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8-06-01 20:01:59

나무위키:프로젝트/철도/시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나무위키:프로젝트/철도
1. 역 문서 상단 틀 작성 시안 제의
1.1. 링크
1.1.1. Railwiki 안
1.2. 노선명 부분
1.2.1. Railwiki 안
1.3. 역명 표기
1.3.1. Railwiki 안1.3.2. NeverLB 안 (Symn1303님의 도안 베이스)1.3.3. Cocapepper안
2. 열차 운행 계통 시안 제의
2.1. sky 초안2.2. nodeul 안2.3. Cocapepper안 (일본 철도에만 적용)
3. 승강장 시안 제의
3.1. Cocapepper 안
4. 역 문서 우측 기본 정보 표 템플릿 제의
4.1. Cocapepper 안
4.1.1. 일반4.1.2. 일본
4.2. barakumi 안

1. 역 문서 상단 틀 작성 시안 제의

1.1. 링크

1.1.1. Railwiki 안

1. 대다수의 사람들이 파란 링크가 가독성을 해친다는 의견이 많아 모든 링크에는 색상 코드를 입력하여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적용 전)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방면
도 원

1.2km
동인천
1.9km
인천 방면
인 천
(적용 후)
1호선
소요산 방면
도 원

1.2km
동인천
1.9km
인천 방면
인 천

1.2. 노선명 부분

1.2.1. Railwiki 안

1.A 배경 색상은 반드시 공식 노선색에 해당되는 것으로 사용합니다.
1.B 노선명은 굵게 표시합니다.
1.C 노선을 다르게 적을 필요가 있으므로 링크가 필요합니다.
(예시)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0D3692[1] ‘‘‘1호선‘‘‘}}}〕〕
(용례) 시안 참조
1호선
2.A 일반철도와 지하철/전철은 표를 분리합니다. - 추가로 KTX, 무궁화호, 새마을호, 누리로 같은 경우에 대해서 말을 할 것입니다. 이 부분은 특별한 경우(그 역 자체가 기차역만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아닌 한 아예 항목으로 떼어 적습니다.
2.B 일반철도의 경우 구간을 추가 표시하며, 그 구간의 색상은 회색(#gray)으로 차별화합니다.
(의견) 실제로 일반인들은 이를 구분하지 않으며, 현재 지역에 중첩되는 노선 이름은 노선색으로 얼마든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난잡해 보이는 것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2.B 도시철도 및 전철역의 경우 앞에 '수도권 전철', '부산/광주/대구/대전 등'과 같은 구분 수식어 없이 1호선, 2호선, 3호선, …, 9호선으로 통일합니다.
단, 인천 1호선은 구분합니다.
2.C 상위 항목(일반철도, 수도권 전철 항목)에 대한 배경색은 하얀색(#FFFFFF), 폰트는 검정색(#000000)으로 통일합니다.
2.D 일반철도 노선색은 정해진 색이 없으나 위의 일반철도 줄과 비교하기 위해 회색(#BDBDBD)으로 통일합니다.
(예시) 수도권 전철과 일반 철도, 대전 지하철
(용례1)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용례2) 수도권 전철 인천1호선
수도권 전철
인천1호선
(용례3)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지하철
1호선
(용례4) 일반철도 경부선
일반철도
경부선 (서울 ~ 부산)
3. 표 배경이 어두운 경우에는 하얀색(#FFFFFF)을, 밝은 경우에는 검정색(#000000)을 사용합니다.
(예시) 1호선 (위반한 경우)
(용례) 시안 참조
1호선
4. 노선 색상이 확정되지 않은 것은 회색(#BDBDBD)을 사용합니다.
(예시) 소사 ~ 원시 복선전철의 노선색은 현재로서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용례) 시안 참조
소사~원시 복선전철

