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5:54:27

몰락 작전

다운폴 작전에서 넘어옴
몰락 작전
沒落作戰 | Operation Downf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작전 지도 및 상상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몰락 작전 지도.jpg
몰락 작전 당시 미군의 진격 계획로

파일:external/www.westpoint.edu/ww2%20asia%20map%2052.jpg
1945년 8월 15일 기준 점령지 지도

파일:1945-08-01JapWW2BattlefrontAtlas.jpg
1945년 8월 초 제해권을 보여주는 지도[1]

파일:attachment/Luke.jpg
미 육군 항공대 B-35 편대가 P-51-XRJ-30-MA[2] 호위 편대와 함께 공습을 하고 귀환하는 도중 일본 육군 항공대 소속 Ki-98의 공격을 받고 있는 모습의 상상도
}}}}}}}}} ||
1. 개요2. 구성
2.1. 핵폭격2.2. 올림픽 작전
2.2.1. 파스텔 작전
2.3. 코로넷 작전2.4. 번외: 타국과의 합동 작전
3. 방대한 작전 규모의 이유4. 취소된 원인5. 실행 시 예상 규모
5.1. 미군과 연합군의 예상 피해 규모5.2. 일본군/민간인의 예상 피해 규모
6. 작전 실행 후 각국의 예상 시나리오7. 각종 매체에서의 몰락 작전8. 관련 문서

1. 개요

The result of the futile and senseless German resistance to the might of the aroused free peoples of the world stands forth in awful clarity as an example to the people of Japan. The might that now converges on Japan is immeasurably greater than that which, when applied to the resisting Nazis, necessarily laid waste to the lands, the industry and the method of life of the whole German people. The full application of our military power, backed by our resolve, will mean the inevitable and complete destruction of the Japanese armed forces and just as inevitably the utter devastation of the Japanese homeland.

각성한 전 세계 자유인들의 힘에 대한 독일의 무의미하고 헛된 저항의 결과는 일본 인민들에게 하나의 사례로써 지독하고 명확하게 다가온다. 이제 일본에 집중되는 그 힘은 저항하는 나치에 가했을 때, 어쩔 수 없이 모든 독일 인민들의 산업과 삶의 터전인 땅들을 초토화시켰을 때보다도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하다. 우리의 결의가 지지하는 우리의 모든 군사력의 적용은 일본군의 완벽하고 필연적인 전멸과 그에 따라 어쩔 수 없는 일본인의 고향의 철저한 파멸을 의미할 것이다.
포츠담 선언 중 일부
몰락 작전(Operation Downfall / ダウンフォール作戦)은 제2차 세계 대전 후반기, 연합군이 구상했던 일본 제국멸망시키기 위한 공세 작전이다. 이 작전은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소련-일본 전쟁의 발발로 일본 제국이 항복하여 실제로 실현되지는 않았으나, 만약 실행되었다면 연합국의 압도적인 군사 전력이 일본 본토에 그대로 투사됨으로써 일본 열도가 광범위하게 파괴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 투입되는 육해공 병력은 올림픽 작전(Operation Olympic)에서 약 70만 여명, 코로넷 작전(Operation Coronet)에서 약 110만 여명으로 총합 180만 여명의 병력이 일본 제국 본토에 투사될 예정이었다. 이 또한 초기 투입 전력으로 작전이 장기화될 시 더 많은 전력이 투입되었을 것이며, 서방 연합국뿐만 아니라 소련까지 일본 제국을 침공한 실제 역사를 고려할 때 일본을 공략하는 군사 전력은 매우 막대했을 것으로 보인다.

오버로드 작전을 초과하는 분량의 대규모 상륙 작전으로써, 미국에서부터 태평양을 건넌 수백만 명의 보급을 필요로 하는 이 계획은 종전 시점에서 타국을 압도하는 산업력을 보유하고 있던 미국만이 가능한 작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미국 또한 예상되는 천문학적인 인명피해[3]와 그로 인해 발생할 자국 내에서의 정치적 후폭풍[4] 등이 걸림돌이 되어 최대한 이를 피하고자 포츠담 선언,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등으로 일제의 항복을 유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내어 몰락 작전은 취소되었다. 따라서 항복을 선언한 일본이나 작전을 중단한 연합군이나 각자 최악의 상황은 면하게 되었다.

이후 이를 대체해 일본의 점령과 통치를 위한 미군의 신속한 전개를 목적으로 블랙리스트 작전(Operation Blacklist)[5]과 빌리거 작전(Operation Beleaguer)[6]을 발동되었으며, 일본은 'GHQ'라고 불리는 연합군 최고 사령부에 의해 7년 간 관리되는 상태가 되었다.

2. 구성

이 작전은 크게는 올림픽, 코로넷 작전으로 구성된다.

2.1. 핵폭격

상륙전에 앞서 미군핵폭격으로 일본군의 방어선을 증발시켜버릴 계획을 짜고 있었다. 히로시마·나가사키 핵폭격 직후 육군참모총장 조지 C. 마셜의 지시로 공병대의 존 헐(John E. Hull) 중장은 핵무기 책임자이던 라일 시먼(Lyle. E. Seeman) 대령에게 핵폭격 준비 상황을 묻는 전화를 걸었다. 이 통화를 기록한 녹취록에 따르면 라일 시먼 대령은 몰락 작전 직전까지 최대 7개의 핵폭탄[7]을 준비할 수 있고, 투하 계획과 그 적당한 날짜에 대한 견해 그리고 핵무기 투하 후에는 될 수 있으면 6일 이상 아무리 빨라도 3일은 지나서 상륙 작전을 시작하고, 핵폭격 48시간 전까지는 어떤 병력도 핵폭격 지점에 들어가지 말 것을 권고한 상세한 매뉴얼도 준비된 상태였다. 출처. 거기에 비축된 핵무기를 전부 쓰는 것을 생각해보면 상륙 뒤에도 핵무기가 만들어질 때마다 필요한 곳에 하나씩 폭격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만 문제는 당시까지는 방사선이 뭔지 알고는 있었으나 위험성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라, 피폭의 위험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작전이 계획되었다는 점이다. 원자폭탄도 그냥 존나 센 폭탄 정도로만 알려졌을 정도로. 게다가 폭심지에 미군을 상륙시켰다간 전후 피폭 후유증으로 미국 전역이 고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2.2. 올림픽 작전

파일:attachment/b0052733_47542103ab6f3.jpg
규슈 남부의 일본군 배치와 미군의 상륙 예정지

올림픽 작전(Operation Olympic)은 1945년 11월 1일에 규슈 남부에 14개 사단 250,000명의 육군[8]과 90,000명의 해병대, 지원을 위한 항공모함 42척을 시작으로 전함 24척, 400척 이상의 구축함, 수천 대의 상륙정, 그리고 약 2,000기의 항공기를 동원하는 작전이었다.

8월 17일(X-75일)부터 일본 본토 전역에 걸친 대규모 전략폭격, 항모 기동부대에 의한 전략 요충지[9] 핀포인트 폭격과 기동함대의 대규모 연안 함포 사격이 개시될 예정이었다. 이는 간토 및 혼슈와의 연락선 차단, 잔존한 일본 해군 함정의 격멸, 철도와 도로의 수습점, 중요한 교각이나 터널 등 교통 요충 시설 파괴, 상륙 지점의 일본군의 손실 도모가 목적이었다.[10]

또한 대륙에 전개한 일본 육군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 중국 본토 연안부나 시코쿠에서 견제 작전을, 최종적으로 10월 28일(X-4일)에 선발대로 정예 제158연대 전투단의 타네가시마 강습 상륙과 제40보병사단의 고시키지마 열도의 상륙도 함께 실행될 예정이었다. 10월 31일(X-1일)에는 항공 폭격 및 주력 전함 최소 20척을 동원한 전함의 대지상 함포 사격[11]을 상륙 지점의 포대와 발화점에 집중하여, 상륙 지역 인근 해상과 육상의 모든 장애물을 배제하고 X-day인 11월 1일 오전 6시에 맥아더 원수의 진두지휘 아래 지상 주력본대에 의한 대규모 상륙을 개시한다.

이때 전함 24척 동원이 가능한지에 대하여 세어보면 일단 종전(1945.8.15) 기준으로 23척이 나온다.

이 작전은 큐슈 남부 점령 이후 종료될 예정이었는데, 코로넷 작전(후술)에 동원될 공군의 기지 확보가 목적이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주요 목표는 가고시마 만과 비행장 건설에 용이한 미야자키 평야 일대로, 이를 신속히 탈취하기 위해서 미야자키 해안에 미 제1군단(육군 제25/33/41보병사단)을 필두로 제11군단(제43보병사단, 제1기병사단, 아메리칼 사단(Americal Div)), 그리고 일본 육군의 강한 반격이 예상되는 큐슈 서부엔 최정예 제5수륙양용 군단 휘하 2개 해병사단(제3/4 또는 제2/5해병사단)의 동시 상륙이 예정되었고, 전술한 최소 60척 이상의 항모와 30척 이상의 전함, 350척 이상의 구축함으로 구성된 연합군의 대함대가 이를 지원한다.

상륙 후 각 부대는 11월 4일(X+3일)까지 해안 교두보를 확보, 11월 6일(X+5일)에는 미 제9 군단(제77/81/98보병사단)이 전략 예비대로 가고시마 만에 추가 상륙해 상륙부대의 손실 보충과 부대 교환을 마치며, 이후 상륙군은 큐슈 약 1/3을 가르는 선을 북진 한계점으로 삼아 카와치 북부의 산맥을 방어선으로 설정해 일본 육군의 예상되는 반격을 저지한다는 2단계 작전이 계획되었다.

최종적으로 작전은 12월 1일(X+30일)에 종료될 예정이었지만 예상치 못한 일본군의 격렬한 저항으로 작전이 지연될 때는 코로넷 작전에 투입될 부대를 이쪽으로 돌리거나 원자폭탄, 독가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계획도 수립되었다.[13]

여담으로 리틀 데이비드 1문과 설치용 장비 한 세트가 올림픽 작전 시 전개할 병력과 장비 중에 들어 있었다.

2.2.1. 파스텔 작전

파스텔 작전(Operation Pastel)이라는 올림픽 작전을 은폐하기 위한 기만 작전도 준비해뒀다. 하지만 이 작전은 총 8만(!)의 병력을 시코쿠에 상륙시키는 '기만'이라는 말이 무색한 대규모 작전이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D-day에 1진으로 상륙한 병력이 이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기만 작전에 동원된 이 8만의 병력조차 당시 잔존한 일본 본토 수비군으로는 막아내기 힘든 실정이었다. 1억 옥쇄는 고사하고 일선 병사에게 보급되는 탄약과 총기조차 만들기 벅찬 상태였으니.

2.3. 코로넷 작전

파일:attachment/b0052733_475421b100a69_(1).jpg
코로넷 작전(Operation Coronet) 간토 침공 작전 시 미군 상륙 예상지점과 일본군의 배치.

코로넷 작전은 1946년 3월 1일에 혼슈 지방에 720,000명의 병력과 약 3,000기의 항공기를 동원하는 관동 상륙 작전이다. 상륙 뒤 도쿄로 진격한다.

