 대명동 (大邱府 下守西面 大明洞) |
대구부 동상면 (大邱府 東上面) |
||
1911. 11. 14. |
대구부 대구면 (大邱府 大邱面) |
대구부 대구면 남산정 (大邱府 大邱面 南山町) |
대구부 대구면 (大邱府 大邱面) |
||||
1914. 3. 1. |
대구부 (大邱府) |
대구부 남산정 (大邱府 南山町) |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 (達城郡 壽城面 大明洞) |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 (達城郡 壽城面 大明洞) |
달성군 수성면 봉덕동 (達城郡 壽城面 鳳德洞) |
||
1917. 4. 1. |
대구부 대봉정 (大邱府 大鳳町) |
||||||
1938. 11. 2. |
대구부 동부출장소 대명동 (大邱府 東部出張所 大明洞) |
||||||
1947. 4. 1. | (일본식 지명 개칭)[상세] |
대구부 남산동 (大邱府 南山洞) |
대구부 대봉동 (大邱府 大鳳洞) |
||||
1949. 8. 15. |
부 → 시 개칭 (府 → 市) |
||||||
1951. 6. 9. |
대구시 (大邱市) |
대구시 남부출장소 남산동 (大邱市 南部出張所 南山洞) |
대구시 남부출장소 대명동 (大邱市 南部出張所 大明洞) |
대구시 남부출장소 대봉동 (大邱市 南部出張所 大鳳洞) |
|||
1953. 4. 1. |
대구시 종로출장소 (大邱市 鍾路出張所) |
대구시 중부출장소 (大邱市 中部出張所) |
|||||
1963. 1. 1. |
대구시 중구 (大邱市 中區) |
대구시 남구 (大邱市 南區) |
|||||
남산동 (南山洞) |
대명동 (大明洞) |
대봉동 (大鳳洞) |
|||||
1980. 4. 1. |
대구시 중구 (大邱市 中區) |
대구시 중구 (大邱市 中區) |
|||||
남산동 (南山洞) |
대봉동 (大鳳洞) |
||||||
1981. 7. 1. |
대구직할시 중구 (大邱直轄市 中區) |
||||||
1995. 1. 1. |
대구광역시 중구 (大邱廣域市 中區) |
||||||
1: 현재의 행정동 남산4동 대부분과 3동 일부분, 남문로 서편의 남산1동 일대. | }}}}}}}}} |
구 대구부 지역이 그 모체이며 원칙적으로는 이곳만 '대구'다. 1953년, 이전까지 시 직할이었던 도심지역에 중부출장소와 종로출장소를 설치, 1963년 구제가 실시되고, 두 출장소를 통합하여 중구로 승격되었다. 그 후 1980년 남구의 남산동과 대봉동 북부[13]를 편입하였다.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하고 1988년 지방자치법이 개정됨에 따라 자치구가 되어 지금에 이른다.
3. 인구
대구광역시 중구 인구 추이 (1970년~현재) |
1963년 1월 1일 대구시 종로출장소 + 중부출장소 → 대구시 중구 승격 |
1970년 148,691명
|
1975년 137,848명
|
1980년 4월 1일 남구 남산동 전역·대명4,6동(현.남산3,4동)·대봉1동 전역·대봉3동 일부(현.대봉2동) 편입 |
1980년 218,366명
|
1985년 182,808명
|
1990년 152,613명
|
1995년 114,759명
|
2000년 91,880명
|
2005년 80,081명
|
2010년 77,857명
|
2015년 80,928명
|
2020년 76,547명
|
2024년 11월 96,75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남산4동 16,504명
|
동인동 8,321명
|
|
성내3동 8,237명
|
|
대봉1동 7,821명
|
|
대신동 7,484명
|
|
남산2동 7,274명
|
|
삼덕동 6,556명
|
|
남산3동 6,231명
|
|
성내2동 5,086명
|
|
성내1동 4,885명
|
|
대봉2동 4,694명
|
|
남산1동 4,294명
|
대구의 구도심 지역이라 도심 공동화로 인구가 계속 줄어왔다. 그러나 대구 도심지에 대규모 재개발, 재건축 사업이 몰리면서 2023년부터 인구가 증가세로 반전됐다. 2010년대 시행한 대구 재개발, 재건축 입주 연도가 2023년부터 몰리기 시작한 것이다. 2025년이 되면 대규모 주상복합 아파트 입주로 인해 인구가 10만 명을 넘어설 예정이다. 앞으로 재개발, 재건축을 더 활발하게 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대구 중구 인구 규모도 20만 명까지는 무리여도 15만 명 선까지는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 행정동별 인구추이 #===
동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동인동1가 + 동인동2가 →동인1·2가동 동인동3가 → 동인3가동 동인동4가 → 동인4가동 |
1966년 38,394명(동인1·2가동 11,232명 + 동인3가동 13,766명 + 동인4가동 13,396명)
|
1970년 33,858명(동인1·2가동 9,350명 + 동인3가동 12,446명 + 동인4가동 12,062명)
|
1975년 31,563명(동인1·2가동 9,477명 + 동인3가동 11,240명 + 동인4가동 10,846명)
|
1980년 29,647명(동인1·2가동 7,993명 + 동인3가동 11,307명 + 동인4가동 10,347명)
|
1985년 24,828명(동인1·2가동 6,317명 + 동인3가동 9,116명 + 동인4가동 9,395명)
|
1990년 19,315명(동인1·2가동 4,761명 + 동인3가동 7,611명 + 동인4가동 6,943명)