1.3. 역명 표기

1.3.1. Railwiki 안

1.A 역명은 공식 노선 색상 코드로 작성하며 폰트 크기는 노멀입니다. (키우지 않습니다.)
1.B 해당 문서의 역명은 굵게 표시하여 이전역, 다음역과 차이를 줍니다. (단, 다음역, 이전역은 굵게 표시하지 않습니다.)
(예시) 인천역 문서에는 해당 역명만 굵게 표시하고, 이전 및 다음 역명(동인천역)은 굵게 표시하지 않음.
(용례)
소요산 방면
동인천
인 천 시종착
2.A 「○○방면」에는 회색(#BDBDBD 또는 #gray)로 작성합니다.
2.B ○○방면'''은 '○ ○'처럼 띄어 적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므로 붙여서 적습니다.
(예시) 〔〔수원역|{{{#gray 수원 방면}}}〕〕
(용례) 수원 방면
3.A 공식 노선 색상 코드가 없을 경우 역명을 검정색(#000000)으로 작성합니다. (일반철도 및 소사~원시 복선전철이 그 경우)'''
(예시) 경인선 인천역
(용례)
구로 방면
동인천
인 천 시종착
4. 두음절 역은 두 음절 사이에 공백 문자를 넣어 특별히 띄어적습니다. (관례 반영)
5. 부역명은 표기하지 않습니다.
(사유) 애초에 간단한 정보만 다루자는 취지와 상응하지 않으므로.

1.3.2. NeverLB 안 (Symn1303님의 도안 베이스)

2015.07.24 초안 작성
2015.09.11 1차 수정안
Symn1303 님의 도안을 일본 철도 사정에 맞게 개조한 도안입니다. (한국 철도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일본 철도의 경우 한국 철도환경과 달리, 직결운행시 운영주체간의 노선 구분이 분명합니다.

(일산선과 지하철 3호선을 예로 들자면 우리나라 철도환경에선 이 두 노선을 합쳐 '수도권 전철 3호선' 이라 부르지만, 일본 철도환경에선 일산선, 지하철 3호선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따라서 운영주체가 바뀌는 경계역을 효과적으로 표시해줘야할 필요성이 생깁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역명이 써지는 칸을 가로방향으로 삼분할했습니다.
간단화 시키면 이렇게 됩니다.
← A역 X노선 C역 →
B역
||<|3><)> ← A역 ||<bgcolor=#BDBDBD><:> X노선 ||<|3><(> C역 → ||
||<:> B역 ||
||<bgcolor=#BDBDBD>||

그리고 두 노선이 서로 직결하는 경계역에선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 A역 X노선 Y노선 C역 →
B역
||<|3><)> ← A역 ||<bgcolor=#BDBDBD><:> X노선 ||<bgcolor=#DBDBDB><:> Y노선 ||<|3><(> C역 → ||
||<-2><:> B역 ||
||<bgcolor=#BDBDBD>||<bgcolor=#DBDBDB>||
그외의 추가 개조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역명표 위에 해당 역의 운영주체(운영회사)와 해당 역의 개업시기, 그리고 경유 노선이 개통한 또는 영업을 개시한 시기를 간략하게 적어놓습니다.
1-1. 운영주체와 역이름을 크게 표시하고 한 줄 개행 후 한자역명을 표기합니다.
1-2. 해당 운영주체를 상징하는 색깔을 배경색으로 사용합니다.
도쿄급행전철 시부야역
東京急行電鉄 渋谷駅
동일본여객철도 시부야역
東日本旅客鉄道 渋谷駅
2. 서류, 도감, 요람상의 노선과 실제 운행계통이 불일치하는 경우엔
2-1. 서류상의 노선은 배경색을 #BDBDBD 로 합니다.
2-2. 실제 운행계통은 해당 운행계통에서 쓰이는 색을 배경색으로 씁니다.

(예시)
동일본여객철도 시부야역
東日本旅客鉄道 渋谷駅
시나가와 방면
← 에비스
야마노테선 요요기 방면
하라주쿠 →
시부야
내선순환
← 에비스
야마노테선 외선순환
하라주쿠 →
시부야
야마노테선은 서류상 시나가와-요요기 구간과 신주쿠-타바타 구간을 지칭하는 이름이지만 실제 운행계통으로는 도카이도 본선, 도호쿠 본선과 연결돼, 순환선으로써 운행합니다.
한국철도공사 인천역
韓國鐵道公社 仁川驛
구로 방면
← 동인천
경인선 시종착역
인 천
소요산 방면
← 동인천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종착역
인 천
(차이나타운)
또한 경인선의 경우도, 실제 운행계통(1호선의 일부로써 운용됨)과 서류상 노선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서로 구별하여 씁니다.
3. 「○○ 방면」은 기존방식대로 작성합니다. 다만 색깔은 기본 블랙 #000000으로 둡니다.
(사유) 아랫 첨자로 해뒀을 경우 모바일에서도 PC에서도 #444444 와 #000000의 구별이 잘 되지 않음으로, 문법 간소화 차원으로 기본 색상으로 둠.