이 코로넷 작전에서는 상륙 예정 지역에 대한 대규모 항공 공격, 함상 포격이 2월 13일(Y-15일)부터로 올림픽 작전(X-1일)보다 길게 잡혀있었는데, 이것은 큐슈보다 시간에 여유가 있기에 일본군도 그만큼 방비를 굳힐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또한 소해와 수상 장애물 제거에 투입될 시간도 2월 24일(Y-4일)부터로 올림픽 작전보다 길었는데, 물론 이 이후에도 간토 각지에 대한 대규모 폭격은 더 밀도 높게 실시될 예정이었다.

Y-day는 1946년 3월 1일로, 주 상륙 지점은 치바 현 쿠쥬쿠리 해안과 가나가와 현 사가미 만 2곳이었다. 쿠쥬쿠리 해안에 상륙하는 부대는 호지스 대장의 미 제1군으로, 작전투입 병력은 Y-day에 미 제24군단(제7, 27보병사단)과 제3해병상륙작전군단(제1, 4해병사단)이 선봉으로, 3월 6일(Y+5일)엔 제96보병사단과 제6해병사단이, 그리고 3월 31일(Y+30일)에는 가칭 B군단(제5, 44, 86보병사단)이 상륙하기로 예정되어 있었다.

또한 사가미 만에는 아이켈버거 중장이 지휘하는 미 제8군이 상륙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는데 Y-day에 미 제10군단(제2, 4, 31보병사단)과 미 제14군단(제6, 32보병사단)이, 3월 6일(Y+5일)에 제37, 38보병사단이, 3월 11일(Y+10일)에 미 제13군단(제13, 20기갑사단)이, 3월 31일(Y+30일)에는 가칭 D군단(제4, 8, 87보병사단)이 상륙하는 계획이 수립되어 있었다.

이 밖에 미 제8군은 예비로 제97보병사단을 편제하기로 되어있었는데 그 외에도 태평양 방면 육군 부대의 예비로(전략예비대도 포함) 가칭 C군단(제28, 35보병사단, 2공수사단)과 가칭 E군단(제91, 95, 104보병사단)이 또 있었다. 이렇게 사가미 만에 상륙하는 미 제8군의 병력은 제1군보다 많았는데, 제8군이 담당하는 사가미 만이 코로넷 작전의 주공 방면이었기 때문이다.[14]

2.4. 번외: 타국과의 합동 작전

2.4.1. 소련

만주 한반도 북부, 남사할린, 쿠릴 열도를 점령하기로 미국과 합의했고 개별적으로 홋카이도 진공도 준비했다. 미국 역시 몰락 작전 수행 시 소련의 일본 본토 침공을 지원하기 위해 훌라 프로젝트를 실시해 상륙 역량이 부족한 소련군에 관련 장비를 제공했다. 자세한 내용은 소련-일본 전쟁, 만주 작전, 슘슈 섬 전투, 남사할린 침공 문서 참고.

2.4.2. 영국

영국은 1945년 9월 9일에 클랑 항과 포트 딕슨에 상륙하여 말라야 반도로 남하해 최종적으로 싱가포르를 탈환하는 계획인 지퍼 작전을 계획 중이었다. 그 외에도 아브로 랭카스터 몇십 대가 계획상으로는 '타이거 포스'로 명명된 영연방공군 폭격 부대의 주력으로 활동할 예정이었고 처칠 크로커다일을 대일전에 사용하려고 했으나 조기 항복으로 이는 취소되었다.

2.4.3. 중화민국

카보네이드 작전으로 일본군을 패퇴시켜 중화민국 본토에서 완전히 몰아낼 준비를 하고 있었다.

2.4.4. 대한민국 임시정부

서울 진공 작전 문서 참조. 그러나 폴란드를 비롯한 전후 동유럽의 상황을 보았을 때 국내 진공 작전은 참전 자체의 의의만 있지 영향은 미미했을 가능성이 높다.

2.4.5. 뉴질랜드: 프로젝트 SEAL

뉴질랜드 역시 미국, 영연방과 발 맞추어 일본 본토 상륙을 지원할 예정이었다.

참고로 1944년과 그 이듬해에 미군과 뉴질랜드군은 몰락 작전에 쓰나미 실전 투입할 계획이었다. 통칭 프로젝트 SEAL. 강력한 폭탄을 수중에서 여러 번 폭파하여 충격파를 만들고, 그 충격파로 인하여 발생한 높이 10m 정도의 쓰나미로 해안의 일본군 점령지와 해안 도시들을 초토화한다는 계획이었다. 다만 이 계획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1945년 초에 취소되었다.

3. 방대한 작전 규모의 이유

미군이 몰락 작전을 위해 준비한 물량 및 작전 내용을 보면 정말 몰락이라는 표현에 딱 어울리는 수준이다. 아무리 상륙작전에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지만, 바로 전 해 1945년의 일본 제국보다 더 강력한 전력을 보유하던 나치 독일을 상대로 1944년에 벌어진 노르망디 상륙작전 및 이후 전개한 서부전선의 연합군의 물량과 비교해도 터무니없어 보인다. 후대에 전개된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보다도 훨씬 큰 규모의 작전이었다. 그래서 이에 대해 '왜 미군은 이렇게까지 준비를 했나?'라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답은 간단한데 미군은 '이 정도가 되어야 일본 수뇌부의 전쟁 수행 의지를 완전히 없앨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일본의 전쟁 수행 '능력'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비이성적인 수준의 '의지'를 꺾어 없애는 것이었다. 바로 이 점이 나치 독일과의 차이였다. 당시 독일인들 역시 나치즘에 물들었기에 소년 단원들과 국민돌격대를 전장에 투입하는 등 비이성적인 저항을 지속했지만, 일본 제국의 광기에 비견할 바는 아니었다. 또한 독일군의 방어전은 일본군이 태평양 전역에서 보인 자살 공격과 같은 비정상적인 것도 아니었으며, 자신들의 기술력과 일본과 차원이 다른 고급 교육을 받은 장교단, 아직 소수나마 잔존하고 있는 베테랑 병사들은 일찌감치 서방 연합군에 항복하거나, 아니면 정상적인 방어 작전을 펼쳐 연합군에 피해를 강요했다. 게다가 사면이 바다인 일본 열도의 지형 또한 일본인들에게 근거 없는 자신감을 불어넣었다.

1945년, 일본의 전황은 1944년 6월 독일보다 더 처참한 상태였다. 전황 자체를 만회하기는커녕 상황을 일본에 조금이라도 덜 불리하게 만들 가능성조차 전혀 없었다. 미군은 몰락 작전을 시행하기 한참 전부터 일본 본토 공습과 잠수함 등을 이용한 제해권 장악을 통해 일본의 모든 국내외 교통망을 마비시키고 공업 생산력 등 전쟁 수행 능력을 철저히 파괴하고 있었다. 외교적으로도 일본을 지지하거나 유리한 쪽으로 중재를 해줄 수 있는 국가는 사실상 전무했다. 공식 참전하지 않았던 여러 중립국들도 이 시점에서는 형식적으로나마 연합군에 가담하거나 추축국들과 교류를 끊으려 했다.[15] 일본이 마지막으로 외교 창구로서 믿어왔던 소련도 이미 얄타 회담에서 일본과의 전쟁을 하기로 약속하고 만주 작전의 시행을 위한 준비에 들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1억 총옥쇄', '본토결전'을 주장하며 항전 의지를 꺾지 않았다. 그리고 이미 펠렐리우 전투, 이오지마 전투를 비롯해 태평양의 여러 섬에서 미군은 일본군의 끔찍한 방어전으로 인해 적지 않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미군은 '대체 이 끈질긴 잽[16] 놈들을 항복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근본적인 의구심을 갖게 되었고, 일반적인 물량으로는 의도치 않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게 되며, 이는 결국 일본을 '확실하게' 굴복 시키기 위해선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의 대규모 물량을 투입해야 한다는 판단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미군은 그럴 능력이 충분히 있었다.

4. 취소된 원인

미국은 지속적인 사상자 증가와 전비 부담, 전쟁에 대한 피로 등으로 악화되는 여론과 오키나와에서의 엄청난 피해 등이 해당 작전이 실제로 실행되었을 경우 수십, 수백 배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가능성이 존재했다. 역사학자인 존 키건은 이 당시 미국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다소 섬뜩한 표현으로 묘사했다.
한여름에 미국 정부는 일본의 비타협성에 참을성을 잃고는, 굉장하고 장엄하고 뭐라고 항의할 수 없을 만큼 결정적인 방식으로 전쟁을 끝내고 싶은 유혹에 굴복하기 시작했다. - 존 키건, <2차 세계대전사>. p.856
때문에 미국은 포츠담 선언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등으로 일제의 무조건 항복을 유도했으며, 실제로 원폭 투하는 일제의 무조건 항복을 이끌어냈기에 미국은 이 작전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원폭 투하와 몰락 작전은 양자택일이 아니었음은 분명하다. 미국이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내기 위해 취한 모든 선택지가 무위로 돌아가고 일본이 항복을 거부했다면, 상술한 모든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몰락 작전은 예정대로 진행되었을 것이다. 미 본토에서 반전 여론이 확산되고 있음은 명백했지만[17] 그렇다고 대일전의 의의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고[18] 실행 또한 위에서 언급한 대로 미국은 7발의 핵폭탄과 핵폭격 이후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메뉴얼도 준비되어 있었기에 불가능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여론에 대한 의식은 몰락 작전보다 맨해튼 프로젝트 쪽이 훨씬 강했다. 미국은 맨해튼 프로젝트에 20억 달러가 넘는 거금을 투입했는데, 이는 모두 군사 기밀로 분류되어 공개되지 않은 상태였다. 얼마나 기밀이 높은 수준이었는지, 트루먼 대통령조차 부통령 시절에는 이를 알지 못하다가 루스벨트가 사망하고 대통령직을 승계한 뒤에야 알 수 있었다. 만약 실전에서 핵병기를 쓰지 못한다면 의회와 여론은 당장 20억 달러 어디다 썼냐고 들고 일어설 게 뻔했다.

하지만 당시 미국은 일본을 항복시켜 이후 동아시아에 영향력을 행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기에 작전 실행을 주저하던 면도 부정할 수 없다. 이미 윈스턴 처칠 또한 이후 찾아올 냉전 구도를 예상하여 몰락 작전 이후 소련이 참가하는 일본 분할 통치를 강하게 반대하였고, 당연히 이 작전이 실행되는 데 이는 장애물이 될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일본에는 미국이 내밀 수 있는 최대한의 유화책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독일에 제시한 항복 조건에 비해서 훨씬 자비로운 포츠담 선언, 전후 GHQ 치하에서의 철저한 일본 편의주의, 애치슨 라인,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의 독도에 대한 애매모호한 태도 등에서 너무 명확하게 드러난다. 때문에 미국은 몰락 작전을 실행할 수 있는 압도적인 전력차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일제에 항복을 종용했고, 실제로 포츠담 선언을 묵살 당했음에도 대부분의 조건을 그대로 준수하면서 일본을 철저히 미국의 영향력 하에 놓았다.

