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11:08:55

신천대로(대구)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
{{{#!wiki style="color: #008837;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구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
{{{#!wiki style="color: #008837;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88837><colcolor=#fff> 내 부 순 환 <colbgcolor=#fff,#191919> 1차 순환 <colbgcolor=#fff,#191919> 2차 순환 <colbgcolor=#fff,#191919> 3차 순환
파일:Cityroad_kor_22.svg 앞산순환로 파일:Cityroad_kor_11m.svg 신천대로
테크노순환로 공원순환로
외 곽 순 환 파일:Cityroad_kor_10m.svg 파일:Expressway_kor_700.svg 4차 순환( 외곽순환고속도로) 팔공산 순환
대구광역시도 | 1차 순환선 | 2차 순환선 | 3차 순환선 | 4차 순환선 }}}}}}}}}

신천대로
新川大路 | Sincheon-daero
파일:Cityroad_kor_11m.svg 11번 대구광역시도
노선 번호
11번 대구광역시도[1]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남대구IC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가창우체국삼거리
연장
19.4km (서대구IC~가창)[2]
25.2km (남대구IC~가창)[3]
개통
{{{#!wiki style="margin: 0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94. 팔달교 ~ 상동교 개통
1996. 07. 서대구~팔달교 편입(舊 구마고속도로)
1996. 12. 성서~서대구 개통
2010. 06. 남대구~성서 개통
2014. 04. 가창~상동교 개통(舊 신천좌안도로) }}}}}}}}}
관리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왕복 차로 수
{{{#!wiki style="margin: 0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차로 남대구TG~남대구IC
지하차도·고가차도 구간
상동교~파동IC
6차로 남대구IC~성서IC
서대구IC~서변대교
파동IC ~ 가창
10차로 성서IC~서대구IC }}}}}}}}}
주요 경유지
달서구 ↔ 서구 ↔ 북구 ↔ 수성구 ↔ 달성군
파일:신천대로노선도.png
신천대로 노선도
1. 개요2. 연혁3. 특징4. 구간5.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도시 고속도로. 달서구 월성동에서 금호강변과 신천변을 타고 달성군 가창면을 잇는다. 달구벌대로 대구광역시의 동서를 관통하는 간선도로라면, 신천대로는 남북을 관통하는 간선도로다. 다만 일직선 형태가 아니라 북구 일대의 금호강변을 크게 돌아가기 때문에 실제 도로 선형은 갈고리 모양이다. 노선 총 연장은 17.6km.

부산광역시 번영로, 동서고가로 등과 역할이나 구조상 비슷하다.

2. 연혁

1982년부터 1985년까지 재임한 이상희 2대 대구직할시장이 처음 구상했다. 초안에선 전 구간 왕복 8차선으로 계획되었고 칠성시장 구간도 지금처럼 고가차도가 아닌 칠성시장을 정비 후 지상 혹은 지하로 통과할 예정이었으며, 침산교 인근 구간과 대봉교 인근 구간을 먼저 착공하였다.

이후 예산 부족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지연되다가 계획이 약간 축소되어 왕복 4∼8차선으로 1994년 팔달교 ~ 상동교 구간이 최초 개통되었으며, 1996년 구마고속도로 지선이었던 서대구IC ~ 팔달교 구간이 고속도로 구간에서 완전히 해제되어 신천대로에 편입되었다. 1996년 12월 성서IC ~ 서대구IC 구간이 구마고속도로의 확장과 함께 연장되었고 2010년 6월 남대구IC ~ 성서IC 구간이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의 확장과 함께 다시 한 번 연장되었다. 따라서 성서IC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이 아닌 신천대로 상의 나들목이다.

당초 신천대로와 앞산순환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을 연결해 대구 내부순환로를 만든다는 구상이 있었으나, 현재는 거의 백지화되었다.[4]

3. 특징

서대구IC 이후로는 강변도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입체교차로 형식이라 신호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 구간의 노선도가 한국어 위키백과에 나와 있다. 단, 대부분 진출 후 직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잘못 빠졌다면 우회전 → 유턴 → 우회전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하다. 단, 고속도로 방면 진출입로라면 회차로를 쓰면 된다.

전 구간 자동차전용도로이므로 자동차[5]와 건설기계 6종만 통행할 수 있으며, 나머지 차마 및 보행자는 통행금지다.