4. 「○○ 방면」표기 밑에 해당 행선지 방향으로 직통하는 노선을 표기합니다.
와코시 방면
( 도부 토죠 본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직통)
메이지진구마에
(F-15)
4-1. 이 때에 직통노선명에 걸리는 링크는 해당 노선과 직결하는 의 문서로 링크시켜줍니다.
(예시) 후쿠토신선상의 역명표에서 직결노선인 '도부 토죠 본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의 링크는 각각 '와코시역' '코타케무카이하라역' 으로 걸어줍니다.
( 도부 토죠 본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직통)
(사유) 일본 철도의 직결 노선들 중엔 노선의 종점이 아닌 노선의 중간 지점에서 분리되는 직결노선들이 있기 때문에( 아사쿠사선 센가쿠지역, 후쿠토신선· 유라쿠초선 코타케무카이하라역, 케이오선 사사즈카역 등등) 이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직결역으로 링크를 검.

4-2. 「○○ 방면」표기 옆에는 노선의 색깔이 칠해진 사각형 기호를 배치해 해당 노선을 경유하는 운행계통을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와코시 방면
( 도부 토죠 본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직통)
← 메이지진구마에
(F-15)
여기서 「」은 후쿠토신선의 노선색, 「 」은 직통하는 도부 토죠 본선의 색, 「 」은 마찬가지로 직통하는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의 색입니다.
추가적으로, 직통노선들의 경우, 「 [[토죠 본선|{{{#1155cc ■}}}]] 과 같이 노선명의 링크도 함께 걸어줍니다.
정리
한국철도공사 인천역
韓國鐵道公社 仁川驛
구로 방면
← 동인천
경인선 시종착역
인 천
 
 
시종착역 수인선 수원 방면
K263
인 천
(미개통)
 
소요산 방면
← 동인천
(160)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종착역
인 천
(차이나타운)
161
시종착역 수도권 전철 수인선 수원 방면
K263
인 천
(미개통)
K264
동일본여객철도 시부야역
東日本旅客鉄道 渋谷駅
시나가와 방면
← 에비스
야마노테선 타바타 방면
하라주쿠 →
시부야
 
 
내선순환
← 에비스
야마노테선 외선순환
하라주쿠 →
시부야
 
 
오사키 방면
(린카이선 직통)
← 에비스
사이쿄선 카와고에 방면
신주쿠 →
시부야
 
 
즈시 방면
← 에비스
쇼난신주쿠라인 우츠노미야 방면
신주쿠 →
시부야
 
오다와라 방면
← 에비스
마에바시 방면
신주쿠 →
 
서일본여객철도 아마가사키역
西日本旅客鉄道 尼崎駅
도쿄 방면
← 츠카모토
도카이도 본선 고베 방면
타치바나 →
아마가사키
 
 
쿄바시 방면
← 카시마
JR 도자이선 시종착역
아마가사키
 
 
시종착역 후쿠치야마선 후쿠치야마 방면
츠카구치 →
아마가사키
 
 
오사카 방면
← 츠카모토
JR 고베선 히메지 방면
타치바나 →
아마가사키
 
 
쿄바시 방면
← 카시마
JR 도자이선 JR 고베선 니시아카시 방면
타치바나 →
아마가사키
 
사사야마구치 방면
츠카구치 →
  JR 타카라즈카선
오사카 방면
← 츠카모토
JR 타카라즈카선 사사야마구치 방면
츠카구치 →
아마가사키
 
 
이 도안은 Symn1303님의 도안을 기본으로 작성된 안입니다. 문제가 생길 시, 수정하거나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1.3.3. Cocapepper안

nodeul님의 안을 따를 경우 오송역문서와 같이 운행계통의 길이가 문서 길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문제가 생겨 보기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아 조금 개량해보았습니다. 오송역 문서를 예로 들겠습니다.
고속여객열차
KTX
( 경부고속선· 경부선· 동해선· 호남고속선· 호남선· 경전선· 전라선)
인천국제공항, 행신[2] 방면
천안아산[3]