|
1995년 13,884명(동인1·2가동 2,811명 + 동인3가동 5,992명 + 동인4가동 5,081명)
|
1998년 9월 14일 동인1·2가동 + 동인4가동 → 동인1·2·4가동 합동 |
2000년 11,837명(동인1·2·4가동 6,854명 + 동인3가동 4,983명)
|
2005년 10,670명(동인1·2·4가동 5,738명 + 동인3가동 4,932명)
|
2010년 10,989명(동인1·2·4가동 6,267명 + 동인3가동 4,722명)
|
2011년 7월 4일 동인1·2·4가동 + 동인3가동 → 동인동 합동 |
2015년 10,633명
|
2020년 8,525명
|
2024년 11월 9,91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삼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삼덕동1가 + 삼덕동2가 →삼덕1·2가동 삼덕동3가 → 삼덕3가동 |
1966년 19,715명(삼덕1·2가동 9,597명 + 삼덕3가동 10,118명)
|
1970년 18,494명(삼덕1·2가동 8,465명 + 삼덕3가동 10,029명)
|
1975년 16,599명(삼덕1·2가동 8,052명 + 삼덕3가동 8,547명)
|
1980년 15,209명(삼덕1·2가동 7,426명 + 삼덕3가동 7,783명)
|
1985년 12,749명(삼덕1·2가동 5,793명 + 삼덕3가동 6,956명)
|
1990년 10,708명(삼덕1·2가동 4,690명 + 삼덕3가동 6,018명)
|
1995년 7,510명(삼덕1·2가동 2,889명 + 삼덕3가동 4,621명)
|
1998년 9월 14일 삼덕1·2가동 + 삼덕3가동 → 삼덕동 합동 |
2000년 5,349명
|
2005년 5,922명
|
2010년 4,654명
|
2015년 6,784명
|
2020년 6,736명
|
2024년 11월 7,05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성내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중구 일부[14] →동성동 봉산동(법정동) → 봉산동(행정동) |
1966년 32,758명(봉산동 17,831명 + 동성동 14,927명)
|
1970년 7월 1일 봉산동 → 봉산1동, 봉산2동 분동 |
1970년 28,625명(봉산1동 7,762명 + 봉산2동 8,617명 + 동성동 12,246명)
|
1975년 10월 1일 봉산1동, 봉산2동 → 봉산동 합동 |
1975년 22,377명(봉산동 10,695명 + 동성동 11,682명)
|
1980년
4월 1일 종로동 말소 사일동, 남일동, 동일동, 동성로3가 → 동성동 편입 |
1980년 20,089명(봉산동 9,418명 + 동성동 10,671명)
|
1985년 15,032명(봉산동 7,268명 + 동성동 7,764명)
|
1990년 12,484명(봉산동 6,175명 + 동성동 6,309명)
|
1995년 6,661명(봉산동 3,699명 + 동성동 2,962명)
|
1998년 9월 14일 봉산동 + 동성동 → 성내1동 합동 |
2000년 4,833명
|
2005년 3,591명
|
2010년 4,636명
|
2015년 4,708명
|
2020년 5,075명
|
2024년 11월 4,77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성내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중구 일부[15] →남성동 중구 일부[16] → 북성동 |
1966년 20,443명(남성동 9,898명 + 북성동 10,545명)
|
1970년 18,107명(남성동 8,617명 + 북성동 9,490명)
|
1975년
10월 1일 남성동 일부[17] → 종로동 이관 남구 남산1동 일부 → 남성동 이관[18] |
1975년 21,530명(남성동 11,338명 + 북성동 10,192명)
|
1980년
4월 1일 종로동 말소 장관동, 상서동, 수동, 덕산동 → 남성동 편입 서성로2가, 하서동, 서문로1가, 종로1가, 포정동, 전동 → 북성동 편입 |
1980년 22,115명(남성동 11,338명 + 북성동 10,777명)
|
1985년 16,082명(남성동 7,691명 + 북성동 8,391명)
|
1990년 11,643명(남성동 7,004명 + 북성동 4,639명)
|
1995년 8,074명(남성동 4,989명 + 북성동 3,085명)
|
1998년 9월 14일 남성동 + 북성동 → 성내2동 합동 |
2000년 5,614명
|
2005년 4,844명
|
2010년 5,298명
|
2015년 4,928명
|
2020년 4,591명
|
2024년 11월 7,95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종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중구 일부[19] → 종로동 |
1966년 12,021명
|
1970년 10,463명
|
1975년 10월 1일 남성동 일부[20] → 종로동 이관 |
1975년 7,996명
|
1980년
4월 1일 종로동 말소 사일동·남일동·동일동·동성로3가 → 동성동 편입 서문로2가→ 서성동 편입 장관동·상서동·수동·덕산동 → 남성동 편입 서성로2가·하서동·서문로1가·종로1가·포정동·전동 → 북성동 편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만 명