다만 이러든 저러든 마음만 먹었으면 실행 가능했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이미 독일이 항복하면서 유럽 전쟁이 종결되었던 시점이라 전비를 축소하면서도 대일전 전력을 증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반 이상의 미군 전력은 유럽에 묶여있었는데 이를 투입할 수 있고, 전비 축소도 병행할 수 있어 반전 여론도 어느 정도 달랠 수 있었다. 해군의 대부분은 태평양에 배치되었고 유럽 쪽 추축군 해군은 영국이 담당하고 있었으며, 위협적인 일본 해군에 대해서는 미 해군이 전력으로 저지하고 해병대로 지연전을 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육군이 투입되어 밸런스가 확 기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육군이 총 100이고, 그 중 50이 유럽, 30이 본토대기 및 예비, 20이 태평양 전쟁에 있다고 치면, 유럽의 50 중 20을 점령군으로 두고 15를 전역시키거나 본토 대기로 돌리고 나머지 15를 태평양으로 돌린 형국에서 독일이 항복했기 때문에 미국은 15의 육군을 줄이는 전비 축소를 하면서 동시에 태평양 전선에 투입하는 육군을 15 늘릴 수 있었다. 물론 수치는 이해하기 쉽게 표시한 것으로 당시 실제 전력비와 일치하진 않는다.

그뿐만이 아니다. 미국에겐 여차하면 연합군을 투입하는 선택지도 있었다. 위의 계획은 어디까지나 미군 단독 작전에 기반한 것으로 투입 전력은 모두 미군이라는 사실을 상기하자. 대 독일 전쟁의 종결은 미군의 유럽전 투입 여력만이 아니라 연합군, 특히 영국군의 투입을 가능케 한다. 영국도 오랜 전쟁으로 상황이 말이 아니긴 했지만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 해전 등의 치욕을 갚아야 한다는 상징적 의미와 전후 아시아-태평양 국제 질서 재편에 참여해야 한다는 정치적 의미가 있었기 향후 대일전 참여에 적극적이었다. 실제 독일 해군 문제가 거의 해결된 1944년 하반기부터 윈스턴 처칠은 해군 주력함 상당수를 인도양으로 후퇴한 동양함대와 신설한 태평양 함대에 배치하였고, 오키나와 전투 종결 이후에는 영국 공군이 오키나와에 전개하기로 약속되어 있었다. 그 외에 호주, 캐나다, 인도 등 영연방군의 존재도 있으며 대륙에서도 카보네이드 작전을 발동해서 중국 대륙의 일본군을 섬멸할 준비를 갖추고 있던 국민혁명군과 미군/국민당군 수송기를 대여해 서울을 공격할 준비를 하던 한국광복군이 대기하고 있었으며, 프랑스 인도차이나 식민지 문제 때문에 숟가락을 얹을 수도 있었다.

그 다음 변수는 몰락 작전을 준비하는 군 지휘부의 핵병기에 대한 인식이다. 미군 태평양 전쟁 지휘부에서도 맥아더 니미츠만이, 그리고 워싱턴 D.C. 행정부 및 군 최고지도부의 극소수만이 존재를 파악하고 있던 핵무기의 존재는 전쟁 막바지에야 통보되었다. 당연히 핵무기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은 포츠담 선언 묵살 이후 몰락 작전만이 답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고, 실제로 일본 본토에 대한 전략폭격을 전담하던 커티스 르메이" 대체 왜 최고사령부는 히로시마, 나가사키, 고쿠라, 교토 등을 폭격하지 못하게 막고 있는가!" 하고 강력히 항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사실 이는 이미 폭격을 받은 도시에 원폭을 떨어뜨려봤자 쑥대밭은커녕 쑥도 못 자랄 땅이 될 뿐이니 최대한 후보지를 멀쩡하게 놔두자는 전략적 판단이었으나 커티스 르메이조차 핵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기에 이런 말이 나온 것이다.[19]

어쨌든 몰락 작전만이 답이라 생각한 전선의 지휘부는 전쟁을 종결 짓기 위한 최종 단계인 일본 본토 침공을 착실히 준비했고, 핵의 존재를 알고 있는 최고지도부 역시 핵무기는 기밀이므로 티나지 않게 몰락 작전 준비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했다. 당장 몰락 작전이 구체화되기 시작한 건 오키나와 전투 직후인 1945년 6월경인데, 맨해튼 프로젝트에 의한 세계 최초의 핵실험 트리니티는 7월 16일에 시행되었다. 그 전에는 핵병기의 성공 여부조차 불확실했고, 트리니티의 성공 이후에는 핵 공격으로 일본이 항복할 거라는 보장이 없었으니 최고지도부 입장에선 핵을 쓰건 안 쓰건 일본 본토 침공을 준비해야 했다.[20]

다만 원자폭탄 투하와 만주 작전이 절묘하게 맞물려 일본이 무조건 항복했기에 이 작전은 시행되지 않았다. 다만 어느 쪽이 일본의 항복에 크게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있는데, 후자의 경우 비록 상당히 약체화된 병력이지만 당시 관동군의 양은 상당했다. 물론 이미 사이판 등 태평양에서 관동군 최정예는 미군에게 처참하게 박살난 지 오래였다. 하지만 소련은 일본의 마지막 외교적 희망이었다. 이미 망해가던 일본이 소련전은 신경도 안 쓰고 있었다지만 이것을 깨부순 게 만주 작전이다. 일본의 항복으로 몰락 작전 대신 블랙리스트 작전과 빌리거 작전이 실행되어 일본은 미국에게 점령 당했다.

또한 아무리 종합적인 전력으로는 허술해도 결국 관동군이 어쨌거나 정식으로 편성된 병력으로서는 일본이 동원할 수 있던 마지막 예비대 자원이고 이미 이오지마, 오키나와 등에서 집단 자살에 가까운 옥쇄 작전을 상대하며 진저리가 난 미국의 입장에서도, 그동안 태평양 전선에서 격파한 일본군 병력 전체보다도 더 많은 숫자의 최대 60만 이상의 병력이 본토 방어전에 투입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신경 쓰이지 않을 수 없었다.[21]

그러나 일본이 관동군을 마지막으로 믿었다기엔 이미 관동군과 지나파견군의 전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지나 방면 사찰을 다녀온 일본 장교들은 관동군과 지나파견군 전체를 합쳐도 미군 8개 사단의 전력도 안 된다고 평했을 정도로 이미 두 군대는 막장이었다. 다 합치면 자그마치 180만에 가까운 대병력을 자국에서 이리 평가할 정도다. 그렇기에 일본이 고작 약체화된 관동군을 믿다가 항복했다는 건 근거가 빈약하다. 히로히토는 이미 8월 6일 히로시마 원폭 투하 당시 항복으로 마음을 굳힌 상태였고 원폭의 공포는 옥음방송에서도 드러났다.

5. 실행 시 예상 규모

5.1. 미군과 연합군의 예상 피해 규모

미군은 펠렐리우 전투, 이오지마 전투 오키나와 전투에서 극단적으로 줄어든 반자이 돌격 대신 매복, 기습, 저격, 위장, 농성, 자폭 등 일본군의 결사항전에 많은 피해를 보았다. 이를 기초로 일본 본토 상륙 작전 시 전사자만 10만 명 이상일 것이라 예상하였다. 작전 규모가 규모인 만큼, 또 일본도 나름대로 방어자 입장에서 있는 거 없는 거 쥐어짜 준비했고 무엇보다 일본 측에서는 홈 어드밴티지가 있는 셈이니까 진짜로 실행되었다면 미군의 전사자도 분명 적지 않았을 것이다. 상륙군의 입장에서 당시 일본 해군의 본토결전 전략을 대입해 생각해 본다면 먼저 카미카제와 공중/지상[22] 발사식 오카가 기동부대에 날아오면 격추 시키겠지만 어쨌든 빈틈을 노리는 녀석이 있을 건 분명하고, 수송함이 근해로 접근하면 가이텐과 신요 보트가 떼로 몰려와 자폭하고, 상륙군이 해안으로 가는 도중에는 물 속에서 창병들이 상륙정을 마구 찔러대고, 자살특공 외에도 수심 10-15m 지점에 깔아놓은 기뢰들과 본토 방어용 해안 포대, 상륙군을 저지할 예정인 부대, 홋카이도와 한반도, 제주도[23] 등에 배치된 소수의 비교적 온전한 전력 같은 정상적인 공격 방법들과 세뇌 반 애국심 반으로 적이 본토에 상륙하는 것만은 막겠다는 병사들의 의지, 어디에서 튀어나올지 모르는 민간인을 이용한 자폭, 이후 일본의 여러 폭심지 혹은 살아남은 도시에서 밥 먹듯 벌일 시가전은 물론 핵이나 화학무기를 투하할 수 없는 촌락이나 깊숙한 숲, 험준한 산맥에서의 광대하고 지루한 게릴라전, 최종적으로 일본 왕실과 수뇌부가 대피하기로 되어 있었던 나가노현 시나노정[24] 대규모 지하 요새를 점령하기 위한 지진 폭탄 대공습과, 산맥이었던 돌무더기(...)에서 벌어질 포위전까지 생각하면 피해가 나오지 않는 게 힘들다.

그러나 그 예상 피해 정도에는 다소의 이견이 있다. 약간 더 설명하자면 미군은 일본의 저항이 심하면 화학무기를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엄청난 양의 독가스를 일본 본토에 뿌릴 준비를 하고 있었다.[25] 실제 미군은 이미 대전 중반부터 일본의 화학 공격을 대비해 화학 포탄은 물론 각 보병 연대에까지 화학중대를 편성하여 언제든 4.2인치 박격포와 리틀 데이비드로 화학탄을 발사할 수 있을 정도로 화학전 준비를 철저하게 해놓고 있었다.

충분한 화학전 능력이 있고, 이오지마/오키나와를 거치며 최전선과 워싱턴으로부터 화학무기 사용의 여론이 높아지고 있었음에도 미군이 화학전을 수행하지 않은 것은 일본이 화학탄을 쓰지 않은 것도 있지만[26] 무엇보다도 프랭클린 D. 루스벨트지독한 화학무기 반대론자였기 때문이다. 회의석상에서 군인들은 아예 화학탄(Chemical Bomb)의 C자도 꺼내지 못하는 분위기였다고. 그러나 후임인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원폭 투하를 허락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군의 피해를 줄일 수만 있다면 화학탄 따위(?)를 쓰는 것에는 전혀 거부감이 없는 사람이었다. 언제든 전선이 막히면 화학탄을 도배해서 말려 죽이는 짓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관련 내용 - 펠렐리우 전투에서의 화학전, 관련 내용 - 이오지마 전투에서의 화학전.

첨언하자면 미군이 화학탄을 아무 데나 막 뿌리려고 할 정도로 정신 나간 집단도 아니었다. 미군의 독가스 최우선 사용 대상은 다름 아닌 비행장이었다.[27] 그나마 제일 명중률이 높은 카미카제 공격을 원천봉쇄하기 위하여 전투 기간 내내 일본군의 모든 비행장을 가스로 도배할 생각이었다고. 일본군의 항공전 능력은 사실상 제로가 되는 셈이다. 화학전 능력이 비교할 수도 없이 좋아진 지금도 비행장에 화학탄이 한두 발 떨어지면 작전 재개까지 복구/제독에 하루 이상이 걸린다. 게다가 당시 일본군의 화학전 대비 수준은 처참했다. 애초에 일본군이 정상 수준일 때도 겨우 1차대전 수준의 화학전 능력밖에 없었으며, 전쟁 말기엔 그나마도 물자 부족 등으로 바닥까지 떨어진 상태였다.