지하도 연속구간에서는 도로 높이가 신천 강바닥 높이보다 낮다는 점이 독특하다.[6] 반면에 칠성시장 근처에서는 고가도로라서 일부 교차로에는 한 쪽 방향으로만 진출입이 가능한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신천대로, 달구벌대로, 순환도로만 타면 대구광역시의 대부분 지역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쭉 타고 가다가 원하는 곳에 내리는 방법으로 다니면 편하다.[7] 대구광역시의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을 잘 늘리지 않는 이유도[8] 너무 잘 닦여 있는 도로 인프라의 역할이 크다.

정작 신천대로를 통과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및 인근 지역의 농어촌버스는 단 하나도 없다. 101(-1)번, 북구3번, 동구2번 칠성시장역에서 신천주공아파트로 빠질 때 이 도로로 들어가기는 하지만, 정차하는 정류장은 없다. 칠성고가 하단 종점에서 경대교 서단 사이로는 304번, 623번, 급행6번이 운행한다. 이들 외에는 신천대로를 통과하는 노선이 없고, 시내버스 차량들이 공차회송할 뿐이다.[9] [10]

대구 밖에서 대구 시내로 들어올 때도 신천대로가 큰 역할을 한다. 상동교에서는 앞산순환로와 이어지고, 기점인 월성2동의 남대구IC에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와 이어진다. 신천대로 중간 지점쯤에 북대구IC로 나갈 수 있는 길이 있는데, 여기서는 경부고속도로 서변대교( 칠곡 방면)로 나갈 수 있다.

자매품으로 신천을 사이에 놓고 평행하게 닦여 있는 신천동로가 있다. 대구 시민 중 일부는 신천이란 말을 빼고 '대로', '동로'로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정식 명칭은 신천대로, 신천동로다.

신천대로와 신천 사이에는 자전거도로, 농구대 등 간단한 체육시설이 있는 공원이 이어져 있다. 보도도 잘 되어 있어서 자전거 라이딩, 조깅 코스로 제격이다.

2017년 9월 국토교통부 조사에서 매천대교 서대구IC 구간이 '전국 교통량 많은 도로 순위'에서 8위를 차지했다. #[11]

이런 이유에서인지 러시 아워 때는 양방향으로 정체가 극심하다. 특히 퇴근 시간에는 상동교 방향으로 전 구간이 정체되면서 항상 지옥이 펼쳐진다. 전 구간이 원활할 때는 서대구IC~상동교까지 20분 안쪽으로 갈 수 있지만, 퇴근 시간 때 잘못 걸리면 도시고속도로 오르막부터 막히기 시작해서 상동교 끝까지 그대로 쭉 밀리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적어도 1시간, 고장차나 사고라도 났다면 1시간 30분 이상도 걸린다. 게다가 편도 2차로라 사고 및 고장이 발생하면 처리 시간도 상당히 오래 걸려서 재수 없으면 수십 분 동안 꼼짝도 못 하고 계속 서있는 경우도 있다. 동대구터미널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오고가는 고속버스도 신천대로 경유가 기본이라, 헬게이트를 부채질한다.[12] 대구광역시의 도시 규모에 비하면 왕복 4차로의 도로는 심각할 정도로 비좁아서 추가적인 지하화 도로 건설 등이 필요하지만, 예산 문제로 미뤄지고 있다.

이에 대체 도로가 없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구 사람들끼리는 "신천대로는 아침, 점심, 저녁,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날씨가 맑으나 흐리나 막힌다."라며 과장된 표현을 쓰기도 한다. 그러나 평일 심야가 아닌 이상 이는 어느 정도 맞는 말이며, 실제로 주말 낮의 신천대로는 그냥 도로 모양의 주차장(...)이라고 보아도 좋을 만큼 정체가 심하다.[13]

대구광역시는 신천대로의 만성 체증을 풀기 위해 서변대교 지하에서부터 상동교까지 지하 고속화 도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

자동차전용도로임에도 불구하고 침산교에서 상동교까지 인도가 설치되어 있다. 당연히 본선은 황단보도가 없기 때문에 길을 건널 수 없지만 각 지하차도 상단도로에 횡단보도가 있으니 거기로 건널 수 있다.

전 구간 제한속도 시속 80km이지만 서대구IC 쪽으로 양갈래로 벌어지는 도로는 급커브 때문에 자동차전용도로임에도 불구하고 시속 60km이다.