|
성내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중구 일부[21] →남성동 달성동(법정동) → 달성동(행정동) |
1966년 27,923명(서성동 11,462명 + 달성동 16,461명)
|
1970년 26,145명(서성동 10,036명 + 달성동 16,109명)
|
1975년 19,553명(남성동 8,935명 + 북성동 10,618명)
|
1980년
4월 1일 종로동 말소 서문로2가 → 서성동 편입 |
1980년 16,483명(서성동 8,981명 + 달성동 7,502명)
|
1985년 14,812명(서성동 7,313명 + 달성동 7,499명)
|
1990년 12,340명(서성동 5,967명 + 달성동 6,373명)
|
1995년 8,084명(서성동 4,223명 + 달성동 3,861명)
|
1998년 9월 14일 서성동 + 달성동 → 성내3동 합동 |
2000년 5,547명
|
2005년 4,618명
|
2010년 4,326명
|
2015년 3,648명
|
2020년 5,158명
|
2024년 11월 12,55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대신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중구 대신동(법정동) → 대신동(행정동) |
1966년 11,963명
|
1970년 10,797명
|
1975년 10월 1일 대신동 → 대신1동, 대신2동 분동 |
1975년 18,997명(대신1동 10,345명 + 대신2동 8,652명)
|
1980년 18,306명(대신1동 10,269명 + 대신2동 8,038명)
|
1985년 16,576명(대신1동 8,805명 + 대신2동 7,771명)
|
1990년 14,492명(대신1동 7,721명 + 대신2동 6,771명)
|
1995년 9,578명(대신1동 5,058명 + 대신2동 4,520명)
|
1998년 9월 14일 대신1동 + 대신2동 → 대신동 합동 |
2000년 7,131명
|
2005년 5,086명
|
2010년 5,470명
|
2015년 7,509명
|
2020년 8,094명
|
2024년 11월 7,36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남산1동[22]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남구 남산동 →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분할 |
1966년 14,659명(남산3동)
|
1970년 13,566명(남산3동)
|
1975년
10월 1일 舊남산1동 → 중구 남성동, 남구 남산2동에 분할 편입 남산3동 → 남산1동 개칭 |
1975년 14,967명
|
1980년 14,411명
|
1985년 13,000명
|
1990년 11,016명
|
1995년 8,316명
|
2000년 6,279명
|
2005년 5,358명
|
2010년 4,385명
|
2015년 5,205명
|
2020년 5,097명
|
2024년 11월 4,85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남산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남구 남산동 →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분할 |
1966년 27,751명(남산1동 13,920명 + 남산2동 13,831명)
|
1970년 25,003명(남산1동 12,442명 + 남산2동 12,561명)
|
1975년 10월 1일 舊남산1동 → 중구 남성동, 남구 남산2동에 분할 편입 |
1975년 20,975명
|
1980년 15,259명
|
1985년 13,123명
|
1990년 11,401명
|
1995년 7,509명
|
2000년 5,799명
|
2005년 4,197명
|
2010년 5,145명
|
2015년 4,798명
|
2020년 4,323명
|
2024년 11월 7,11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남산3동[남]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제도 실시 남구 대명동 →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분할 |
1966년 21,317명(대명4동)
|
1970년 7월 1일 대명4동 → 대명4동, 대명6동 분동 |
1970년 12,041명(대명4동)
|
1975년 12,972명(대명4동)
|
1980년 4월 1일 남구 대명4동 → 중구 편입 및 남산3동으로 개칭 |
1980년 15,532명
|
1985년 13,186명
|
1990년 11,837명
|
1995년 10,101명
|
2000년 7,750명
|
2005년 6,819명
|
2010년 5,661명
|
2015년 7,611명
|
2020년 7,041명
|
2024년 11월 5,99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1만 명
|
남산4동[남] 인구 추이 (1970년~현재) |
1970년 7월 1일 대명4동 → 대명4동, 대명6동 분동 |
1970년 14,252명(대명6동)
|
1975년 23,492명(대명6동)
|
1980년 4월 1일 남구 대명6동 → 중구 편입 및 남산4동으로 개칭 |
1980년 23,635명
|
1985년 21,460명
|
1990년 16,681명