대인 화학전 이외에 제초제 살포로 논밭을 초토화한다는 계획도 세웠으며, 원자폭탄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투하하기 전에는 올림픽 작전 시 해안에 방어군 제거용으로 투하할 생각도 했다.[28]

오키나와 상륙작전 종료 후, 미국은 본토 상륙전 준비와 함께 원자폭탄의 양산에도 전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월 1~2기 정도의 원폭을 생산할 수 있는 수준까지 진행되었다. 따라서 상륙작전 실행 시 교두보에 원폭을 투하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하게 되는 시기는 1945년 10~11월 정도로 예상되었으며, 여기에 맞춰서 모든 작전 준비가 진행되게 되었다.

미군의 큰 피해를 예상하는 척도인 펠렐리우/ 이오지마/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의 전략/전술적 차이도 크다. 미군이 큰 피해를 본 이오지마, 오키나와는 '섬'이다. 섬은 공격자가 전략적으로 우회할 곳이 없으며 일본군은 그 섬들의 크기에 비해 대규모의 병력과 중화기를 꽉꽉 채워넣고 요새화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미군이 그 섬들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본군의 방어 거점을 피하지도 못하고 섬의 구석구석까지 뒤지며 섬멸전을 수행해야 했다. 그래서 피해가 그렇게 컸다.

반대로 일본 본토는 이야기가 다르다. 비록 산세가 험하기는 하나 일본 본토는 앞선 섬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넓다. 당장 혼슈만 하더라도 이탈리아 정도의 큰 섬이며 따라서 전략적으로 우회할 길목이 얼마든지 있으니, 독일군이 히트 쳤던 그 전격전이 가능한 것이다. 더군다나 일본군은 여러 길목에 방어를 위해 병력을 분산시킬 수밖에 없고[29] 훨씬 많은 병력과 장비를 요하게 된다. 실제로 우회할 공간이 전혀 없거나 없다시피 하고 크기 대비 주둔 병력이 엄청 많아 미군에게 막대한 출혈을 강요했던 이오지마와 오키나와보다 훨씬 커서 기동 작전이 가능했던 필리핀에서는 미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전사자 비율 1대 39라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무엇보다 지상전의 꽃인 전차 전력을 보게 된다면 일본 쪽이 참담해진다. 셔먼조차 전면에서 확실하게 상대할 만한 대전차 화기가 없었던 일본군에게는 장갑 강화형인 M4A3E2 점보 셔먼과 유럽 전선에서 판터를 때려잡으면서 활약한 바가 있는 이지에잇, 미국이 티거 쇼크 땜에 호랑이 잡자고 작정하고 찍어낸 1,000여 대의 M26 퍼싱과 티거 2를 잡고자 만든 105mm, 120mm, 155mm 주포를 탑재한 중전차인 T29 시리즈는 물론 지크프리트 선용 초중전차 T28/T95와 같은 괴물급 전차를 벙커 및 거점 파괴용으로 대일전에 투입할 생각을 하고 있었다.[30]

미국 단독 작전이 아니라 연합군이 참전했다면 동부전선에서 활약한 소련군 기갑 전력들은 물론이고 소련과 영국의 전력도 다수 가담한다. 공간의 제약이 있었던 남태평양의 섬들과는 달리 일본의 넓디넓은 본토에 미국이 얼마나 많은 중전차 사단들을 풀어놓고 굴릴 수 있을지를 생각해보면 미군의 피해는 현재의 예상보다도 더욱 극단적으로 줄어들 수도 있다. 게다가 위에 서술한 강력한 신형 중전차들은 둘째치더라도 스튜어트 전차, M4 셔먼, 크롬웰 전차, T-34-76 등 비교적 구식이지만 대전차 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일본군을 상대하기엔 무리가 없는 전차들은 무지막지하게 남아도는 상태였다. 하여간 일본군의 장비로는 잘 해야 흠집밖에 낼 수 없는 수십 톤짜리 쇳덩어리가 수천 대씩 대열을 맞춰 굴러다니는데 일본 국민이 7,000만 명이라 한들 그걸 대체 어떻게 막겠는가.

그리고 익히 알려져 있듯 일본군의 병력과 장비는 질과 양 모두 절망적인 수준이 된 지 이미 오래였다. 한때 일본군의 최정예로 쳐주던 관동군도 이 시점에서는 소련군의 T-34 앞에서 자폭한답시고 달려들다가 픽픽 쓰러져 가는 잡병 집단으로 전락한 지 오래였다.[31] 그 동안 남태평양과 이오지마, 오키나와에 투입된 일본군 병력은 대부분이 오랜 훈련과 중국 등지에서 경험을 쌓은 고참병이었기에, 모든 면에서 압도적으로 절망적인 상황에서 그 정도나마 방어전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나마 쓸 만한 병력과 장비는 대부분 중국 본토에서의 광대하고 지리한 소모전에 발목이 잡혀 있었으며, 제공권/제해권을 완전히 잃은 상태에서 이들을 본토 방어를 위해 재배치시키는 것도 불가능에 가까웠다.[32]

그래서 심지어 미군의 전사자를 10만 이상이 아닌 몇만 이하의 소규모로 잡는 견해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근거가 존재한다. 물론 역사에 만약은 없으니 미군의 실제 피해는 작전을 실행에 옮겨야 알 수 있었을 것이다. 예상보다 피해가 훨씬 클 가능성도, 작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다만 미국 청년층 다수가 군대에 있던 시기에 작전 시작부터 최대 7개의 핵이 날아갔다면 제 아무리 7주일 정도 후에 상륙했어도 광범위한 방사능 피해가 전후 미국 사회에 악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어쨌든 일본군의 결사항전, 1억 옥쇄 등 정신 나간 계획을 보면 시행되지 않은 게 양측 모두에게 다행이다.

미국은 몰락 작전을 대비해 전투 중 부상 당한 군인에게 주어지는 퍼플 하트 훈장을 대량 제작했으나, 몰락 작전이 시행되지 않음에 따라 50만여 개가 남게 되었다. 이 훈장들은 이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때 잔뜩 뿌려졌는데도 아직까지 12만여 개가 남아있다고 한다. 당시 미국 측에서 생각했던 몰락 작전의 예상 피해량을 추측할 수 있는 부분이다.

5.2. 일본군/민간인의 예상 피해 규모

일본군은 본토 상륙전에 대비해 일본령을 작전 지역으로 한 방어전, 결호작전을 준비했다.

하지만 나치와의 전쟁을 종결 짓고 사상 최대 규모의 병력과 장비를 일제에게 온전히 투입할 준비를 끝낸 연합군에 비해, 일본의 본토 결전 전략은 카미카제를 비롯한 자살 공격이 대부분이었다. 1억 총옥쇄[33] 타령을 하며 마지막까지 싸우다 죽자는 식이었으니 사실 승기가 없음은 일제 또한 잘 알고 있었다.

게다가 통상 소티는 물론 카미카제를 하러 비행기를 날릴 비행장은 화학탄과 JB-2 룬 순항미사일[34], VB-1 에이존[35]들로 무력화되고, 그것으로도 모자라 온갖 연합군 전투기와 지원기들이 하늘을 뒤덮고 있을 상황에서 위 그림마냥 격추시키기는커녕 들이받을 수나 있을지 의문이다.[36] 물론 그 와중에 소이탄을 쏟아내고 가끔씩 핵도 쏟는 B-29와 태평양 전쟁 중반부터 활약했거나 종전 직전에 유럽과 미 본토, 소련에서 추가로 날아오거나 그럴 예정인 여타 폭격기와 공격기들의 근접 항공 지원은 논외로 치더라도...

지상전으로 가면 문제는 더더욱 심각해진다. 치하를 비롯한 대부분의 일본 전차는 미군 전차와 비교하면 계란으로 바위 치는 격이니 차라리 없는 셈 치는 게 낫다. 일본 본토에서 굴러다니는 미군의 중전차들을 상대할 수단은 기껏해야 민간인에게 폭약 들고 달려들게 하는 정도인데, 이런 전술은 이미 미군이 운용하는 수준의 전차에게는 잘해야 궤도나 끊어먹지 더 이상 약발이 먹히지 않았다. 기갑 전력이 지나칠 정도로 충실하게 갖춰져 있는 군대와 기갑 전력은 고사하고 소화기조차 제대로 못 갖춘 군대가 맞붙으면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물론 급조폭발물로 미군을 죽일 수도 있겠으나 이미 일본군 상대로만 10만 명이 죽어나간 태평양 전쟁에서 미군이 천 단위쯤의 전사자를 더 낸다고 꺾일 리가 없다.[37]

게다가 동계 작전이 될 확률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그 미군도 동상 환자, 동사자가 꽤 있었을 텐데, 보급이 열악한 일본군은 1945년 11월 말[38]~1946년 2월[39]에 상당수의 병력이 동사하여 큰 손실이 생겼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었으니 실제로 작전이 진행되었으면 일본 지휘부가 항복하는 그 순간까지 엄청난 참극이 이어졌을 수밖에 없다.

일본 민간인의 경우는 상상을 초월한 피해가 닥쳤을 것이라는 데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 수백 만의 일본 민간인이 사전 핵폭격, 대규모 전략폭격, 본토 결전에서 표적 #1, 자폭병기 #1, 총알받이 #1로 죽어나갈 건 당연한 일이었고, 설상가상으로 일본의 식량 상황은 정말로 한계에 봉착하고 있었다. 기아 작전만으로도 45년 8월 이전에 이미 굶어 죽기 일보 직전이었는데 반 년 이상 전쟁이 더 진행되고 본격적인 본토 결전이 시작되었다면 전쟁 역사상 유례 없는 대규모 아사(餓死)가 발생하여 핵이나 화학탄보다도 큰 피해가 났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요약하자면 최소 사상자 추정치가 2천만 명이다. 그것마저도 최소 수치일 뿐이다. 미국은 일본의 사상자 수가 7천만 명 수준으로 불어날 것이라 보았고[40] 완전히 무인지대가 되어버린 일본을 어떻게든 재건하기 위해 미국에 거주 중인 일본계 미국인을 일본 본토로 대거 이주시킬 계획까지 짜 놓은 상태였다.

6. 작전 실행 후 각국의 예상 시나리오

6.1. 일본

파일:attachment/img_7_3787_0.jpg
[41][42]

그야말로 아마겟돈에 준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사실상 국가 단위의 자살 계획이나 다름없었던 결호작전이 시행되면서 엄청난 수의 민간인이 미군의 화력 앞에 맨몸으로 던져지게 된다. 여기에 거의 무차별적으로 뿌려졌을 생화학 무기, 핵무기 폭격으로 전 국토가 황폐화되었을 것이다.

