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23:31:32

가창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33B540>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c63b7> 논공읍 다사읍 옥포읍
유가읍 현풍읍 화원읍
가창면 구지면 하빈면
}}}}}}}}} ||
달성군
가창면
嘉昌面 | Gachang-myeon
<colbgcolor=#33b54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달성군
행정표준코드 3480022
관할 법정리 12리
하위 행정구역 27행정리 123반
면적 111.33㎢
인구 7,120명[1]
인구밀도 65.39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달성군

추경호 (재선)
대구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하중환 (초선)
달성군의원 | 가 선거구

신달호 (초선)

전홍배 (초선) }}}}}}}}}
행정복지센터 가창로 1100 (용계리 82)
가창면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지리3. 수성구와의 연관성
3.1. 수성구 편입?3.2. 남구 편입?
4. 명소5. 교통
5.1. 도시철도(예정)5.2. 시내버스5.3. 시외버스
6. 행정구역7. 사건사고8.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동부에 있는 .

면적은 111.33㎢으로, 달성군의 읍, 면들 중 가장 넓지만 대부분이 산지다.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 서쪽으로는 달성군 화원읍, 논공읍, 옥포읍,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이서면과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수성구 파동에 접해 있다.

조선 건국 직후까지는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남구 일대에 있던 옛 현인 수성현의 일부였던 곳이다. 1419년 수성현이 대구군에 편입된 이래 대구도호부(1466년 승격)의 일부가 된 상태로 내려오다가,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구부의 교외 지역과 현풍군이 합쳐져 달성군이 신설되면서 달성군에 속하게 되었다. 이 때 기존 대구부 상수서면, 상수남면, 하수남면이[2] 가창면으로 통합되어 만들어졌다. 1957년에는 대구시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가 1963년에 달성군으로 환원되면서 다시 생겨났고, 1995년 달성군이 대구광역시에 재편입되면서 다시 대구에 속하게 되었다.

2. 지리

지리적으로 다른 달성군의 동네와는 꽤 차이가 크다. 낙동강으로 인해 넓은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는 달성군의 다른 동네와 달리, 가창면은 거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신천 상류가 면 가운데를 지나며, 그 주위에 약간의 평지가 있을 뿐이다.

역사적으로도 달성군의 다른 읍면들은 옛 현풍군 소속이거나, 조선 전기~중기까지의 화원현, 하빈현과 연계된 지역인 것과 달리, 가창면은 달성군의 읍면 중 유일하게 수성현과 연계된 지역이다.

지도상으로는 달성군의 타 , 과 붙어 있지만, 중간에 비슬산, 최정산같은 큰 산들이 이들 사이를 막고 있어서 달성군의 다른 동네로 가려면 대구 시내의 다른 자치구를 무조건 거쳐야 하는 월경지다. 이로 인해 주소상으로만 달성군일 뿐, 실질적으로는 수성구 생활권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직접적으로 다른 달성군 지역과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파동IC 기준으로 서로는 앞산터널 상인동, 달성군 화원읍으로의 이동을, 동쪽은 범물터널[3] 범물동으로의 이동을 빠르게 해준다.

3. 수성구와의 연관성

가창면은 예전부터 사실상 수성구 파동과 붙어 있었다. 파동도 원래 가창면 관할이었기 때문에 가창면은 거의 수성구 생활권을 같이 공유하고 있다. 전화 국번 상동 쪽의 국번(760번대)을 쓰고, 우편도 대구수성우체국 관할이다. 가창119안전센터 역시 수성소방서 관할이다. 학군도 달성군의 다른 지역과 다르게 중구, 동구, 북구, 수성구와 같이 1학군에 편성되어 있다. 아예 1957년에는 달성군에서 대구시로 편입되어 지역이기도 했다.

경상북도의 경우는 1988년 이전까지 · 지역에도 밑에 동이 있는 곳이 많았다. 하지만 이쪽은 정말 대구시 산하의 동으로 편입된 경우이다. 만약에 수성구 편입이 성사될 경우, 가창면은 다시 동으로 전환된다.

