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53:32

중구(대구광역시)/정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구(대구광역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중구·남구
,
,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8837><tablebgcolor=#008837><tablewidth=250>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중구(대구광역시)/정치|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동인청사
중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북구(대구광역시)/정치|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산격청사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
||<-6><width=5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6><width=50%>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 ||

1. 선거구 정보2. 개요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 중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rowcolor=#ffffff> 구분 선거구명 지역
<colbgcolor=#ef7e20><colcolor=#ffffff>국회의원 중구·남구 중구 전역 + 남구 전역
시의원 중구 1 동인동, 삼덕동, 성내1동, 남산1동, 대봉1동, 대봉2동
중구 2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2. 개요

1970년대 경상북도 대구시 경북 제1선거구 시절부터 1990년대까지 대구 정치 1번지로 꼽혔으며[1] 지금까지의 국회의원 중 최다선 타이 기록을 세운 박준규가 15대에 국회의원을 했다. 다만 대구 중구에서만 9선을 한 것은 아니고, 대구, 경북, 서울 등에서 선수를 차곡차곡 쌓아오다가 마지막을 중구에서 보내게 된 것이다. 자민련 소속으로 당선됨으로써 자민련 TK를 대표하는 사람이 되었으며, 15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에 선출됨으로써 사상 최초로 국회의장 3선의 고지에 올랐다.

이후 매번 국회의원이 교체되어서 중진이 없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유수호 전 의원 이래로 처음으로 현역 곽상도 의원이 지역구 연임에 성공했으나[2], 아들 퇴직금 논란으로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이후 치러진 재보선에서는 국민의힘이 무공천을 선언하고 중구 출신 후보들의 표가 분산되면서 남구청장 출신의 임병헌 의원이 당선되었다.

특히 1997년 15대 대선 2002년 16대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전국 최다 득표율을 보인 지역으로[3] 지금의 서구 군위군 못지 않은 보수세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2010년대에 와서는 대경권 최다 득표율 지역은 군위군에 빼앗기고, 대구 최다 득표율 지역은 서구에 빼앗기면서 보수세가 약해졌다. 이후에도 한동안은 대구 내에서 강한 보수세를 보여주었으나 2020년대 이후로는 대구 평균 정도의 보수정당 득표율을 보여주고 있다. 원도심이지만 재개발이 진행되며 인구가 다시 조금씩이나마 증가하면서 젊은 층이 어느정도 유입된 것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몇 차례의 선거를 보면, 보수세의 약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대 총선에서는 대구 내에서 유일하게 국민의힘의 비례위성정당 국민의미래가 60%를 넘기지 못했다. 개혁신당이 6% 가까이 가져가기도 했지만, 민주당계 정당인 조국혁신당과 더불어민주연합의 득표율 합이 대구 내에서 가장 높았고, 달서 갑에서 지역구를 옮겨온 더불어민주당 허소 후보는 중구에서만 무려 30% 가까이 득표했다!

3. 역대 선거 결과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역대 중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중구
13대

유수호 초선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재선
15대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박준규 9선
16대
백승홍 재선
중구·남구
17대

곽성문 초선
18대 배영식 초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희국 초선
20대 곽상도 초선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4]
2022

[[무소속(정치)|
무소속
]]
임병헌 초선
22대

김기웅 초선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f7e2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역대 중구청장 선거 결과 ||
1995 1998 2002 2006 2010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강현중 김주환 정재원 윤순영
2014 2018 2022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국민의힘
윤순영 류규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강현중 30.41%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원유영 30.2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하경문 21.19%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수만 18.11%
1998년 1위:
김주환 45.02%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정재원 18.2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금병태 10.54%
2002년 1위:
정재원 54.3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주환 28.9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인석 16.63%
2006년 1위:

윤순영 64.6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정재원 24.14%
3위: 김정태 11.23%
2010년 1위:

윤순영 61.38%

2위: 김동철 16.4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남해진 12.76%
2014년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윤순영 61.3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한기열 38.68%
2018년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류규하 51.68%

2위:
노상석 33.21%
3위: 임인환 15.10%
2022년 1위:

류규하 무투표 당선
}}}}}}}}}

3.1. 대선

3.1.1. 제19대 대통령 선거

중구
대구 중구 일원
정당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11,477 24,698 7,170 5,931 2,369
득표율 22.09% 47.54% 13.80% 11.41% 4.56%
순위 2위 1위 3위 4위 5위
선거인 수 68,857
투표 수 52,180
무효표 수 232
투표율 74.72%
19대 대선 중구 개표 결과
정당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11,477
(22.09%)
24,698
(47.54%)
7,170
(13.80%)
5,931
(11.41%)
2,369
(4.56%)
- 13,221
(▼25.45)
75.78%
동인동[5] 19.46% 50.51% 13.93% 11.08% 4.43% ▼31.05 68.69
삼덕동[6] 26.81% 37.38% 15.49% 14.05% 5.89% ▼10.57 71.70
성내1동[7] 23.42% 47.19% 12.84% 10.86% 5.17% ▼23.77 66.54
성내2동[8] 18.53% 55.23% 12.23% 9.37% 3.78% ▼36.70 70.19
성내3동[9] 15.58% 60.28% 12.49% 8.56% 2.44% ▼44.70 66.88
대신동[10] 21.91% 49.68% 13.00% 11.54% 3.45% ▼27.77 78.39
남산1동 20.45% 52.80% 12.13% 10.31% 3.61% ▼32.35 72.10
남산2동 18.41% 53.78% 13.08% 10.30% 3.80% ▼35.37 73.59
남산3동 24.23% 44.71% 14.44% 12.03% 4.15% ▼20.48 76.19
남산4동 19.72% 50.35% 13.88% 10.51% 4.77% ▼30.63 78.66
대봉1동 20.29% 49.50% 13.84% 11.90% 4.10% ▼29.21 78.15
대봉2동 18.51% 53.80% 13.41% 10.48% 3.26% ▼35.29 72.33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선상투표 21.74% 34.78% 26.09% 10.87% 4.35% ▼13.04
관외사전투표 30.18% 32.71% 15.25% 14.31% 6.91% ▼2.53
재외투표 55.33% 12.43% 16.27% 5.33% 10.06% △39.06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투표율
중구·남구[11] 20.05% 46.88% 13.60% 14.91% 4.01% ▼26.83 74.72

3.1.2. 제20대 대통령 선거

20대 대선 중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이재명 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10,913
(21.47%)
38,288
(75.34%)
- 27,375
(▼53.87)
51,325
(77.81%)
동인동[A] 19.59% 76.92% ▼57.33 70.79
삼덕동[B] 24.22% 71.81% ▼47.60 71.15
성내1동[C] 22.66% 73.15% ▼50.49 66.13
성내2동[D] 20.20% 76.49% ▼56.30 70.79
성내3동[E] 20.52% 77.19% ▼56.67 78.11
대신동[F] 19.53% 78.14% ▼58.62 79.68
남산1동 20.00% 76.52% ▼56.52 73.17
남산2동 21.71% 74.92% ▼53.22 77.80
남산3동 23.72% 73.63% ▼49.91 76.83
남산4동 19.97% 76.65% ▼56.68 80.01
대봉1동 17.37% 80.01% ▼62.64 78.57
대봉2동 20.19% 76.70% ▼56.51 79.35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거소·선상투표 16.19% 80.00% ▼63.81
관외사전투표 26.10% 70.54% ▼44.44
재외투표 46.50% 48.97% ▼2.47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투표율
중구·남구[18][19] 19.90% 76.84% ▼56.93 73.83