|
1995년 17,592명
|
2000년 13,719명
|
2005년 12,939명
|
2010년 15,062명
|
2015년 13,568명
|
2020년 11,859명
|
2024년 11월 16,34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대봉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남구 대봉동 → 대봉1동, 대봉2동, 대봉3동 분동 |
1966년 18,038명
|
1970년 17,039명
|
1975년 19,219명
|
1980년 4월 1일 남구 대봉1동 → 중구 편입 |
1980년 15,966명
|
1985년 11,255명
|
1990년 11,746명
|
1995년 8,285명
|
2000년 6,784명
|
2005년 6,387명
|
2010년 7,788명
|
2015년 7,764명
|
2020년 7,654명
|
2024년 11월 7,76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대봉2동[25]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남구 대봉동 → 대봉1동, 대봉2동 ,대봉3동 분동 |
1966년 10,889명
|
1970년 11,449명
|
1975년 13,371명
|
1980년 4월 1일 남구 대봉3동 일부 → 중구 편입 및 대봉2동으로 개칭 |
1980년 12,311명
|
1985년 11,162명
|
1990년 9,338명
|
1995년 6,971명
|
2000년 5,640명
|
2005년 4,334명
|
2010년 4,438명
|
2015년 3,772명
|
2020년 2,394명
|
2024년 11월 5,07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4. 지역 특징
구의 대부분이 근대 이전 대구읍성의 성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역사가 깊은 지역이다. 그 대구읍성은 일제강점기 때 헐렸는데, 성곽을 부순 자리에는 길이 생겨 현재의 동성로(현재 우리가 아는 시내 동성로), 서성로( 서문시장 일대), 남성로( 약령시 일대), 북성로( 대구역 역전 일대)를 구성하고 있다. 이 거리들의 어원을 모르는 사람들이 은근히 많다.서울로 치면 한양의 사대문 안과 비슷한 지역이다. 삼국시대 초기 토성유적인 달성 역시 중구 서쪽 끝에 있으며 대구의 감영, 성곽, 군영, 대구향교(원래 교동에 있었다.), (옛날과 지금의) 서문시장은 물론 성당이나 교회같은 근대 건축물까지 모두 중구 안에 있다. 아울러 나이 많은 분들 중엔 옛날에 중구 시내를 성내(城內)라고 불렀다는 분도 있으며 지역 조폭인 향촌동파, 동성로파(모두 중구)는 서로 같은 '성내 식구들'이라 부르기도 했다고...[26]
일제강점기에 동성로와 신천 사이에 있는 동인동, 삼덕동, 봉산동이 일본인의 거주지였던 터라 일본인의 관사와 주택, 공공시설들이 지어졌고 재개발을 거친 지금도 이 동네에는 가끔씩 일본식 주택이 발견된다. 일본인 사찰(관음사)과 일본인 성당( 성공회 대구성당)은 사용 주체만 바뀌어 아직도 그 역할을 하고 있다.[27]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실거주 인구는 지속적으로 줄고, 따라서 번화한 낮과 썰렁한 밤의 대비가 아주 인상적이다. 현재 대구의 자치단체 중 인구가 가장 적어 국회의원 선거도 남구와 합쳐서 1명을 뽑는다. 그래서 행정구역 통폐합 정책으로 남구와 통합을 추진했으나 현재는 거의 흐지부지되었다.
하지만 대봉동과 중구 삼덕동1~3가 일대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 대구의 1세대 부촌이었을 정도로 좋은 입지를 자랑한다. 1970년대부터 입주했던 대봉동 아파트들은 당시 최고 부자들의 거주공간이었다. 특히 1986년 경북고등학교가 이전한 자리에 생긴 청운맨션은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형이 살았을 만큼 부자 아파트, 고급 아파트였으며, 1990년대 초반~2000년대 수성구 시대가 시작되기 전까지만 해도 대봉동의 아파트 단지는 남구 봉덕동의 아파트 단지와 함께 대구의 투탑이었다. 2000년대부터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현재는 슬럼화된 측면이 있지만 일대의 재개발, 재건축 사업으로 인해 2020년대에 다시 한번 옛 영광의 재현을 기대할 만하다. 2005년 2호선과 3호선이 남북으로 생겼고 동쪽으로 김광석길, 신천, 대백프라자, 수성구가 있고 서쪽으로는 대구 시내를 끼고 있는 원도심 핵심지이기 때문이다. 갈수록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는 심해지는 추세에서 학군보다는 교통이 편리하고 편의시설, 의료, 문화 등 소위 생활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곳이 각광을 받는 시대인데 대봉동이 그 조건에 상당히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대봉동 일대가 학군이 아주 나쁜 것도 아닌 것이 평준화와 도심 공동화, 수성학군의 성장으로 인해 예전만 못하긴 해도 전통적으로 대구의 명문고에 속했던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가 멀지 않다.