4. 구간

신천동로에 비해서는 진출입 방법이 매우 쉬운 편이지만, 초행에 내비게이션이 없다면 헤매거나 낚이기 좋다.
소재지 이름 접속 도로 비고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남대구IC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구마로, 성서공단로 기점
장기동 성서IC 30번 국도( 달구벌대로)
용산동 용산램프 새방로 [14]
서구 중리동 중리램프 장산로 [15]
상리동 새방골램프 북비산로 [16]
서대구IC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북비산로 [17]
상리램프 북비산로 [18]
비산동 이현램프 서재로
12 매천대교 매천로
1 팔달교 4번 5번 국도( 칠곡중앙대로, 팔달로)
북구 노원동 3공단램프 노원로19길 [19][20]
노곡동 노곡교 노곡로, 노원로17길 [21]
침산동 조야교 오봉로, 조야로
서변대교 서변남로( 북대구IC) [22]
2 침산교 4번 국도( 노원로, 동북로)
3 성북교 성북로
4 도청교 중앙대로 [23]
5 경대교 침산남로 [24]
칠성로2가 칠성고가하단 공평로 [25]
칠성로1가 칠성교 신암로 [26]
신성교 신성로, 칠성가구시장로2길
중구 동인동3가 6 신천교 태평로
동인동4가 7 동신교 국채보상로
대봉동 8 수성교 달구벌대로
9 대봉교 명덕로
남구 이천동 10 희망교 희망로
봉덕동 11 중동교 대덕로, 청수로
상동교 앞산순환로, 상화로
두산교 무학로
수성구 파동 용두교 파동로51길
파동IC 앞산터널로( 4차 순환선)
달성군 가창면 용계교 북단 30번 지방도( 가창로) 종점

5. 사건사고



[1] 남대구IC~가창우체국삼거리 [2] 도로명주소법에 따른 구간 [3] 도시고속도로 구간 포함 [4] 길이 차이가 많이 나지만 4차 순환선이 개통됐다. [5] 이륜자동차는 긴급자동차만 출입이 가능하다. [6] 그런 점에서 언젠가 청주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게 대구시 측에서 대처를 잘 해야 할 것이다. [7] 대구 시내 도로 교통에서 달구벌대로, 신천대로, 순환도로 정도만 알면 대구 시내 도로망이 머리에 쉽게 들어올 정도로 간단하다. [8] 도로 교통 대비며,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노선은 꽤 선형이 좋다. [9] 한편, 1993년 1월 31일 MBC 뉴스센터에서는 신천대로를 통한 편법운행이 보도됐다. # [10] 또한 1998년 개편 이전 뉴스센터에 보도된 7번, 85번 이외에도 순환선인 55-1, 101, 111번 버스가 대구 도심 일부구간 교통 정체로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편법으로 신천대로를 통해 우회하기도 하였다. 이런 편법 우회운행은 정작 시내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불편으로 돌아갔다. 결국 1998년 개편 이후부터는 이런 편법 운행이 사라지고 정규 노선 운행종료 후 차고지로 회송 목적 이외에는 절대 신천대로로 우회 운행하지 않는다. [11] 10위권 내로, 지방 유일. [12] 만평네거리 ~ 평리네거리 구간도 헬게이트인지라,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출발하는 고속버스는 아예 팔달교 옆길에서 P턴해서 서대구IC로 간다. [13] 그나마 평소에는 침산교~상동교 구간을 병행해서 달리면서 혼잡시간대에는 쌍으로 터지 신천동로로 어느 정도 통행량이 분산이 되지만 폭우라도 쏟아져서 침수 위험으로 신천동로가 폐쇄되기라도 하면 그 때부턴 헬게이트 확정이다. [14] 남대구IC 방향 진출 전용 [15] 서대구IC 방향 진출, 진입 허용 [16] 진입 허용, 진출 불가 [17] 진입 허용, 진출 불가 [18] 진입 허용, 진출 불가 [19] 가창 방면 진출입 전용 [20] 남대구방면으로도 램프를 내려다가 고가차도를 반대하는 공단 사업주들 요청에 따라 무산되었다. [21] 남대구 방면 진출입 전용 [22] 남대구 방면만 진입 전용, 모든 방면 진출 허용. 다만 가창 방면으로 진출 시 침산교 지하차도 상단 이용 불가하므로 성북교 지하차도에서 유턴을 받아야 한다.(과거에는 가능했으나 안전사고 문제로 인해 막아놨다.) [23] 남대구 방면 진입, 가창 방면 진출 전용 [24] 남대구 방면 진출, 가창 방면 진입 전용 [25] 남대구 방면, 가창 방면 진입 전용 [26] 진출입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