기적적으로 피해가 최소에 머물더라도 경제, 사법, 치안 등 모든 부분이 붕괴하여 일본을 점령한 미군에게 엄청난 부담을 안겨주었을 것이다. 생존자들 사이에서도 넘쳐나는 극단적인 반미 감정은 기본이요 오노다 히로 같이 저항을 계속하는 일본군 패잔병 세력이 곳곳에 출현할 게 뻔하니 종전 이후 수 년간 일본의 과거 점령지 전역, 일본 본토에서 연합군이 게릴라 사냥을 다녀야 했을 수도 있다. 국가를 운영할 인력이 죄다 쓸려나가 미국, 유럽 등지에서 공무원을 수입해 나라 살림을 아예 처음부터 다시 차려야 했을 것이다.

안 그래도 전쟁 말쯤에는 별로 안 남았던 공업 기반이 완전히 폐허가 되어버려 전국민 실업[43]이라는 전례없는 상황에 처하였을 것이고, 화학 무기에 의해 농토가 황폐화되어 아일랜드 대기근에 준하는 엄청난 기아가 닥쳤을 것이다. 전후 점령군이 아무리 전력을 다해 구난 작업을 벌인다 쳐도 최소 1950년대 후반까지는 기근, 반란 등으로 계속 피해가 늘어났을 것이다.

상술한 바대로 미국은 이런 최악의 상황까지 어느 정도는 대비하여 부흥 계획을 세워놓긴 했으나 쉽지 않았을 것이다. 미국에 거주하는 일본계 미국인들이나 만주, 태평양 일대의 이주민들을 싹싹 긁어모은다 해도 많아야 백만 내외다. 결국 현실적으로 일본은 푸에르토 리코 처럼 미국에 편입되거나 심한 경우 무인지대가 되어버렸을 가능성이 크다.

6.2. 한국

6.2.1. 한반도 전체의 공산화 시나리오

몰락 작전이 시행된다는 것은 2차 세계대전의 종전이 최소 수 개월 이상 지연됨을 뜻한다. 만주 전략 공세 작전으로 관동군을 몰아낸 소련군은 한반도로 진격하였는데,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면서[44] 한반도 남부로 진격하지 않고 미국의 요청을 수용하여 38선까지만을 점령하였다. 그러나 몇 개월 이상 전쟁이 더 이어진다면 한반도 남부를 공략할 시간이 생긴다. 게다가 몰락 작전 시 미국은 이미 7월까지 함선을 수백 척씩이나 지원하는 등 소련군의 일본 상륙을 요청할 계획이었으므로, 일본 상륙 등을 이유로 부산항이 있는 한반도 남부까지 소련군이 진출했을 가능성도 높다.[45]

몰락 작전으로 인해 미국은 일본 본토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피로가 누적되어 한반도 정세에 끼어들 여지가 없었을 것이고, 그로 인해 한반도는 이곳을 선점한 소련의 영향을 받아서 사회주의 공산주의 세력들이 해방 이후 권력의 주도권을 장악하여 공산주의 국가로 재편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렇게 형성된 공산주의 한국이 북한과 같은 막장 국가가 되었을 것이라고는 단언할 수 없다. 일단 김일성이 집권할지 말지부터가 예측 불가능이다.

6.2.2. 일부 지역의 공산화 시나리오

몰락 작전은 핵 투하 이후에도 일본이 항복하지 않았을 경우에나 실시되었을 것이므로, 작전 중 일본 본토에 핵을 대여섯 발 떨구고 난 미국이 소련에 한국 분할통치를 요구했을 때 스탈린이 배짱을 튕길 수 있을지는 좀 의심스럽다. 그리고 이 작전이 시행되었다면 소련군 역시도 열심히 싸워야 했는데 이때 이미 소련은 상당히 지친 상태였다. 일단 독소전쟁에서 소련인이 무려 2,000~2,700만이나 죽어 4년 새 전체 인구의 14%, 청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증발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한반도 북부에서 열심히 저항을 이어나갈 관동군 잔당을 처리하는 것도 시간이 꽤나 걸렸을 것이다.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은 굉장히 급하게 진행된 작전이었고, 실질적인 진격은 거의 대부분 일본의 항복선언이 떨어진 이후에나 이루어졌다. 소련군은 애초에 전쟁이 끝났다 생각하고 저항 의지가 완전히 땅에 떨어진 관동군을 상대로 싸웠다는 말이다. 일본 정부가 항복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관동군은 자살 공격을 해서라도 소련군을 막아내려 들었을 것이고 만주, 한반도로의 진격 속도가 크게 늦춰질 수밖에 없다.

6.2.3.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양분 시나리오

그러나 4개국 분할 점령이 현실성은 떨어진다는 말이지 실제와 유사하게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양분했을 거라는 가정은 무시할 수 없다. 다만 그 과정에서 미국과 대한민국에 분할이 더 유리해지거나 대한민국 정부 단독 수립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스탈린의 관심사는 홋카이도와 만주였고, 딱히 미국을 자극하고 싶지도 않았다. 미국이 핵으로 소련을 압박할 수는 없었지만 반대로 소련이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는 상황도 절대 아니었기 때문이다. 만주 작전 당시 소련군은 철저하게 만주 지역의 장악과 관동군 완전 섬멸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소련군의 한반도 진입 또한 한반도 북부가 이미 1945년 초에 관동군 관할로 넘어갔던 상황에서 작전 수행 중 측면 지원 성격으로 이뤄졌음을 고려해야 한다. 소련이 만주 지역을 장악한 다음 시점이 변수이겠지만, 스탈린의 관심사가 홋카이도라는 점에서 미국을 자극할 수 있는[46] 한반도 전체 점령보다는 대일전 참전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39~40도선까지만 남하하거나, 미국 간의 정치적 거래로 한반도를 미국에 양보한 후 본토 점령에 초점을 맞추어 홋카이도로 진격했을 가능성이 있다. 스탈린 입장에서는 괜히 미국을 자극할 만한 행동을 했다가 일본의 옛 식민지나 그 일부만 가질 바엔 곧장 일본 본토로 진격하여 홋카이도를 점령하는 편이 훨씬 이득이기 때문이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전후 연합국의 일본 본토 분할 점령 계획에서도 소련의 점령지로 홋카이도와 도호쿠 지방이 배정되었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소련군은 상륙작전을 홋카이도 쪽에서 펼치는 편이 낫지, 머나먼 한반도 남부까지 내려가서 미군과 가까워지는 규슈나 혼슈 서부에서부터 침공할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

6.3. 미국

예상 피해 규모는 유동적이지만 미국이 태평양 전쟁 역사상 제일 많은 전사자를 껴안아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대가이다. 그리고 지나친 장기전은 집권당의 미국 국내 정치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매우 높다. 거기에 재주는 뭐가 넘고 돈은 누가 챙기는 격으로 소련만 '동아시아에서의 엄청난 영향권' 이라는 선물을 챙겨갈 뿐이니 국제 정치적으로도 매우 불리하다.

물론 미국이 비상륙/봉쇄전으로도 일본을 끝장낼 수 있었다. 제공권/제해권을 완전 장악한 지 오래되었으니 일본 주위의 전 해역을 기뢰로 봉쇄하고(Operation Starvation: 기아 작전) 주요 도시는 네이팜 폭격으로 일본의 산업 생산력을 고갈시키며 느긋하게 기다리면 일본이라는 국가 자체를 '소멸' 시킬 수 있었다. 이미 일본은 식량 상황이 거의 한계에 다른 상황이기도 했다. 이는 반딧불의 묘에서도 처절하게 묘사된다.

일본 열도는 한반도보다도 더 산악지가 많은 지형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바닷길이 험해지면 전국 각지에서 굶주리는 사람이 속출할 정도로 연안 해운의 의존도가 대단히 높은 나라가 일본이었으며 2차대전 당시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도로/철도가 여기저기 만들어지고 나라 전체가 연결된 건 한국에 비해서도 그리 오래 되지 않은 현대의 일이다. 원자폭탄보다도, B-29의 융단폭격보다도 이 기아 작전이 훨씬 무서운 힘을 발휘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결코 허튼 소리가 아니다. 21폭격부대의 출격의 5.7%(1529소티)만 가지고 침몰톤수 30만 톤에 파손톤수 40만 톤을 내었고 세토 내해의 그나마 멀쩡한 대형 항구이던 고베라든지 오사카항의 물동량을 대폭 감소시켜 버렸다. 예를 들어 고베항의 경우 3월달의 물동량은 32만 톤 정도였는데 이 기아 작전이 이루어진 후인 7월에는 4만 4000 톤으로 감소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으로서는 이런 봉쇄전도 선택지가 되기 힘들었다. 본토 침공 자체보다 시일이 훨씬 길어지며 태평양 곳곳에서 발생하는 많은 사상자와 오랜 전쟁에 국민들은 피로를 느끼기 시작했고 반전 여론도 점차 거세지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존 바실론 등 슈퍼스타를 이용한 세일즈 등 국채를 이용한 미국의 재정 충당도 이미 한계였다. 그래서 정치권과 합동참모본부는 하루라도 빨리 전쟁을 끝내야만 하는 부담이 점차 증가했다. 군부조차 예상 사상자에 대한 분석자료를 받아들고는 큰 부담을 느낄 정도였다. 상륙을 하든 안 하든 미국으로서는 이래저래 비용 지출이 너무 컸다. 괜히 몰락 작전이 쓰고 싶지 않은 최후의 수단이 아니었던 것.

6.4. 소련

몰락 작전이 실행된다는 것은 일본과의 전쟁이 매우 장기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련은 일본군의 소탕을 핑계로 만주, 한반도는 물론 중국, 그리고 일본 방면으로도 진격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게다가 사할린, 쿠릴뿐만 아니라 홋카이도까지 소련군을 상륙시켜 점령하고, 추후 영토로 강제 병탄했을 가능성도 높다.

다만 1945년 8월 일본 항복 이전 소련은 홋카이도를 공격할 여건이 되지 못했다. 사실 당시 소련은 극동에서 작전을 전개할 상륙함이 모자랐을 뿐만 아니라 대규모 상륙작전 경험 부족으로 사상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었다. 이는 이미 독소전에서 궤멸적인 인명피해를 입은 소련이 감당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47] 가장 가능성 있는 계획은 소야와 이시카리에 협공을 하는 건데, 워낙 지형이 위험하고 일본인들이 필사적으로 싸우기 때문에 실패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일본은 구레 군항 공습 이후로 해군이 소멸된 상태였을 뿐만 아니라 수송과 장비 문제에서 소련 자력이 아닌 미국에 손을 벌려 해결할 수 있었다. 실제로 미국은 몰락 작전을 수행할 시 소련의 참전을 원했고, 1945년에는 만주 작전과 일본 공격을 위해 소련군에 함선을 지원하는 훌라 계획(Project Hula)을 진행했다. 1945년 7월까지 100척의 함선이 소련으로 보내졌고, 이 시점에서 180척을 더 지원하는 방안이었다. 수백 척의 함선을 일본 공격을 위해 지원했다.