중구는 오랫동안 대구의 중심 상업지구였다. 실제로 중구에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남산동 등 일부 동네를 빼면 아파트단지를 보기 어려웠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 들어서 태평로 일대의 오래된 공업지역과 슬럼화된 주거지역이 있던 자리에 1군 건설사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분양, 입주가 시작되었고, 이후 중구 곳곳의 1960~70년대 형성된 오래된 주택단지가 있던 곳에 재개발 사업이 이루어지면서 주거단지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남산동의 청라언덕역 일대도 천지개벽이 일어나고 있는 동네다. 환승역인 청라언덕역 더블 역세권, 롯데건설 롯데캐슬, GS건설 자이, 대림산업 이편한세상 등 메이저 브랜드의 파급력은 상당할 것이다. 모 아파트의 경우는 106제곱미터에 분양가 7억 8천만원을 기록할 정도로 분양 중인 중구 아파트 전체의 분양가가 기존에 비해 상향 평준화되고 있어서 대구에서는 수성구에 이어 집값이 두 번째로 비싼 동네가 되었다. 2020년 10월 기준 평당 1,320만원이다. 다만 이 같은 재개발 과정에서 도로망 확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교통 정체, 주거지와 상업지의 구분 없이 뒤섞인 난개발, 대구 도심 기능의 악화는 해결해야 할 문제다.
대구 도심 재개발 덕분에 인구가 감소하는 대구의 다른 지역들과 달리 인구가 소폭이나마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22년 12월엔 8만명대 회복에 성공했다. 2024년 2월 14일 오후 6시 인구 9만명을 회복했다. 2023년 기준으로 인구 순유입률이 시군구 중 전국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곳은 주로 동명보다는 동성로, 북성로, 남성로, 서성로 및 반월당으로 구분되고 말하기 때문에 대구지역 사람들도 중구의 법정동은 일부 말곤 생소해 하는 경우도 많다. 근대부터 존속하던 도시여서 워낙 법정동의 규모가 작고 경계가 엉망이며, 매우 조밀하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반월당이 있는 곳인 덕산동조차 모르는 시민들이 많다.[28]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산이 없다.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7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70> | }}} | |
{{{#!wiki style="color: #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f70>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공평로 · 국채보상로 | |
ㄴ | 남산로 · 남성로 | ||
ㄷ | 달성공원로 · 달성로 · 대봉로 · 동덕로 · 동성로 | ||
ㅁ | 명덕로 · 명륜로 | ||
ㅂ | 북성로 | ||
ㅅ | 서성로 · 신암로 | ||
ㅇ | 원대로 · 이천로 | ||
ㅈ | 종로 | ||
ㅊ | 침산로 | ||
ㅋ | 큰장로 | ||
ㅌ | 태평로 | ||
대구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대구 중구는 사통팔달 대구광역시의 교통 1급지다. 도로교통으로 주요도로인 달구벌대로와 중앙대로가 중앙을 가로지르고[29] 신천대로가 중구 외곽 신천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대구 도시철도 1, 2, 3호선이 모두 지나는 유일한 구이자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인 반월당역, 청라언덕역, 명덕역이 모두 중구 남산동에 있다. 시내버스도 예외는 아니라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과반 이상 노선이 중구를 지나가고, 경산시 시내버스와 고령군 농어촌버스 606번, 성주군, 칠곡군 농어촌버스 250번도 지나간다. 경산시 시내버스의 경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동 배차인 509번, 708번, 840번, 939번[30]은 물론 경산버스 단독 배차인 990번, 991번도 중구를 지나간다.
5.1. 관내 철도 역 목록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f7e2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f7e2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노선 | 역명 | |||
대구교통공사 | 대구 1호선 | 중앙로(131) · 반월당 (130) · 명덕(129)1 | |||
대구 2호선 | 청라언덕(229) · 반월당(130) · 경대병원(231) | ||||
대구 3호선 | 남산(330) · 청라언덕(329) · 서문시장(328) · 달성공원(327)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한국철도공사 | 대경선 | 대경선-K116 | ||
대구산업선 | }}}}}}}}} | ||||
※ 굵게 표시 된 역은 환승이 가능한, 사실상 같은 곳이다. 1: 3호선 명덕역은 남구에 위치해 있다. |
|||||
서구 ·
동구 ·
남구 ·
북구 ·
달서구 ·
수성구 ·
달성군 ·
군위군 경산시 · 구미시 · 영천시 · 칠곡군 |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필수정차역이자 전국 17위의 이용객을 자랑하는 대구역은 중구와 도로 하나를 두고 북구 칠성동2가에 있다.[31]
6. 관광
6.1. 관내 시티투어버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8837>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시 전역 | ||
대구시티투어버스(1층 · 2층(밀폐형/개방형)) | |||
<rowcolor=#fff> 중구 | 수성구 | ||
청라버스 | 수성투어버스(개방형) |
7. 경제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다. 사실 중구는 대구의 구도심으로, 여러 상업 시설, 은행들과 기업체의 대구지점/지사가 밀집한 곳으로, 수성구, 달서구와 더불어 대구에서 가장 중요한 구이기도 해서 경제 상황이 나쁘지는 않다. 다만 시청이 달서구로 이전할 예정이라 하여 타격을 받을 우려가 컸으나, 다행히 현재 대구시 신청사 건립이 보류된 덕분에 당장 몇 년간은 그 걱정을 덜게 되었다.7.1. 금융
대구 중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 |||
제1금융권[괄호] | |||
중앙은행 | |||
한국은행 (1) | |||
국가기관 | |||
대구우체국 (8) | |||
국책은행 | |||
중소기업은행 (2) | |||
특수은행 | |||
수협은행 (2) | 농협은행(중앙회) (5)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2) | 우리은행 (2) | ||
하나은행 (4) | 국민은행 (3) | ||
iM뱅크 (15) | |||
외국은행 [34] | |||
중국은행 (1) | |||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동대구농협 (1) | 대구축산농협 (1) | 한국양계농협 (1) | 대구경북능금농협 (1) |
경북대구낙농농협 (1) | |||
새마을금고 | |||
대신새마을금고 (2) | 대구원광새마을금고 (1) | 동일새마을금고 (2) | 남산4동새마을금고 (1) |
남산새마을금고 (2) | 대봉새마을금고 (3) | 봉산새마을금고 (2) | 성내새마을금고 (2) |
경북대학교병원새마을금고 (1) | |||
신용협동조합 | |||
북성신용협동조합 (1) | 중앙로신용협동조합 (2) | 대구희망신용협동조합 (1) | 계산천주교회신용협동조합 (1) |
대구한일신용협동조합 (1) | 대봉천신용협동조합 (2) | 공평신용협동조합 (1) | 섬유신용협동조합 (1) |
동대구신용협동조합 (1) | 대봉1동신용협동조합 (1) | 보현사신용협동조합 (1)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경북상호저축은행 (1) | 드림저축은행 (1) | MS저축은행 (1) | 유니온저축은행 (1) |
SBI저축은행 (1) |
국내 대형 은행들의 대구지점이 중구에 많이 몰려 있다.