3.2. 총선

21대 총선 중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중구·남구)
정당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용 곽상도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555
(32.67%)
29,420
(66.04%)
- 14,865
(▼33.37)
45,170
(66.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동인동[A] 29.82% 68.59% ▼38.77 59.09
삼덕동[B] 40.24% 58.20% ▼17.96 59.58
성내1동[C] 35.83% 62.67% ▼26.84 56.40
성내2동[D] 29.62% 69.11% ▼39.49 61.19
성내3동[E] 32.80% 65.79% ▼32.99 62.86
대신동[F] 30.78% 68.02% ▼37.24 70.68
남산1동 29.49% 68.64% ▼39.15 63.36
남산2동 27.55% 70.93% ▼43.39 63.95
남산3동[G] 36.81% 61.79% ▼24.98 67.39
남산4동 30.66% 68.50% ▼37.84 69.25
대봉1동 27.89% 71.22% ▼43.33 68.22
대봉2동 27.10% 71.71% ▼44.61 66.81
후보 이재용 곽상도 격차
거소·선상투표 28.77% 66.90% ▼38.13
관외사전투표 42.84% 56.00% ▼13.16
재외투표 60.46% 39.53% △20.93
}}}}}} ||

3.2.1. 비례대표

3.2.1.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23.829
(55.13%)
7,138
(16.51%)
2,521
(5.83%)
3,921
(9.07%)
1,494
(3.45%)
+ 16,691
(△38.62)
45,175
(66.5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동인동[A] 57.42% 15.30% 4.94% 8.10% 3.04% △42.11 59.09
삼덕동[B] 45.95% 20.50% 7.20% 11.62% 3.30% △25.45 59.58
성내1동[C] 52.32% 18.45% 5.88% 8.69% 3.42% △33.88 56.40
성내2동[D] 58.80% 15.17% 5.43% 7.30% 3.32% △43.63 61.19
성내3동[E] 54.81% 16.63% 4.95% 10.40% 3.90% △38.18 62.86
대신동[F] 57.64% 15.81% 5.80% 9.36% 3.38% △41.83 70.68
남산1동 58.33% 14.48% 5.67% 8.05% 3.32% △43.86 63.34
남산2동 59.10% 14.08% 4.92% 7.80% 2.70% △45.02 63.95
남산3동[G] 52.17% 19.06% 6.26% 9.24% 4.17% △33.11 67.41
남산4동 57.02% 14.99% 5.12% 9.41% 3.25% △42.03 69.24
대봉1동 59.75% 13.17% 5.78% 9.22% 2.83% △46.58 68.22
대봉2동 59.47% 14.47% 5.34% 7.44% 2.57% △44.99 66.81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거소·선상투표 54.61% 11.53% 4.61% 7.69% 0.76% △43.08
관외사전투표 45.89% 22.06% 8.11% 9.40% 4.90% △23.83
재외투표 39.21% 21.56% 5.88% 3.92% 15.68% △17.65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13대 총선 이전까지 중구와 같은 선거구였던 서구도 1990년대까지 옛 서구 갑 선거구에 정호용, 문희갑 등 거물 정치인들이 거쳐갔다. [2] 단순히 재선 의원은 서구 갑에서 초선 의원을 지냈다가 선거구 통폐합으로 중구로 옮긴 16대의 백승홍 전 의원이 마지막이었다. [3] 대구 중구: 15대 대선 한나라당 이회창 76.36%, 16대 대선 한나라당 이회창 80.42% [4] 21.10.02. 의원직 사퇴 (아들 퇴직금 논란) [5] 대구광역시청이 있는 동네 [6] 박근혜 전 대통령 및 유승민 후보의 고향 + 클럽골목 및 경북대병원이 있는 동네 [7] 동성로 2.28기념중앙공원이 있는 동네 [8] 약령시, 떡전골목 및 경상감영공원, 동산의료원이 있는 동네 [9] 달성공원, 오토바이골목 및 자갈마당이 있는 동네 [10] 서문시장이 있는 동네 [11] 지역구 국회의원 : 곽상도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초선) [A] 대구광역시청이 있는 동네 [B]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고향 [C] 동성로가 있는 번화가 [D] 경상감영공원 동산의료원이 있는 동네 [E] 달성공원이 있는 동네 [F] 서문시장이 있는 동네 [18] 지역구 국회의원 : 곽상도 공석 [19] 동시에 실시된 재보선에서 무소속 임병헌 후보가 당선되었다. [A] [B] [C] [D] [E] [F] [G] [A] [B] [C] [D] [E] [F]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