모양새만 놓고 보면 스탈린은 다 된 밥상에 숟가락 얹는 꼴이다. 소련의 이런 뻔뻔한 태도는 애초에 소련에 돈은 돈대로 꿔주면서 쓸데없이 손을 벌려 명분과 약점만 잡힌 대소 유화론자이자 전임 대통령인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책임이 크다.[48] 소련의 태평양 전쟁 개입의 명분도 분명히 미국이 먼저 준 것이 사실이다.[49] 대소 강경론자인 해리 S. 트루먼이 훨씬 일찍 대통령 자리를 물려받았다면 애초에 소련이 극동에 끼어들 여지 자체가 없었을 것이다.[50] 결과적으론 루스벨트가 한반도 분단을 야기한 셈이 되었다.[51] 루스벨트가 얄타 회담 이전에 사망했으면 역사가 어떻게 흘러갔을지 모른다.

간단히 말하면 소련의 일본 본토 상륙 여부와는 상관 없이, 몰락 작전의 실행 자체가 소련이 엄청난 이득을 보는 상황이다.[52]

다만 이미 소련이 독소전쟁에서 2,000~2,700만의 피를 흘린 상황에서 일본 본토에 상륙해 전쟁을 수행해야 될 경우 피를 더 흘려야 했는데 소련은 그러한 여력이 없었기에 상술한 것과 같이 큰 성과를 수확하지 못했으리라는 주장도 있다. 기본적으로 상륙작전은 공격자의 피해가 큰 작전인 데다가 일본이 진짜 정신 차리고 요새를 구축하고 방어전을 한다면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는 사실이 이오지마 전투 오키나와 전투에서도 이미 드러난 바 있다. 소련이 만주, 북한, 남사할린, 쿠릴 열도에서 일본군을 쉽게 격퇴한 이유 중 하나는 원폭과 소련군의 참전으로 일본이 전쟁 수행 의지를 잃었기 때문인데, 이 시나리오대로라면 소련은 일본 본토는커녕 이 지역들에서도 막심한 피해를 감수해야 했다. 즉, 소련의 입장에선 더 이상의 인구 손실이 매우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인명피해를 더욱 감수해야 한다. 결국 몰락 작전이 수렁에 빠질 경우 소련의 국력이 크게 저하되었을 가능성 역시 있다.

6.5. 중화민국

장제스 정권에게는 이득이 되었을수도 있다. 일본이 항복 안 하고 버티면 필연적으로 국민당 정권이 일본군 점령지를 무력으로 탈환하는 '카보네이드 작전'이 실행되었을 것이다. 비록 마지막끼지 일본군을 상대로 패배했지만 전쟁이 길어지기만 해도 중국은 유리한 위치를 점힐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전후 국민정부의 영향력이나 지방 장악력이 더욱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할 뿐더러 실제 역사대로 주력 부대가 죄다 사천, 운남에 박혀 있는데 난데없이 전 중국을 한꺼번에 재점령하고 그 엄청난 혼란상을 모조리 정리해야 한다는 하드코어 상황을 맞이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 된다.

문제는 만주지역에서 죽치고 있을 소련군이다. 만약 스탈린 등 소련 수뇌부가 장제스가 믿을 수 없다고 판단한다면 분명 해당 지역을 몽골 같은 소련의 괴뢰국으로 만들어 버렸을 가능성이 있다. 해당 문제를 둘러싸고 중화민국 소련의 무력 충돌이 일어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데, 만약 이렇게 된다면 중화민국은 2차 세계대전으로 완전히 피폐해진 상태로 당대 세계최강의 육군을 가진 소련과 격돌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맞이하게 된다.

6.6. 총평

최소한 원 역사의 선진국 한국 일본은 볼 수 없었을 것이다.[53] 냉전은 훨씬 더 격렬하게 전개되었을 것이다. 사실상 추축국 승리를 제외하면 2차대전의 가능한 시나리오 중 가장 암울한 시나리오 중 하나이며 해당 작전의 현실화 하나만으로 21세기의 역사를 크게 바꾸게 된다.

7. 각종 매체에서의 몰락 작전

가끔 일본 대체역사물격인 가공전기에서 이런 전개를 다루기도 한다.

무라카미 류의 소설 5분 후의 세계 및 속편 5분 후의 세계: 휴가 바이러스는 바로 이 몰락 작전이 시행되고 4개국의 점령하에 들어간 평행세계 설정이다. 일본인은 거의 전부 각국의 혼혈화가 되어 우민정책 아래 노예 취급을 받으며 각국 본토인들 거주 지역과 대비되는 대규모 슬럼가를 형성해 살아가고, 남은 순수 일본인 26만 명은 지하 세계를 세우고 저항한다. 그 세계의 일본인들은 RPG로 장갑차를 한 명당 한 대씩 잡는 교환비를 세우는 전투종족.[54] 좀 종잡을 수 없는 소설이며 설정 상 안 저러면 저항을 해도 성과가 없어진다 전쟁소설 대체역사물로서도 별로 가치는 없다. 애초 그쪽으로 중점을 두고 쓴 물건도 아니고. 소설로서는 그저 평작이다.

HOI2의 시나리오로 구현되었는데 이쪽의 연합군 목표는 소련군이 일본에 상륙하기 전에 일본의 모든 군대를 분쇄하고 일본의 빅토리 포인트[55], 즉 대만과 일본 전역을 점령해야 한다. 일본의 VP가 단 1점이라도 남아있으면 게임은 일본의 승리로 끝난다. 다만 일본에게 엄청 유리하다. 일본의 모든 영토에 주둔병과 민병[56]이 2~3사단씩 있는 데다 소련은 수송선이 얼마 없고 그나마 상륙 가능한 포인트가 홋카이도인데 여기서 본토 공격해봤자 삿포로→센다이 도강 페널티 먹었다. 연합국은 대만부터 섬 하나하나 다 찍고 올라와야 하는 데다 육군이 얼마 없다. 반면에 일본은 그냥 상륙 포인트에 이동 가능한 사단 전부 꼴아박아놓고 세월아 네월아 기다리면 이긴다. 소련이 이길 경우 당연히 한반도는 적화되며[57] 연합국이 이길 경우 그냥 일본 항복, 일본이 이길 경우 싸대기를 맛깔나게 후려맞은 연합국이 일본인의 끈기에 감복하여 협상해준다 충공깽스런 결말.

겁스 관련 TRPG 웹진인 피라미드에 소개된 적이 있는 겁스 무한세계의 예제 세계관 중 케츠고가 있다.[58] 이 세계관을 꾸밀 때 제안할 가능성으로는 당연히 일본 본토에 대한 여러 번의 핵 폭격. 미국이 방심한 사이에 스탈린(을 위시한 공산 세력)이 한반도 전역과 홋카이도를 점령한다거나 일본의 분단, 1948년에도 공화당이 미국의 정권을 잡는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코에이 사의 대전략류 게임인 '개가의 호포'는 몰락 작전이 시행되고 승전국의 점령하에 쪼개진 일본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각 점령국의 지원 하에 쪼개진 일본을 통일하는 것이 목표.

일본 라이트 노벨 All You Need Is Kill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 엣지 오브 투모로우에서 주인공 케이지가 수백, 수천번 죽어 나가는 상륙 작전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세가새턴판 1995년작 월드 어드밴스드 대전략~강철의 전풍~에 수록되어 있다. 게임판의 맵은 역사적 사실과는 달리 일본군과 미국, 소련군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일본군의 공중전 전력이 미국에 비해 좀 더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스탠더드 모드에서는 단독 맵으로 즐길 수 있으며, 캠페인 모드에서는 미국 시나리오 분기 중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다. 색적모드를 On으로 할 경우 공격하는 미군이나 방어하는 일본이나 피칠갑이 되는 격렬한 맵. 소련 극동방면군은 니가타 방면에서, 미 1군 및 8군은 실제 계획대로 쿠쥬쿠리 해안과 사가미 만에서 내륙을 향해 진격하며 일본 36군은 마에바시, 12군은 내륙 깊숙한 마쓰시로를 거점으로 방어한다. 엔딩에서 일본 수뇌부는 미소 연합군에 함락 직전 마쓰시로 대본영과 함께 자폭하여 일본 제국은 소멸한다. 이후 일본은 남북으로 분단되어 도호쿠 이북에 소련이 극동아시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설립하며, 미국은 소련과 맞서 싸우는 것을 포기하고 일본의 남은 절반을 위임통치 하에 두는 것으로 시나리오는 끝난다.

별이 펄럭일 때에서도 나오는데, 차이점이라면 하는 건 미국이 맞는데 맞는 건 추축국 포지션의 판타지 측 국가다. 5단계로 구성된 작전으로 특히 3번째부터가 몰락 작전의 핵심이 되는데 최고의 숙련병만 모아서 통신을 마비시킨 수도와 군항을 폭격한 다음 함포로 갈아엎는다는 비범한 작전.

높은 성의 사나이 드라마판에서도 비슷하게 나온다. 작중 시대가 1960년대 쿠바 미사일 위기가 평행세계에서도 다르게 벌어져 히틀러의 사망을 일본의 암살로 판단하여 독일이 일본을 상대로 기습 핵공격을 가한다는 것. 잠수함과 원거리 로켓을 이용해 핵공격을 가하고 폭격기를 동원하여 2차 핵공격, 이후 상륙부대로 일본을 점령하는 작전을 세운다. 작중 일본은 원자폭탄 기술이 전무해서 핵반격도 못하는 상황으로 독일 수뇌부도 낙승을 예상하고 있었다. 이때 하인리히 힘러"일본인은 천황을 신으로 여기고 자신들의 신이 항복하는 것을 보지 않는다면 끝까지 저항할 것"이라고 만류한다. 다행히 진짜 히틀러 암살자를 찾아내고 주연들의 활약으로 독일-일본 간의 핵전쟁은 발생하지 않는다.

내가 히틀러라니!에서도 이 작전이 조금 묘사된다. 원 역사와는 달리 이오지마 전투 오키나와 전투에서 그다지 큰 피해를 입지 않은 미국이 원래 역사보다 조기에 몰락 작전을 시행한다. 핵공격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가 아니라 히로시마와 센다이에 떨어진다. 또한 소련은 처음부터 일본과의 전쟁에 참여하지 않아서 미국 단독으로 실시한다. 당연히 일본군 및 일본 민간인의 피해는 막대하였고 도호쿠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 일본 본토 전역이 미군에게 쑥대밭이 된다. 작전 시행 이전의 일본 인구가 7,000만 정도인데, 종전 직후의 인구가 2,500만까지 감소[59]했으니 말 그대로 일본어를 지옥에서나 들을 수 있는 대참사가 벌어진 것. 여기에 도피 중이던 쇼와 덴노가 실종되고 이우 오토 스코르체니의 주도로 아키히토 황태자가 미군에게 납치되는 사태까지 벌어지자 일본군은 더 이상 전쟁 의지를 상실하고 항복한다.