8. 교육
대구광역시 중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 계성초등학교 | 대구남산초등학교 | 대구동덕초등학교 |
대구동인초등학교 | 대구명덕초등학교 | 대구삼덕초등학교 | 대구수창초등학교 | |
대구종로초등학교 | 대구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대구광역시 중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경구중학교 |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 계성중학교 | 대구제일중학교 | ||
성명여자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대구광역시 중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경북공업고등학교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 ⊙ 경북여자고등학교 | 신명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이 자그마한 구가 학군이 한때 서로 갈려 중구의 서쪽은 2학군, 동쪽은 1학군이었다. 그래서 자율형사립고 전환 전의 계성고등학교는 달서구, 서구에서도 지원이 가능했지만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는 1학군으로 취급되어 2학군 지역에서 쓸 수 없었다. 하지만 사대부고는 조절학군에 걸린 학교라 달서구에서도 걸리는 학생들이 조금 있다. 현재는 중구 전역이 1학군이다.
9. 문화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883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구 | 신천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경상감영과 옛골목 · 달성공원 · 서문시장 · 동성로 | |
남구 · 북구 | ||||
수성구 | 수성못 · 대구스타디움 | |||
달성군 | 비슬산 · 강정고령보와 디아크 | |||
동구 | 팔공산 | |||
군위군 | ||||
달서구 | 83타워 |
대구10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대구 전역 |
누른국수 · 뭉티기 · 복어 불고기 · 야끼우동 |
중구 |
납작만두 · 따로국밥 · 동인동 찜갈비 · 막창구이 | |
서구 |
무침회 | |
달성군 |
논메기 매운탕 | }}}}}}}}} |
동성로, 중앙대로, 반월당역 등이 있는 상업, 문화의 중심지이다.
도서관으로는 시립도서관인 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이 있다.
대구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근대 건축물이 남아있는 지역으로 곳곳에 근대건축물, 일제강점기 시대 건축물이나 적산 가옥이 있다. 그러나 근대역사문화관과 선교사주택 정도를 빼면 문화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들로서 썩 관리상태는 좋지 못하고 방치되거나 아파트 건설이라는 명목 하에 철거된 곳도 있다. 특히 북성로1·2가.
대구의 근현대를 아우르는 지역이라 2000년대 말부터 스토리텔링을 부여하여 근현대 골목여행식의 탐방 프로그램도 만들어 놓았으며, 명물 거리 조성 등 언론과 시, 시민단체의 노력으로 이젠 상당히 정착되었다. 내일로 등의 대구여행기를 검색해보면 나오는 루트가 바로 이 '개발된' 문화탐방 루트와 일치하며 1박 2일의 양준혁편의 루트도 마찬가지였다.
▲ 중구 근대골목 여행지도 중 하나.
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와 대구광역시의회, 경북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36], 서문시장이 있다. 그리고 4대 종교방송사[37] 중 CBS를 제외한 나머지 3개 방송사가 모두 위치하고 있다.
차이나타운도 있지만 화교학교, 중국어학원, 중화요리집 등등을 빼면 차이나타운으로서의 요소는 없다. 오히려 화교들이 바로 옆에 있는 동성로, 중앙대로, 반월당으로도 진출한 상황이다.
2.28기념중앙공원이 소재한다.
반월당역 인근에 관덕정 순교기념관이 있다. 원래 관덕정은 조선시대 군사훈련이나 무과 시험을 치르는 곳이었으나 중죄인의 사형을 집행하는 곳이기도 해서 절두산 성지만큼은 아니지만 경상도 지방의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한 장소다. 자세한 내용은 중구청 공식블로그에 나온다.