1963년에 파동을 제외하고 달성군으로 환원되고 면이 다시 설치되어 현재에 이른다. 이 당시 마찬가지로 시의 동으로 편입되었고 면으로 환원된 곳으로 같은 군의 공산면(현 동구 공산동), 월배면(현 달서구 월배 지역), 성서면(현 달서구 성서 지역), 광산군(현 광주광역시)의 서창면(현 서구 서창동, 금호동, 풍암동), 대촌면(현 남구 대촌동)이 있다. 가창면을 제외한 이들은 전부 도시 확대에 의해 동으로 재편입되면서, 가창면만이 유일하게 면 입지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됐다.

케이블 방송 SO의 경우도 다른 달성군 지역은 SK브로드밴드 TCN방송과 푸른방송 섹터지만, 가창면 지역은 수성구/동구 지역과 마찬가지로 LG헬로비전 대구방송과 CMB 대구방송의 섹터에 해당된다.

전화 국번이나 우편, 학군 등 웬만한 인프라를 수성구와 공용하는 가창면이지만, 단 하나 예외가 있다면 등기업무 구역이다. 수성구 동구 효목동 동구시장 입구[4]에 있는 대구지방법원 등기국의 등기업무 구역이지만, 가창면은 달성군의 다른 읍, 면과 마찬가지로 달서구 용산동에 있는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등기과의 등기업무 구역이다.

3.1. 수성구 편입?

이러니 수성구 편입 떡밥이 수시로 정치권에서 입에 오르내린다. 2020년에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공약으로 나오자 공방이 벌어졌다. #


2023년 3월 9일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달성군 월경지 다사읍 하빈면 달성군의 다른 지역과의 교통이 그리 불편하지 않아 제외했다고 청년의꿈에서 밝혔다. #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행정안전부 승인과 대구광역시의회 의결 등 절차가 복잡하므로 조율이 필요하다고 하며 군위군 대구광역시 편입될 때 불합리한 행정구역을 재조정하는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이라 말했다. #1, #2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을 검토하는 가운데 최재훈 달성군수가 이에 반대하는 발언을 내놨다.

2023년 3월 24일, 달성군에 따르면 최재훈 달성군수는 지난 23일 수성구 편입 반대 주민들과의 비공식 간담회에서 “가창면을 잃어버린 군수가 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 주민 의견 수렴도 없는 갑작스러운 행정구역 개편 소식에 부동산 시장은 혼란해지고, 찬반 주민 사이 갈등의 골도 깊어지게 되었다. #

만약 가창면이 수성구로 편입된다면 수성구의 면적은 187.87㎢로 동구의 면적 182.15㎢를 뛰어넘어 대구광역시 자치구 중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5] #

2023년 3월 24~26일 여론조사 결과, 가창면 주민의 65.3%가 수성구 편입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23년 5월 17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을 위해 대구광역시의회 동의를 얻는 절차에 들어간다. 2023년 6월 개최되는 대구광역시의회 정례회에 '경계변경 조정신청 동의안'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대구광역시의회는 해당 안건을 6월 정례회 상임위원회와 본회의에 상정, 동의 여부를 확인한다. #

2023년 5월 30일, 가창면 수성구 편입 설명회는 편입 찬성파와 반대파끼리 서로 충돌하는 일까지 벌어져 중단되기도 했다.

2023년 6월 2일, 대구광역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와 달성군의 관할구역 경계변경 조정 신청에 대한 동의안'을 대구광역시의회 제출했다. 그러나 주민과의 갈등을 피할 수 없었다. 대구광역시 측에서 상황을 설명하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방해 및 반발로 설명회는 50분만에 취소되었다.

