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5 15:32:55

남대구IC

남대구 나들목
南大邱 나들목
South Daegu Interchange
남대구 요금소
South Daegu Tollgate
현풍 방면
유천IC
← 3.1 km
파일:Expressway_kor_451.svg 금호 방면
서대구IC
4.8 km →
시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가창 방면
성서IC
1.6 km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관리기관
중부내륙지선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군위지사
신천대로 대구광역시
개통
1993년 12월 1일
접속도로
구마로 · 성서공단로

1. 개요2. 구조
2.1. 대구 방향2.2. 현풍 방향
3. 역사4. 특징

[clearfix]

1. 개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6번. 대구광역시 달서구 중부내륙지선고속도로 23 ( 월성동 1028-1) (남대구영업소)에 있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나들목과 더불어 신천대로의 시작점. 명칭은 소재지인 대구광역시에서 유래했다.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의 이 나들목 서대구 나들목 사이에 성서 나들목이 있었으나 2010년 6월 30일에 신천대로의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2. 구조

위키백과에 남대구 나들목의 구조도가 나와 있다.

2.1. 대구 방향

2.2. 현풍 방향

3. 역사

4. 특징

==#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풍JC( 파일:Expressway_kor_45.svg )/ 현풍IC - 현풍SA/ 북현풍IC - 달성IC - 옥포JC( 파일:Expressway_kor_12.svg ) - 화원옥포IC - 유천IC - 남대구IC - 서대구IC - 금호JC( 파일:Expressway_kor_1.svg · 파일:Expressway_kor_55.svg ) }}}}}}}}}


[1] 西邊등 3개 인터체인지 곧 건설, 1990-08-19, 매일경제 [2] <지방단신> 南大邱IC-城西공단 도로 개통, 1993-12-01, 연합뉴스 [3] 안동 방향으로 이 나들목 인근을 지나가다 보면, 상부의 거리 표지판에는 중앙고속도로 직결을 감안해 안동 82km가 적혀 있다. [4] 예전에는 서대구 나들목으로 진입한 후 화원요금소를 이용했지만, 화원 나들목이 화원옥포 나들목으로 바뀌고 설화리 시내버스 종점 근처에서 옥포 방향으로 이전한 후에는 서대구 나들목으로 진입한 후 남대구요금소를 찍고 간다. [5] 그래서 마창 지역에서 출발한 고속버스들이 서울로 갈 때 현풍 ~ 김천 구간이 열리기 전에는 화원 나들목에서 요금을 한 번 내고 남대구 나들목을 통과한 뒤 서대구 나들목에서 또 한 번 통행권을 받기 위해 직진하러 가는데, 이 구간에서 엄청나게 시간을 잡아먹었다. 게다가 마창권 노선들 중 중간 승하차 때문에 마산 내서를 오고가는 고속버스 운행 차량은 서마산I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내서JC로 다니는데, 이 때도 요금을 한 번 더 내야 해서 내서고속버스터미널이 개장한 직후 현풍 ~ 김천 구간이 열리기 전까지 서울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은 서마산~내서, 칠원~화원, 서대구~서울 구간에서 고속도로 통행료만 총 3회 내야 했다. [6] 그리고 주로 수요일 한정으로 17시부터 19시에는 퇴근길 헬게이트가 오픈된다. [7] 1990년대 중반쯤 개통되었다. [8] 하행인 구라리 및 성산리 쪽으로 진출이 가능했다. 반대쪽(상행)으로 진입하여 무료통행 구간을 이용했으나, 화원옥포 나들목으로 이전한 후에는 안 된다. [9] 고속도로와 도시 고속도로 (신천대로)를 분리하는 공사. 다시 말해 도로를 네 개로 분리하여 가운데 두 개(상행선/하행선)는 서대구 및 남대구 요금소와 그 사이의 나들목을 거치지 않고 서울이나 창원 방향으로 직통하는 도로, 끝에 두 개는 서대구 혹은 남대구 요금소에서 정산한 뒤 각각의 나들목과 성서 나들목을 통해 대구로 진입할 수 있는 도로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도로를 대폭 확장하고 남대구 나들목 역시 기존에 없었던 진출입로를 추가하고 대대적인 구조 개량을 통해 지금의 복잡한 모양으로 바꿨다. [10] 이에 따라 고속도로 본선에 위치하였던 화원TG가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