무솔리니가 캐리하는 2차대전?!에서는 연합국인 이탈리아 덕분에 독일, 소련으로 대표되는 추축국이 각각 민중봉기와 수뇌부의 쿠데타로 빠르게 항복하고, 독일이 프랑스를 꺾지 못해 프랑스 해군이 건재해 해군의 부담이 덜어졌다. 한편 미국은 진주만 공습이 더 큰 손실을 입었으나 미드웨이 해전에 비교적 함대가 남아돈 유럽 측 해군 함선들이 대거 증원되어 미,영,불,이 4개국의 대함대가 합동작전을 실시해 오히려 원역사보다 함대가 대폭 증강되었다. 결국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항공모함들은 모함 위에서 적들의 전투기들에게 농락당하다 함재기 편대를 따라온 연합국 고속전함 함대의 접근을 허용한 탓에 연합국 최신 전함들에게 포격을 얻어맞아 대형함이 싸그리 전멸했고, 이렇게 한 번의 해전으로 일본 해군의 절반 이상을 꺾어버리고 레이테 만에서 나머지 대형함 함대를 싸그리 몰살시켰다. 이렇게 일본 해군이 급격하게 몰락하자 연합국이 더 빨리 태평양 제해권을 장악해 연합군이 백주대낮에 도쿄에 상륙해 고쿄를 점령하고 천황을 사로잡는다는 계획을 세웠고 일본도 감히 미국이 도쿄에 상륙할 거라는 생각을 못 했던 탓에 작전 당일에나 부랴부랴 건설된 연약한 일본군의 저항을 분쇄하고 미군이 도쿄 시가지로 진격해 마침내 쇼와 천황을 사로잡아 일본을 항복시킨다. 전후 일본이 동서로 분할되며 히로히토는 동일본으로 갔고, 서일본은 굴욕을 가져온 쇼와 천황을 인정할 수 없다며 노부히토를 서일본 천황으로 옹립시킨다.

아라카와 히로무 백성귀족 2권에도 등장한다. '만약 몰락 작전이 그대로 실현되어 도호쿠와 홋카이도가 소련 땅이 되었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라는 망상으로 전개되는데, 텃밭에서 거둔 농작물을 미국령 지역으로 밀수출하려다가 소련 국경경비대에 사살 당하거나 작가 曰 국경 감각이 없는 섬나라 태생 일본인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소련 해체 이런저런 상황 속에서 정전으로 우유를 손으로 짜내고, 옐친 정권에게 논밭을 돌려받았다고 기뻐하다 무거운 상자처럼 묘사된 경제 위기에 치이고 깔리는 소여사와 다른 농민들의 표정도 백미.

오리진 시스템즈의 전투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인 '퍼시픽 스트라이크(1994년작)'에서는 몰락 작전을 뒤집은 시나리오가 등장한다. 주인공(태평양 전쟁에 참가한 전투기 조종사다)이 잘해서 몰락 작전을 성공시키면 일본에 핵무기가 투하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 주인공의 전과가 변변치 못하면 핵무기 투하.