28.6 km
오 송
35.1 km
부산[4], 포항, 목포, 익산, 진주, 여수EXPO 방면
대 전
급행여객열차
충북선 무궁화호
동대구 방면
조치원

4.4 km
오 송
7.0 km
영주 방면
청 주
서울 방면
전 의

18.8 km

7.0 km
제천 방면
청 주
관광열차
중부내륙순환열차
서울 방면
천 안

34.1 km
오 송
7.0 km
철암 방면
청 주
충북선 무궁화호와 같은 경우에는 운행계통이 다르기 때문에(동대구에서 출발한 열차는 제천이 아닌 영주로만 운행. 다른 계통도 마찬가지) 통합하지 않았습니다. KTX는 모든 열차가 인국공 or 행신 혹은 둘 다로 운행하기 때문에 통합해도 혼동할 여지는 없어 보입니다.
일본 철도역의 경우 카와치에이와역의 상단표를 기준으로 합니다. 기타 경우는 따로 문의 바랍니다.
토론란에 많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2. 열차 운행 계통 시안 제의

2.1. sky 초안

KTX
경부고속선 인천국제공항 방면
검 암

31.4km
서 울
22.0km
부 산 방면
광 명
행 신 방면
행 신

14.9km
경부선 시종착역 서 울
9.1km
부 산 방면
영등포
행 신 방면
행 신

14.9km

22.0km
부 산 방면
광 명
경전선 인천국제공항 방면
검 암

31.4km
서 울
22.0km
진 주 방면
광 명
행 신 방면
행 신

14.9km

22.0km
마 산 방면
광 명
동해선 인천국제공항 방면
검 암

31.4km
서 울
22.0km
포 항 방면
광 명
행 신 방면
행 신

14.9km

ITX-새마을
경부선 시종착역 서 울
9.1km
부 산방면
영등포
경전선 시종착역 서 울
9.1km
진 주방면
영등포

무궁화호·누리로
경부선 시종착역 서 울
9.1km
부 산방면
영등포

9.1km
해운대방면
영등포
충북선 시종착역 서 울
9.1km
제 천 방면
영등포
경전선 시종착역 서 울
9.1km
영등포 방면
영등포
장항선 시종착역 서 울
3.2km
신 창 방면
용 산

2.2. nodeul 안

일반철도
경부선 (서울 ~ 부산)
시종착역   서 울
1.7km
부 산 방면
남 영
경의선 (서울 ~ 도라산)
시종착역   서 울
3.1km
도라산 방면
신 촌
경부고속선 KTX
인천국제공항 방면
검 암

31.4km
서 울
22.0km
부 산 방면
광 명
행 신 방면
행 신

14.9km
경부선 KTX
시종착역 서 울
9.1km
부 산 방면[5]
영등포
행 신 방면
행 신

14.9km

22.0km
부 산 방면[6]
광 명
경전선 KTX
인천국제공항 방면
검 암

31.4km
서 울
22.0km
진 주 방면
광 명
행 신 방면
행 신

14.9km
마 산 방면
광 명
동해선 KTX
인천국제공항 방면
검 암

31.4km
서 울
22.0km
포 항 방면
광 명
행 신 방면
행 신

14.9km
경부선 ITX-새마을
시종착역 서 울
9.1km
부 산 방면
영등포
경전선 ITX-새마을
시종착역 서 울
9.1km
진 주 방면
영등포
경부선 무궁화호
시종착역   서 울
9.1km
부 산 방면
영등포

9.1km
신해운대 방면
영등포
충북선 무궁화호
시종착역 서 울
9.1km
제 천 방면
영등포
경전선 무궁화호
시종착역 서 울
9.1km
진 주 방면
영등포
장항선 누리로
시종착역 서 울
3.2km
신 창 방면
용 산

2.3. Cocapepper안 (일본 철도에만 적용)

슈퍼오조라 삿포로 방면
신삿포로
미나미치토세



쿠시로 방면
오이와케
(하행 3·9·11호 / 상행 2·10호)
토마무
(하행 1·5·7호 / 상행 6·8·12호)
신토쿠
(상행 4호)
슈퍼토카치 삿포로 방면
신삿포로
미나미치토세 오비히로 방면
오이와케
L特 스 즈 란 무로란 방면
누마노하타
미나미치토세 삿포로 방면
치토세