이렇게 수성구민과 달성군민 중 어느 한쪽에서도 편입에 대한 확실한 지지를 받지 못했지만 시에서는 계속 편입을 추진했다. 하지만 2023년 6월 23일, 대구광역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 대구광역시 달성군 수성구의 관할구역 경계변경 조정 신청에 대한 동의안'에 대한 안건 심사 후 표결했으며, 재석 의원 6명 중 찬성 1표·반대 5표로 부결되었다. #

이후 최재훈 달성군수는 2023년 7월 6일 대구·경북 언론인 모임인 '아시아포럼21'의 릴레이정책토론회에서 '정대리와 옥포읍 반송리를 연결하는 군도 3호선 개통', '가창면민종합복지회관 건립', '면사무소 리모델링', '가창댐 주변 둘레길 조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3.2. 남구 편입?

매우 마이너한 주장이기는 하지만, 드물게는 수성구가 아닌 남구로 편입하자는 주장도 있다. 일례로 2009년 당시 남구에서도 가창면과 파동의 편입을 추진했던 적이 있었다. #

4. 명소

대구 시민들의 휴양지들이 밀집해 있는 곳으로 대표적인 곳이 워터파크인 스파밸리, 에코테마파크 대구숲(옛 냉천자연랜드, 허브힐즈, 힐크레스트), 한국마사회 TV경마장이 있다.

여름이 되면 신천에 물놀이장이 개장하기 때문에 가창으로 가는 차량들이 상당히 많아 여름만 되면 스파밸리 근처에서 차가 밀리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팔공산은 대구 시내에서 많이 멀고, 팔공산은 대구 시내와 절대로 가깝지 않다.[6] 성주군[7]은 시외라 이 곳을 많이 선택한다.

가창면은 나름 유명한 찐빵의 명소다. 가창면의 입구인 가창교를 지나면 길지는 않지만, 거기서부터 찐빵집들이 주루루룩 늘어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가창찐빵골목 문서 참조.

볼 만한 장소로는 위에서 서술한 냉천리의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우록리의 녹동서원이 있다. 스파밸리는 영화 색즉시공 2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5. 교통

5.1. 도시철도(예정)

대구 도시철도 6호선(구.수성남부선)이 추진 중이다.

5.2. 시내버스

달성군 가창면 경유 시내버스(4번 권역)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급행2번, 급행10번[신설예정]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14px" 240 · 304번 · 405번 · 413번 · 449번[폐지]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14px" 가창2번, 수성5번[신설]
농어촌(청도) 0번(청도)

대중교통 중 시내버스같은 경우 달성군의 타 읍, 면과 비교할 때 면 소재지 치고는 교통편이 아주 좋은 편이지만, 2003년에 윗동네 파동에 있었던 시내버스 종점들이 파동 재개발로 없어지고 스파밸리 개장 때 회차지가 생긴 이후의 이야기다. 그 전에는 704번[11] 에코테마파크 대구숲[12]으로 항상 다녔고, 그 외 지역은 204번[13]이나 439번을 시간 맞춰서 이용해야 했다. 청도버스 경산버스의 시외버스 노선은 그 전에도 항상 다녔다.

그러다가 스파밸리와 마찰이 생긴 후 시내버스들이 노상에서 대기하다가, 2008년 10월 2일에 대일리 가창초등학교 건너편으로 시내버스 회차지를 옮겨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로 인해 대일리까지 교통이 편해졌다. 현재 가창면 구석구석을 이어주는 가창2번, 대일리까지 운행하는 급행2번, 240번, 413번, 449번, 그리고 삼산리차고지까지 이어 주는 304번, 405번, 심지어 청도까지 이어 주는 0번(이서, 풍각)과 0-1번(이서, 화양, 청도), 경산버스 시외노선(각북, 풍각)도 다닌다! 웬만한 대구광역시 주요 장소에 가는 버스노선 정도는 다 있기 때문에 이들 중 아무거나 골라 타고 가도 될 정도로 대중교통이 정말 좋은 편에 속하며, 심지어 청도읍으로 가는 버스도 있다!