8. 관련 문서



[1] 사실 이 지도도 연합국이 완전히 재해권을 장악한 지역만 붉게 칠하여 많이 봐준 거고 일본이 완전히 제해권을 잡고 있던 지역은 세토내해 쓰가루 해협 정도에 불과했다. 애초에 저 지도의 배경인 1945년 중순에는 동해나 대한해협에도 미군 기뢰나 잠수함이 등장하고 있었다. [2] 파일:external/www.aviationspectator.com/P-51-Mustang-19.jpg
D형을 기반으로 주익에 제트 엔진을 장착한 개량형이다.
[3] 아무리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의 전력이 압도적이고 일본군의 상황이 암울하다 하더라도, 일본 제국 내 대도시들에서 벌어지는 전례 없는 수준의 거대한 시가전과 일본 민간인의 저항으로부터 연합국 측만으로도 100만 여명에 달하는 인명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일본인 민간인 사상자는 더 막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4] 일본에 대한 전쟁 지지가 높던 초기와 달리 1945년 시점에서 미국 대중들은 전쟁에 점점 지쳐가고 있었다. 지독했던 유럽에서의 전쟁이 끝나고 유권자들은 더 이상의 막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길 원치 않았다. 이를 무시한 채 100만 여명에 달하는 유권자들의 자식들을 전장에서 죽게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은 정치계에 막대한 부담이 되었으며, 이는 실제로 몰락 작전 대신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등으로 일본의 항복을 유도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5] 미 해병대의 일본 제국과 제국령 한반도 점령 작전. [6] 미 해병대의 중국 대륙 내 일본 제국령 허베이성 산둥성 지역 점령 작전. [7] 이 7발의 핵 중 가장 먼저 준비되는 것은 8월 18일 이후 맑은 날을 잡아 지난번에 폭격하려 했다가 포기한 고쿠라에 투하될 예정이었다. [8] 세간의 인식과는 다르게 미 육군은 유럽 전선뿐만이 아니라 태평양 전쟁 초기부터 태평양 곳곳에 전개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해병대 병력만으로는 그 넓은 태평양 전선을 감당하기엔 턱없이 모자랐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 때문에 미군은 유럽 전선의 노르망디 상륙작전도 육군이 해병대 대신 수행해야 했다. 태평양에선 육군 사단과 해병대 사단이 혼성 편제된 수륙양용 군단으로 구성했고, 해병대가 없는 전장에선 육군 부대가 해병대처럼 쓰였다. 일본이 항복할 당시 21개의 육군 사단과 해병대 6개 사단이 해외에 파견되었다. 특히 올림픽 작전엔 태평양 전쟁에 참전해서 경험을 쌓은 육군 사단들이 주로 대거 투입될 예정이었다. [9] 여담으로 당시 일본군이 제주도를 전략거점 중 하나로 사용했기 때문에 이때 제주도 역시 폐허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0] 실제 역사에서는 종전식이 끝난 10월에 오키나와 동부에 정박한 미 해군 선단을 태풍이 덮쳐서 꽤 피해가 났는데, 문제는 이 정박지가 일본 본토로의 침공이 시작될 경우 규슈 침공 부대가 머무를 정박지라는 것이다. 만약 계획대로 상륙이 이루어졌다면 미군의 피해가 적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11] 전함 하나의 화력은 러시아군의 포병 사단 하나와 거의 맞먹는다. 즉 20개 포병 사단과 맞먹는다. 전성기 때 소련의 포병 사단이 16개였다. [12] 오클라호마는 1947년 스크랩을 위해 운송하던 중 침몰했다. [13] 여기서 계산에 빠진 게 하나 있는데, 종전 며칠 전에 서일본 지역을 방어할 병력의 지휘 체계는 히로시마에 있었고, 따라서 종전 시점에서는 이미 날아가 버린 지 오래였다. 사령관은 아슬아슬하게 핵을 피했지만 직후 만주를 시찰하러 갔다가 소련군의 포로가 되었다. [14] 사실 상륙작전에 적합한 곳은 쿠쥬쿠리 해안 쪽이었는데, 그곳은 해안가의 면적도 넓고 근처에 여러 항만이 있어 상륙 후 교두보 확보에는 좋았지만 문제는 그곳에서 간토 내륙으로 향하려면 에도가와나 아라카와 등의 하천하구가 있어 이후 진격에 꽤 어려움이 있으리라 예상되었다. [15] 한 예로 스페인의 프랑코 정권은 스페인 내전 당시 지원해준 독일, 이탈리아와 같은 추축국과 매우 각별한 사이였고 실제로 의용군 명목으로 독소전쟁에 병력을 파견하기까지 했다. 당연히 일본과도 그 관계가 매우 돈독했다. 하지만 필리핀 전투 당시 벌어진 일본군의 마닐라 대학살로 인해 스페인 외교공관까지 공격 받는 일이 발생하자, 스페인은 일본과 단교했다. [16] Jap, 2차 대전 당시 일본군을 비하하던 멸칭이다. [17] 전쟁의 결과가 사실상 결정되었음에도 일본 지도부의 고집으로 인명손실이 계속 발생한다는 것에 느끼는 불만에 가까웠다. 아예 조기종전과 미군 측의 불필요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화학 무기로 싹 쓸어버리자는 과격한 여론까지 일어나고 있었으나 루스벨트가 생전에 화학무기 사용에 매우 부정적이어서 그나마 현실화되지는 않았다. [18] 실제로 여론이 조속한 조기 종전을 원했다면 당장 1944년 말 대통령 선거에서 루스벨트가 낙선해야 했으나 여유 있게 압승했다. 다만 상대 후보 토마스 E. 듀이 또한 종전주의자가 아니었고, 진주만 공습의 대한 대가로 어떤 형태로든 일본을 무조건 항복시켜야 한다는 대전제에는 정치인들 역시 이견이 없었다. [19] 커티스 르메이가 왜 원자폭탄의 존재를 몰랐는지 하면 간단한데, 원자폭탄의 존재는 당시 육해군 최고사령관 참모총장(Chief of Staff to the Commander in Chief of the Army and Navy) 이하 합동참모회의의 멤버들을 포함해 니미츠, 맥아더 등 최고위층과 레슬리 그로브스 등 실무자들만 알았던 극비였기 때문이다. 심지어 해리 S. 트루먼조차 부통령으로 있던, FDR의 서거 후 대통령직의 승계 전까지도 맨해튼 프로젝트와 그 결과물인 원자폭탄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 [20] 실제로 핵폭격 당한 이후의 최후의 어전회의에서도, 항복에 찬성한 해군 및 외교관료층과 달리 육군은 끝까지 항복에 반대했다. 육군의 항복불가론은 어느 정도 형식적이었지만 최종적으로 그 항복불가론은 쇼와 덴노가 아니면 꺾을 수 없었다. [21] 이라크 전쟁에서도 전면전 상황에선 존재가 무의미할 정도로 순식간에 박살난 이라크군이었지만, 점령 이후의 처리 과정의 실책으로 어쨌거나 정식으로 훈련 받고 편성을 지닌 정규군이던 인원 다수가 저항군에 가담하게 된 것이 이후 난장판의 주요 원인의 하나였음을 생각해보면, 설령 정규전 기준의 전력으로는 허접함을 알고 있었다 하더라도 어쨌든 정식 군대이기는 한 대규모의 예비 정식 병력이 더 남아있다는 사실은 그저 무시해 버릴 문제는 아니다. 게다가 당시의 미군은 이미 수 차례 일종의 '비대칭 전투' 형태로 광신적으로 저항하는 일본군을 상대해 본 상황이었다. 그런 '미친 놈'들을 앞으로도 60만은 더 상대해야 했다. 물론 당시 일본 국내에서 실상을 보았던 이들 상당수의 평가처럼, 실제로 미군이 본토까지 상륙한 다음에도 일본군은 물론 동원된 일본 민간인들이 정말로 '대본영'이 시키는 대로 '총옥쇄'에 뛰어들었을지는 회의적으로 판단될 여지가 적지 않았지만, 이는 일본 내에서 상황을 실제로 볼 수 있던 이들이 할 수 있던 판단이다. 미군과 연합군 입장에서 본다면 '우리가 지금껏 상대한 일본군은 (심지어 간혹 민간인들조차) 집단 자살을 마다하지 않는 정신 나간 집단이었지만, 본토에서 만나게 될 나머지 일본 국민들과 본토 방어군은 제 정신일 것이다'라고 낙관할 근거가 적었다. 따라서 몰락 작전 역시 대규모의 잔존 일본군과 민간인들이 최후까지 광신적으로 발악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짜여진 계획이었다. 사실 카미카제와 집단 자살이 벌어지던 태평양 전선은 물론, 막 종결된 유럽 전선에서도 연합국은 10대 소년들 노인들까지 전투에 내모는 최후의 발악을 이미 직접 목격한 바 있다. 그리고 연합국은 일본 제국이 나치 독일보다 더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전력이 아무리 허접하다고, 어쨌거나 규모로만 따지면 이제껏 태평양 전선에서 격파한 일본군 병력 전체보다도 더 많은 숫자의 정규 병력이 본토 방어에 투입될 수 있다는 사실 자체는 연합국으로서도 부담이었다. [22] 지상발사식 오카는 일본 해안가 곳곳에 배치까지는 되었다. [23] 루머지만 당시 G8N 리타가 제주도에 배치되었다고 한다. [24] 원래는 본토를 포기하고 지금의 용인시로 아예 천도할 계획이었으나, 전쟁으로 인해 무산되고 나가노에 요새를 구축한 것이다. [25] 동양인인 일본에 대한 인종적 편견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화학무기의 군사적 이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한 1925년의 제네바 화학전 금지 협정에는 일본과 프랑스가 참여하지 않았으므로 이 두 나라에 대한 화학전 자체는 국제법상 불법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미 둘 중 하나는 죽는다며 악에 받칠 대로 받힌 상황이었다. [26] 다만 중국의 국민혁명군 홍군을 상대로는 엄청나게 뿌려댔다. 중일전쟁 당시 중국군의 저항이 거세 전선 돌파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사단 단위에서 자체적으로 독가스를 퍼부었다. Yuki Tanaka, Poison Gas, the Story Japan Would Like to Forget,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October 1988, p. 16-17 [27] 그것은 지금의 현대전에서도 마찬가지다. 공군이 괜히 3군 중에서 화학전 훈련을 제일 빡세게 하는 게 아니다. 비행장을 무력화할 만한 수단으로 화학탄만 한 게 없다는 걸 우리 군도 북한군도 너무 잘 알기 때문이다. 만일 전쟁이 발발한다면, 접경 지역의 비행장은 국제법이고 자시고 간에 화학탄의 집중포화를 받을 것이다. [28] 당시 미군 지휘부는 원자폭탄의 방사능 위험에 대한 개념이 없었고, 방사능 피해가 있어봤자 X-레이 몇 번 찍는 수준의 그냥 엄청나게 강력한 슈퍼 폭탄으로 인식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던 계획이다. 미군이 방사능 피해를 본격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건 전후의 여러 핵실험 및 히로시마, 나가사키의 피해 사례를 종합하고 크로스로드 작전으로 인해 직접적인 방사능 피해를 입으면서부터이다. 실제로 개발 초기엔 원폭 투하 후 참호에서 나와 폭심지로 진격하는 훈련도 했었다. 기록 필름을 보면 핵실험 뒤에 방사능을 씻어내고 시설을 재사용한다며, 지금 기준으로 변면한 방호구 없이 병사들이 물청소하는 장면도 나온다. 1950년대까지 라스베가스 시에서 원자폭탄 버섯구름을 구경할 수 있었고 핵물질이 들어간 아동용 실험 키트가 팔렸다. 만약 실제로 수행되었다면 폭격 당하는 일본군이나 일본인만이 아니라 수많은 미군 병사들이 아무것도 모른 채 방사능에 쩔어서 단명했을지도 모른다. [29] 군사학에서는 이를 공격자의 이점이라고 한다. [30] 하지만 수송 비용에서 회의적인 시각이 존재했다. 전후 아이젠하워의 명령으로 퍼싱 500대를 서부에서 동부로 옮기는 실험을 했을 때 2달이나 걸렸기 때문. 이 경험은 아이젠하워가 인터스테이트 고속도로 건설을 적극 추진하는 원인이 되었다. [31] 더 퍼시픽 8화에서 존 바실론이 괜히 일본군 병력을 칭찬(?)한 게 아니다. [32] 심지어 이때쯤 되면 일본군에게 있어서 보급은 어디 4차원 세계에나 존재하는 개념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였다. [33] 당시 일본 국민으로 취급되었던 내지와 대만, 그리고 한반도. [34] V1 미사일의 미국 카피판이다. 미군에 정식 채용되어 75,000발을 생산하여 일본 본토 공격에 사용할 예정이었다. [35] 미국의 무선유도폭탄. [36] 간단히 육군 항공대가 시행한 도쿄 대공습의 해군 버전인 구레 군항 공습만 봐도 답이 나온다. [37] 그 당시 미국의 태도를 본다면 전사자가 많아질수록 상륙/도시 진입 이전에 핵을 투하하거나 화학탄을 뿌렸을 것이다. [38] 연합군이 카와치 북부의 산맥으로 진격하는 시기. [39] 코로넷 작전에 의한 사전 포격과 폭격이 남은 것을 몽땅 박살내는 시기. [40] 사실상 전 국민이 시체가 되어버리는 3국 동맹 전쟁 이상의 피해이다. [41] 위의 지도는 2차대전 말기 미국 참모본부 산하 기구인 통합전쟁계획위원회(Joint War Plans Committee; JWPC)가 작성한 'JWPC-385' 계획의 일본어 번역본이다. 미국만의 일본 단독 점령으로 인한 정치적 부담 및 미국의 일본 독점 지배에 대한 다른 연합국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방책이었으나, 일본 점령군 최고사령관 맥아더의 강력한 반발 때문에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한 채 구상 단계에서 폐기된 계획이다.(출처: 권성욱 지음, <중일 전쟁: 용, 사무라이를 꺾다 1928~1945>) [42] 소련이 일본을 점령하였을 가능성은 아주 낮다. 2차대전 말의 소련 해군은 이 정도 규모의 상륙작전을 수행할 능력이 전혀 없었다. 게다가 몰락 작전 과정에서 큰 손실을 입었을 미군이 소련이 일본 본토에 진주하는 것을 묵인하였을 리는 없다. [43] 그것도 '일본 국민' 이라고 부를 만한 규모의 생존자 집단이 남아 있는 경우이다. [44] 또한 해당 작전 자체가 상당히 급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물자 부족 문제도 있었다. [45] 부산항은 당시 한반도 최대의 항구였으며, 빠른 상륙작전을 위해서 필요로 한다. 실제로 소련이 한반도 북부와 함께 부산항, 제주도는 점령 계획이 있었다는 구 소련 외교 문서도 공개되었다. # 다만 몰락 작전 시 계획된 소련의 점령지가 홋카이도 도호쿠 지방이라는 점, 만주 작전 당시 한반도 북부에 진입한 소련군의 성격, 스탈린의 관심 순위를 고려하면 소련군이 한반도 남부까지 왔을 거냐에 대한 반론도 가능하다. 이 부분은 후술한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양분 시나리오 문단에 나온다. [46] 올림픽 작전이 벌어지는 규슈 북부에서 부산은 꽤 가깝다. 실제 역사에서 미국이 한반도는 소련이 먹고 일본은 자신들이 차지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본도 자신들이 온전히 먹고 한반도를 분할하기로 결정한 데에는 소련과 맞닿는 선을 최대한 뒤로 물리고자 한 의중도 있었다. 소련군이 대한해협을 사이로 미군과 맞닿는 게 되는 건 충분히 미국을 자극하는 행동이 될 수 있다. [47] 대전기 소련군의 상륙전 경험은 1941년 동계전역 당시 케르치 반도 상륙전, 슘슈 섬 전투를 비롯한 쿠릴 열도 상륙전, 남사할린 침공 중 토로/마오카 상륙전, 만주 전략 공세 작전 중 청진 상륙전 등으로 손으로 꼽을 정도이며, 하나같이 상륙부대의 모항에서 상륙지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슘슈 섬 전투를 뺀 나머지는 지상군 주력부대와의 협동 작전이었다. 또한 몰락 작전 수행의 전제조건인 일본의 저항 의지도 상당히 꺾였기에 원 역사의 소련군은 만주와 남사할린, 쿠릴 열도를 쉽게 점령했는데, 만약 이 문서의 전제대로 일본의 저항 의지가 강했다면 소련군은 홋카이도는 고사하고 이 지역들조차도 빠르게 점령하지 못했을 것이다. [48] 물론 루스벨트의 정관(政觀)만 탓할 게 아니라 그가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일본군이 질기게 저항했음을 잊으면 안 된다. 누적되는 막대한 인명 손실에 대한 부담이 루스벨트로 하여금 소련의 개입을 바라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물론 소련도 막대한 인명 손실을 입었지만 이는 루스벨트의 고려 사항이 아니었다. 단, 그럼에도 같은 상황에서 트루먼이 보인 태도를 상기할 때 루스벨트의 태도가 아쉬웠던 것은 사실이고 이는 1950년대 내내 루스벨트가 비난 받던 원인이다. [49] "전쟁을 속히 종결해야 한다는 판단에서 미국 내부의 반공주의 인사들의 반대에도 그는 소련에 지원을 청하였다. 그러나 8월 10일 일본은 항복 의사가 있음을 전해왔고..."(위키백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50] 이미 소련은 일본과 중립 조약을 체결한 상태였고, 엄청난 인명피해를 입은 상황이었으며, 얄타 회담 시점 극동 지역에서 일본과 전쟁을 치를 만한 병력도 부족했던 데다, 스탈린의 주 관심사는 동유럽이었기 때문에 미국의 요청이 없었다면 소련이 극동에 참전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 [51] 다만 루스벨트가 4선 당선되고 얼마 안 가서 사망했던 것을 감안해야 한다. 루스벨트가 과연 대책 없이 소련 지분을 키워준 것인지, 아니면 나름의 소련 견제책을 준비하고 있었지만 이를 실현에 옮기기도 전에 사망해버린 것인지는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매우 큰 논쟁거리이다. [52] 그래서인지 밑에서 서술할 HOI의 전투 시나리오에서도 '소련이 남하하는 건 무슨 일이 있더라도 막아야만 한다'라고 쓰여 있다. [53] 잘 살아봐야 그리스,포르투갈 정도의 유럽 후발 선진국이나 칠레 같은 선진개도국 수준이었을 확률이 높다. [54] 고대 기독교 카타콤의 현대판스러운 거대 지하 도시를 건설하고 숨어들어 살고 있으며 그런 주제에 기술력도 킹왕짱이라 저항 세력이 세계 최초로 컴퓨터를 발명한 것으로 되어있는 등 정신 나간 묘사가 일품이다. 한 마디로 일본판 2009 로스트 메모리즈 아포칼립스 판타지. [55] 하지만 이 시나리오에서 일본은 물론 45년 당시 일본이 붙잡고 있던 마지막 영토까지도 전부 빅토리 포인트로 지정되어 있다. [56] 영구적으로 이동 불가 설정이 되어있는 방어용 민병이며 주둔병에게 주는 하리츠케 사단의 이름이 붙어있다. [57] 시작부터 북한 지역은 소련군이 점령해있다. [58] 결호작전에서 이름을 따온 것 같다. [59] 몰락 작전으로 인구수의 65% 정도, 무려 4,500만 명이 사망했다는 것인데 사망자 숫자가 너무나도 비현실적이다. 그래도 가능은 한데, 일본을 완전히 봉쇄하고 대기근을 일으키면 수백~ 수천만 명이 사망하는 게 가능하긴 하다. 대표적으로 2년 만에 인구 수의 25%가 날아간 아일랜드 대기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