3. 승강장 시안 제의

3.1. Cocapepper 안

승강장 템플릿에 대한 기본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
C C'
↓ B
C 노선명 완급여부/열차종류 주요역1·주요역2·주요역3·종점 방면
C' 노선명 완급여부/열차종류 주요역4·주요역5·주요역6·종점 방면
주요 원칙
1. 인접 역명 표기에 관한 건
1.1. A 부분에는 상행/외선순환 방면의 다음 역을 적습니다.
1.2. B 부분에는 하행/내선순환 방면의 다음 역을 적습니다.
1.3. 서로 상/하행의 방향이 다른 환승역의 경우 북쪽 방향 역을 A, 남쪽 방향 역을 B에 적습니다. (ex. 까치산역, 청량리역) 다만 본선과 지선의 분기역은 본선을 기준으로 합니다.
외대앞 중랑
1 2 3 4
청량리(지하) ↓ 청량리(지상) ↓
1.4. 진행 방향 화살표(↑/↓)는 열차의 통행 방향에 따라 입력합니다.
1.5. 인접한 역이 다른 두 노선이 같은 층의 승강장을 공유하는 경우 철로/승강장 별로 인접역 표기를 나누어 입력합니다.
기지 뚝섬 용답
3 1 2 4
건대입구

예외 1. 응암루프선은 A 부분에 진행 방면, B 부분에 지난 역을 적습니다. 또한 진행 방향 화살표는 (↑)만 써야 합니다.
불광
응암
예외 2. 구로역과 같이 1.5.를 따를 경우 혼돈의 카오스가 우려되는 상황에서는 "B역·C역 ↓" 과 같이 묶어씁니다.
예외 3. 경의선, 경원선 비전철화 구간( 운천~ 도라산 / 초성리~ 백마고지) 및 교외선의 경우는 서울역 방면이 상행이지만 전철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북쪽 역을 A에, 남쪽 역을 B에 표기합니다.
예외 4. 인접한 역이 미개통 상태일 경우 다음역명 (미개통역명) 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서강대
1 2
용산( 효창공원앞)
예외 5. 완행/급행이 모두 정차하는 역은 1.5.와 같이 인접역을 나눠 적지 않고 완행 기준 인접역을 씁니다.
흑석
급하 급상
구반포

2. 승강장 표기에 관한 건
2.1. 상행 승강장은 , 하행 승강장은 , 외선순환 승강장은 , 내선순환 승강장은 , 응암순환 승강장은 , 급행 상행 승강장은 급상, 급행 하행 승강장은 급하, 중선(中線) 승강장은 , 일본 철도 단선 승강장은 , 하차 전용 승강장은 으로 표기합니다. 다만, 승강장 번호가 있을 때에는 이를 우선하여 적습니다.
2.2. 승강장 칸에는 각 노선의 고유 색을 넣습니다. 단, 일반열차 승강장은 #808080,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은 그 승강장을 지나는 열차 노선 색을 넣습니다.
2.3. 한 승강장에 2개 이상의 선로가 배당되어서는 안됩니다.

ex) 잘못된 예
월곡
돌곶이

ex) 올바른 예
월곡
돌곶이
2.4. 승강장 기본 템플릿에서 (특히 모바일에서의) 가독성과 미적 요소를 고려하여 <width=10px>을 빼는 것은 허용됩니다.


3. 하단 표 작성에 관한 건
3.1. 노선명을 적을 때에는 풀네임으로 적습니다. (토론필요)
3.2. 노선/완급 칸은 승강장이 많을 때 동일한 내용의 아래 칸과 합칠 수 있습니다.
3.3. 행선지 칸은 아래칸과 내용이 동일하다면 합쳐야 합니다.
3.4. 완급 구분이 없는 노선은 완급칸을 생략합니다.
3.5. 주요역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만 이는 권고사항입니다.
환승 노선 수가 많은 역→해당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있는 역→급행정차역(상위 등급 우선)→이용객이 많은 역→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자유