10. 의료기관
대구경북 최대 의료기관인 경북대학교병원(902병상)이 삼덕동2가에 있다.[38] 다만 오래된 데다가 부지가 넓지 않아서 확장에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결국 칠곡지구에 분원격인 칠곡경북대학교병원(1069병상)을 건립한 상태이다. 그리고 경대병원에서 삼덕동2가 본원도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계명대학교 동산병원도 동산동에 있었으나, 달서구로 이전하고 원래의 동산병원은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204병상)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른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는 곽병원(244병상)이 있으며, 중구 자체가 도심이다보니 인구 대비 의원 수도 264개소로 굉장히 많은 편이다. 특히 성형외과들이 중구에 밀집해 있다.11. 정치
자세한 내용은 중구(대구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2. 하위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중구(대구광역시)/행정 문서 참고하십시오.13. 여담
13.1. 순종황제 어가길
1909년 순종 황제가 지나다닌 곳을 순종황제 어가길을 조성하고, 순종 황제상을 세웠다가 현재는 순종 황제상을 제거하고, 그곳의 도로를 4차선을 확장하려고 하고 있다.
14. 자매도시
15. 출신 인물
- 권순영
- 권영현(정치인)
- 김광석: 가수
- 김선아: 배우
- 김수환
- 김신영[39]
- 박경원
- 박근혜: 제18대 대통령
- 박상원
- 안성기
- 양준혁
- 여정남[40]: 민주화운동가
- 유승민: 제17~20대 국회의원
- 이강학
- 이건희
- 이승엽: 前 야구선수
- 이하늘: 그룹 DJ DOC의 멤버
- 전태일: 노동운동가
- 한병채
- 현제명
- 홍준연
- 조우진: 영화배우
- 성유미: 연합뉴스TV 아나운서
[1]
57
법정동, 12
행정동.
[2]
대구광역시 관할 기초자치단체 중 면적이 가장 좁다.
[3]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4]
2024년 11월 기준.
[5]
중구 가선거구 (동인동, 삼덕동, 성내1동, 남산1동, 대봉1동, 대봉2동): 권경숙, 김동현, 임태훈
중구 나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김오성, 김효린 [6] 중구 나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안재철 [7] 중구 비례대표: 배태숙 [8] 중구 제1선거구 (동인동, 삼덕동, 성내1동, 남산1동, 대봉1동, 대봉2동): 임인환 (재선)
중구 제2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이만규 (재선) [9] 달성군, 군위군은 자치군이다. [10] 지정학적인 대구의 중심은 남구 대명동 산281-3 일대. [11] 다만 그 중 한 역인 대구 1호선과 대구 3호선의 환승역, 명덕역은 그 주소가 각각 중구 남산동(대구 1호선), 남구 대명동(대구 3호선)으로 다르다. [상세] 町 → 洞, 丁目 → 街, 通 → 路 [13] 남구에 남은 대봉동은 이천동이 되었다. [14] 동문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1·2가, 태평로1가, 교동,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15] 장관동, 상서동, 수동, 종로2가, 하서동, 남성로, 계산동1·2가 [16] 서내동, 북성로1·2가, 대안동, 태평로2가, 화전동, 향촌동, 북내동 [17] 장관동, 상서동, 수동 [18] 법정동 동산동 신설 [19] 중구 덕산동, 종로1가, 사일동, 동일동, 남일동, 전동, 동성로3가, 서문로2가, 서성로2가, 포정동 [20] 장관동, 상서동, 수동 [21] 도원동, 수창동, 태평로3가, 인교동, 서야동, 서성로1가, 시장북로 [22] 현재 남산1동은 1975년 舊남산1동이 분할되어 중구 남성동, 남구 남산2동에 분할되어 폐지된 후의 남산3동이 개칭되어 형성되었음. [남] 남산3동과 남산4동은 舊대명4동과 대명6동이 개칭되어 형성된 행정동임. [남] [25] 현재 대봉2동은 1980년 4월 1일 대봉3동의 일부가 중구로 편입되어 설치된 행정동으로, 인구는 舊대봉3동의 인구와 이천동의 서부 + 현재 대봉2동의 면적등을 고려하여 어림잡아 계산함. [26] 이는 현재 구 읍성 성내지역을 관할하는 행정동의 명칭에도 잘 나타나 있다. [27] 다만 대구성당은 양식 자체가 조적조양식이어서 일본건축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28] 이에 관한 일화로 대구로 이사왔던 한 BJ가 팬들과 소소한 만남을 위해서 “사일동 CGV”로 와달라고 SNS에 게시하였으나 정작 사람들은 사일동이 어딘지 모르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다. 사일동 CGV라고 한 곳은 구 영프라자 건물에 있는 CGV 대구점이다. 