다만 경산버스의 시외버스 노선 중 이서 경유 풍각행은 적자로 폐지됐으며, 헐티재(각북) 경유 풍각행만 1일 3회 다닌다. 동대구터미널 개장으로 남부정류장이 폐쇄된 후 헐티재 경유 풍각 노선은 용계리로 크게 칼질당했다. 유일하게 가창과 이서를 오고가는 0번 동대구터미널로 연장되어 정상 운행 중이지만, 동대구터미널이 개장하고 1주일 있다가 기본 요금을 인상함과 동시에 대구 관내만 이동시에도 몇몇 경기도 시내버스처럼 거리비례제를 적용하면서 요금이 비싸져 버렸다.

그리고 상원리 안쪽이나 주리 안쪽으로는 아예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않는다. 그리고 삼산리 최남단의 범골 일대는 가창2번 범골행을 폐지하면서 청도버스만 다니고 있다.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449번이 폐지되고 급행10번 수성5번이 신설된다.

5.3. 시외버스

<colbgcolor=#008837> {{{#!wiki style="margin: -12px 0;" <tablebordercolor=#008837> }}}
<colcolor=#fff> 터미널 동대구 · 서대구 · 북부 · 서부 · 군위
정류소 서대구역 · 용계역 · 현풍 · 효령 · 우보
기타 용산역( 서부정류장행 하차 전용) · 태전역( 북부정류장행 하차 전용) · 용계( 가창) · 구효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폐쇄/운행중단 터미널 · 정류소 목록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8837><colcolor=#fff> 터미널 대구 동부 남부 · 현풍(시외)
정류소 대구혁신 · 시지 · 대구공항
}}}}}}}}} ||
{{{#!wiki style="margin: 0 -8px"
서울 · 부산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세종

국도로 운행하는 일부 시외버스가 용계리와 냉천리에 정차한다.

6. 행정구역

7. 사건사고

8. 출신 인물


[1] 2024년 7월 주민등록인구 [2] 면명에 공통적으로 수(守)가 들어가는데, 수성현을 대구에 편입하면서 수성현 지역을 수현내면, 수북면, 수동면, 상수서면, 하수서면, 상수남면, 하수남면의 7개 면으로 쪼갠 것이다. [3] 이 터널을 통과하면 나오는 범안로를 통해 수성구 연호동이나 더 나아가 동구 율하동, 안심동으로의 이동도 교통 상황만 원활하다면 10분 내외로 이동이 가능하다. [4] 옛 조달청 대구지청 자리로, 대구지방조달청 승격과 함께 달서구 이곡동으로 청사를 이전한 후 옛 조달청 건물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대구지방법원 등기국을 신축했다. [5] 전국 최대 면적 자치구 타이틀의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222.78㎢에는 다소 못 미친다. [6] 동구 공산동의 중심지인 지묘동에서도 팔공산은 최소 차로 20분은 더 가야 나올 정도로 멀며, 가장 멀리 떨어진 능성동 등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다못해 대구 1호선 아양교역에서 택시 타고 팔공산 동화사지구까지 가는데 택시비가 10,000원 이상 깨진다. 거기다가 팔공산도 여름만 되면 엄청나게 붐빈다. 시내에서 급행1번 타더라도 동화사까지 기본 50분이다. [7] 아라월드, 포천계곡, 무흘구곡 등... 거기다가 전부 다 접근성이 나쁜 금수 쪽이다. [신설예정]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된다. [폐지]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폐지된다. [신설] [11] 그것도 당시에는 요금이 비싼 좌석버스였다. 2006년 10월에 일반버스로 전환됐다. [12] 구.냉천자연랜드 - 허브힐즈 - 힐크레스트 [13] 현재의 204번과 다른 노선이다. 저 때의 204번은 서구 이현동 국일여객 차고지(나중에 상리동 가르뱅이로 변경)에서 우록리/단산리로 다녔던 오지노선 133번에 기원을 두고 있고, 현 204번은 2006년 2월에 폐지된 노선인 900번에 기원을 두고 있다. 그나마 두 노선은 상리동( 신천대로 하단) - 서대구역네거리(옛 이현삼거리) 구간만 똑같다. [14] 일반중학교는 아니고, 뮤지컬 계열 특성화 중학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