3.6. 행선지의 역 이름은 3~4개 정도 적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외 1. 용인경전철은 가운뎃점(·)이 들어가는 역명이 많아서 혼동이 우려되므로 역과 역을 구분하는 가운뎃점(·)의 양 옆을 한 칸씩 띄어씁니다. 일본 철도역 역시 관행 상 띄어씁니다.
용인경전철 초당 · 동백 · 어정 · 기흥 방면
용인경전철 명지대 · 운동장·송담대 · 보평 · 전대·에버랜드 방면


4. 승강장 문단 위치에 관한 건 (전체적으로 토론 필요)
4.1. 승강장 문단은 "역 정보" 문단의 하위 문단으로 넣습니다. (역 정보 문단이 없을 때에는 만들어서 넣습니다.)
4.2. 환승역일 경우 노선별로 "승강장"문단의 하위 문단으로 분리합니다. (단, 같은 층을 공유할경우 노선 대신 층별로 분류합니다.) (ex. 김포공항역, 청량리역)
참고
노선 색상 코드는 수도권 전철 문서를 참조하세요.
승강장 번호는 역사(驛舍) 혹은 번화한 광장에서 가까운 쪽부터 오름차순으로 부여됨을 원칙으로 합니다.

4. 역 문서 우측 기본 정보 표 템플릿 제의

4.1. Cocapepper 안

4.1.1. 일반

수도권 전철은 표가 이미 전부 작성되었으니 일반 철도역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
역명
(지도)
다국어 표기
영어 Station Name
한자 驛名
중국어 站名
일본어 エキメイ
사진
설명
주소

역명
WW도 XX시 YY구 ZZ로 nn
(舊 aa동 mm)
☆'
역명
WW도 XX시 YY구 ZZ로 nn
(舊 aa동 mm)
일반 철도
운영기관 KK사 VV본부
BB선
개업일
YYYY년 MM월 DD일
열차등급
영업개시일
YYYY년 MM월 DD일
역등급 역등급(n급/중추역orEE역 관리)
1. 구글 지도로 역의 정확한 위치를 지정할 수 없을 때에는 큰 지도 보기를 눌러 역의 위치를 마우스 우클릭하고 이곳이 궁금한가요?를 누르면 아래쪽 팝업창에 주소와 좌표가 뜰 것입니다. 그 좌표를 클릭하면 좌측 검색창에 좌표가 뜨는데 그 좌표를 표의 장소 입력란에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위도와 경도 사이의 comma를 지워야 지도가 제대로 나옵니다.
1.1. 역의 위치를 모르신다면 네이버/다음 지도나 미래철도 DB의 사업계획안을 참고하여 최대한 유추해주세요.
1.2. 지도 크기는 100%x300px으로 합니다.

2. 원칙적으로 중국어 역명은 간화자로, 일본어 역명은 가타카나로 나타냅니다.
2.1. 역명 표기법을 모르신다면 위키피디아에 그 역 문서를 검색해서 다른 언어로 보기를 누르십시오.
2.2. 구글 번역기에서 중국어→중국어(간체) 변환 설정을 해놓고 한자역명을 입력하면 간화자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어는 역명이 한자로 출력되거나 번역의 질이 상당히 떨어지므로( 양산역量産駅로 번역한다던가) 구글 번역기 사용을 금합니다.
2.3. 노선 계통에 따라 일본어 역명에 한자를 넣어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그 밑에 반드시 가타카나로 한국어 발음을 병기해주시기 바랍니다.

3. tablewidth는 설정하지 않습니다.

4. 사진 크기는 300px로 합니다. (사진 칸은 비워도 무방합니다.)

5. ☆ 자리에는 그 역을 지나는 노선이 두 개 이상일 때에는 운영기관명과 역명을 적습니다. 노선이 하나라면 ☆칸을 없애고 주소입력란을 2칸으로 늘립니다.

6. 노선별 개업일 표기시에는 되도록이면 모든 노선을 씁니다.

7. 영업개시일 표기 시에 열차등급은 KTX-ITX청춘-ITX새마을-새마을호-무궁화호-일반열차-관광열차 순으로 적습니다.