게다가 법정동 경계가 엉망이라 해당 CGV 매장도 절반은 동성로2가다. [29] 다만 반월당네거리서부터 대구역네거리까지의 중앙대로는 일반 차량의 통행이 금지된 대중교통 전용지구이다. [30] 814번을 제외한 모든 대구·경산 공동 배차 노선이 중구를 지나간다. [31] 마찬가지로 도로 하나를 두고 대구역과 바로 붙어있는 대구콘서트하우스는 중구 태평로2가인지라 대구역도 콘서트하우스처럼 중구인줄로 헷갈려하는 사람이 많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34] 여기서 외국은행은 대한민국 영토 내에 지점 또는 사무소 형태로 진입한 경우로만 한정되며,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경우에는, 한국내의 법인형태로 운영중이며 시중은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곳에 넣지 않는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36] 원래 이 곳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있었으나, 강창역으로 이전하였다. [37] CBS 기독교방송, PBC 평화방송, BBS 불교방송, wbs 원음방송. 기독교방송국은 북구 침산동에 있다. [38] 병상수로는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이 가장 크다. 다만 역사성 등을 감안할 때 대구경북 내 위상은 경대병원이 훨씬 높다. [39] 다만 성장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했다. [40] 남일동 출신. 인혁당 사건 희생자
중구 나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김오성, 김효린 [6] 중구 나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안재철 [7] 중구 비례대표: 배태숙 [8] 중구 제1선거구 (동인동, 삼덕동, 성내1동, 남산1동, 대봉1동, 대봉2동): 임인환 (재선)
중구 제2선거구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이만규 (재선) [9] 달성군, 군위군은 자치군이다. [10] 지정학적인 대구의 중심은 남구 대명동 산281-3 일대. [11] 다만 그 중 한 역인 대구 1호선과 대구 3호선의 환승역, 명덕역은 그 주소가 각각 중구 남산동(대구 1호선), 남구 대명동(대구 3호선)으로 다르다. [상세] 町 → 洞, 丁目 → 街, 通 → 路 [13] 남구에 남은 대봉동은 이천동이 되었다. [14] 동문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1·2가, 태평로1가, 교동,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15] 장관동, 상서동, 수동, 종로2가, 하서동, 남성로, 계산동1·2가 [16] 서내동, 북성로1·2가, 대안동, 태평로2가, 화전동, 향촌동, 북내동 [17] 장관동, 상서동, 수동 [18] 법정동 동산동 신설 [19] 중구 덕산동, 종로1가, 사일동, 동일동, 남일동, 전동, 동성로3가, 서문로2가, 서성로2가, 포정동 [20] 장관동, 상서동, 수동 [21] 도원동, 수창동, 태평로3가, 인교동, 서야동, 서성로1가, 시장북로 [22] 현재 남산1동은 1975년 舊남산1동이 분할되어 중구 남성동, 남구 남산2동에 분할되어 폐지된 후의 남산3동이 개칭되어 형성되었음. [남] 남산3동과 남산4동은 舊대명4동과 대명6동이 개칭되어 형성된 행정동임. [남] [25] 현재 대봉2동은 1980년 4월 1일 대봉3동의 일부가 중구로 편입되어 설치된 행정동으로, 인구는 舊대봉3동의 인구와 이천동의 서부 + 현재 대봉2동의 면적등을 고려하여 어림잡아 계산함. [26] 이는 현재 구 읍성 성내지역을 관할하는 행정동의 명칭에도 잘 나타나 있다. [27] 다만 대구성당은 양식 자체가 조적조양식이어서 일본건축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28] 이에 관한 일화로 대구로 이사왔던 한 BJ가 팬들과 소소한 만남을 위해서 “사일동 CGV”로 와달라고 SNS에 게시하였으나 정작 사람들은 사일동이 어딘지 모르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다. 사일동 CGV라고 한 곳은 구 영프라자 건물에 있는 CGV 대구점이다. 게다가 법정동 경계가 엉망이라 해당 CGV 매장도 절반은 동성로2가다. [29] 다만 반월당네거리서부터 대구역네거리까지의 중앙대로는 일반 차량의 통행이 금지된 대중교통 전용지구이다. [30] 814번을 제외한 모든 대구·경산 공동 배차 노선이 중구를 지나간다. [31] 마찬가지로 도로 하나를 두고 대구역과 바로 붙어있는 대구콘서트하우스는 중구 태평로2가인지라 대구역도 콘서트하우스처럼 중구인줄로 헷갈려하는 사람이 많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34] 여기서 외국은행은 대한민국 영토 내에 지점 또는 사무소 형태로 진입한 경우로만 한정되며,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경우에는, 한국내의 법인형태로 운영중이며 시중은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곳에 넣지 않는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36] 원래 이 곳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있었으나, 강창역으로 이전하였다. [37] CBS 기독교방송, PBC 평화방송, BBS 불교방송, wbs 원음방송. 기독교방송국은 북구 침산동에 있다. [38] 병상수로는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이 가장 크다. 다만 역사성 등을 감안할 때 대구경북 내 위상은 경대병원이 훨씬 높다. [39] 다만 성장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했다. [40] 남일동 출신. 인혁당 사건 희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