4.1.2. 일본

기본적으로 국내 역 뿐만이 아니라 대만이나 영국 등 국외의 모든 역에 대하여 이러한 템플릿을 적용하여야 하지만, 일본은 사철이 타국보다 월등히 많은 관계로 별도의 템플릿을 이용합니다. 향후 나라의 분위기에 맞춰 평양지하철이나 모스크바 지하철 또한 아래 템플릿을 적용하는 것 또한 논의해보고 싶습니다.
JR 히가시니혼, 도쿄 메트로, 수도권 신도시철도
秋葉原
あきはばら
{지도}
역정보
영어표기 Akihabara
한글표기 아키하바라
역번호 H-15 ( 히비야선)
01 ( 츠쿠바 익스프레스)
소재지 도쿄 치요다구 소토칸다1초메 17-6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7-6
( JR 히가시니혼)
도쿄 치요다구 칸다사쿠마초1초메 21
東京都千代田区神田佐久間町一丁目21
( 도쿄 메트로)
도쿄 치요다구 칸다사쿠마초1초메 6-10
東京都千代田区神田佐久間町一丁目6-10
( 수도권 신도시철도)
개업일 1890년 11월 1일 ( JR 히가시니혼)
1962년 5월 31일 ( 도쿄 메트로)
2005년 8월 24일 ( 수도권 신도시철도)
도쿄 도 교통국
岩本町
いわもとちょう
(지도)
역정보
영어표기 Iwamotochō
한글표기 이와모토초
역번호 S-08 ( 신주쿠선)
소재지 도쿄 치요다구 칸다이와모토초 1
東京都千代田区神田岩本町1
개업일 1978년 12월 21일
1. 맨 위 칸에는 모든 운영주체, 역명, 히라가나 역명을 양식에 맞춰 표기합니다.
1.1. 위와 같이 환승은 되나 역 이름이 다를 경우에는 표 밑에 그 역만의 표를 이어붙입니다. 순서는 JR을 맨 위에 두고 나머지는 문서에 서술된 순서대로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2. 색을 넣을 때에는 각 회사의 대표색을 넣습니다.
1.2.1. 만약 운영사가 다수일 경우 JR 컬러를 최우선으로 넣습니다. 만약 JR의 다른 계통끼리(JR화물 제외) 만나는 역이나 JR 이외의 다수 회사의 노선이 만나는 역의 경우에는 #808080 컬러를 사용합니다.
1.3. 모든 운영주체를 공식명칭으로 쓰는 것을 권장하나, JR만큼은 비공식으로 쓰는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ex. 동일본 여객철도 주식회사 → JR 히가시니혼)
1.4. 운영사가 다른 노선끼리 만나는 역이지만 역무를 담당하는 회사가 하나일 경우 담당회사만 적습니다.
1.5. 제1종 철도사업자 이외의 운영주체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2. 지도를 삽입할 때는 되도록이면 한자역명을 넣어주세요. 또한 구글 지도로 역의 정확한 위치를 지정할 수 없을 때에는 큰 지도 보기를 눌러 역의 위치를 마우스 우클릭하고 이곳이 궁금한가요?를 누르면 아래쪽 팝업창에 주소와 좌표가 뜰 것입니다. 그 좌표를 클릭하면 좌측 검색창에 좌표가 뜨는데 그 좌표를 표의 장소 입력란에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위도와 경도 사이의 comma를 지워야 지도가 제대로 나옵니다.
2.1. 지도 크기는 100%x300px로 합니다.

3. 한글 역명 표기는 국립국어원 표기법보다 문서 제목 표기를 우선시합니다.

4. 역번호는 그 칸에 노선별로 고유 색을 입혀 표기합니다. 다만 역번호가 없는 노선은 표기하지 않습니다. 글자 색은 기본적으로 #ffffff를 권장합니다.

5. 소재지 또한 운영사별로 별도의 칸에 표기합니다. 일본어주소는 일본어 위키피디아를 참조하시고, 한국어 번역은 구글 지도에 나오는 영문주소를 참조하여 옮겨적으시면 됩니다.
5.1. 일본어 주소 중 X番 N号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X-N으로 표기합니다.
5.2. 가끔씩 일본어 위키피디아 주소에 현이 표기되어있지 않고 바로 시(市)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직접 현까지 입력하는것을 권장합니다.
5.3. 일본어 주소 중 오아자(大字)와 아자(字)는 생략합니다.
5.4. 町은 "마치", "초"로 표기합니다. 같은 행정구역 안에서도 읽는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구글 지도의 영문 주소나 일본어 위키피디아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5. 丁目은 "초메"로 표기하되, 앞의 글자와 붙여씁니다. (ex. 銀座2丁目는 긴자 2초메가 아니라 긴자2초메로 표기합니다.)

6. 개업일 또한 운영사 별로 별도의 칸에 나누어 표기합니다.

7. 역의 심볼 마크가 있는 경우에는 무로미역 문서와 같은 형식을 적용합니다.

8. 표 작성 중 불확실한 정보가 있다면 일본어 위키피디아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개 이상의 사이트와의 교차검증을 적극 추천합니다.)

barakumi님의 의견과 같이 한글표기• 영어표기의 링크를 지우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므로, 아래 템플릿에서 전술한 링크를 뺐습니다.





4.2. barakumi 안

오랜만에 이 프로젝트를 다시하게 되어 기쁘네요.
기본 베이스 소스는 cocapepper 님의 것 입니다.
제가 이 안을 따로 내게 된 배경은, 일본은 철도 노선이 많지만 잘 연계되어 있지는 못한 편이고, 사철 회사들의 구분도 명확한 편이며, 직통운행도 활발하기 때문에 이 안을 제시하게 되었습니다. 이것만 가지고는 대체 뭔소린지...
먼저, 직통운행의 경계점이 아닌 일반역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동일본 여객철도 주식회사
(JR 히가시니혼)

秋葉原
あきはばら
{지도}
역정보
영어표기 Akihabara
한글표기 아키하바라
역번호 JR 히가시니혼
역번호가 없음
소재지 도쿄 치요다구 소토칸다1초메 17-6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7-6
개업일 1890년 11월 1일
도쿄 메트로
秋葉原
あきはばら
{지도}
역정보
영어표기 Akihabara
한글표기 아키하바라
역번호 H-15
( 히비야선)
소재지 도쿄 치요다구 칸다사쿠마초 1초메 21
東京都千代田区神田佐久間町一丁目21
개업일 1962년 5월 31일
수도권 신도시 철도
(츠쿠바 익스프레스)

秋葉原
あきはばら
{지도}
역정보
영어표기 Akihabara
한글표기 아키하바라
역번호 01
( 츠쿠바 익스프레스)
소재지 도쿄 치요다구 칸다사쿠마초 1초메 6-10
東京都千代田区神田佐久間町一丁目6-10
개업일 2005년 8월 24일
참고로, 원래 일본어 한자 그대로 秋葉原(아키하바라)를 읽을때는, 아키하바가 아니라 아키바하 라고 합니다만.., 바뀐 이유가 JR이 영어 역명판을 Akihabara라고 잘못 써서라고 합니다. 뭐, 중요하지는 않지만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서요...
우선, 일본은 한국과 달리 같은 역임에도 불구하고 운영주체에 따라서 멀리 떨어진 경우가 많으며, 운영주체에 대한 관심도 높아 운영주체를 명확히 구분하는 편입니다.
따라서, 저는 같은 역에 대한 정보를, 한 개의 표 대신에 운영회사별로 나누었습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JR히가시니혼, 도쿄메트로, 쓰구바 익스프레스 별로 나뉘게 되었군요.

다음으로, 직통운행의 경계점이 아닌 같은회사끼리의 환승역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쿄 메트로
銀座
ぎんざ
{지도}
역정보
영어표기 Ginza
한글표기 긴자
역번호 G-09
( 긴자선)
M-16
( 마루노우치선)
H-08
( 히비야선)
소재지 도쿄도 츄오구 긴자4초메 1-2
東京都中央区銀座四丁目1-2
개업일 1934년 3월 3일
같은 회사의 노선이 만나는 역이지만, 타 회사와 직결운행이 없을 경우, 위와 같이 작성합니다.

1. 운영회사의 심볼 컬러를 배경으로 넣고, 그 위에 흰색 글씨로 운영회사를 써 넣습니다.

2. 그 아래쪽에 한자 역명(한국 역의 경우 한글)의 크기를 +2 하여 기재하고, 그 다음줄에는 히라가나(한국 역의 경우 생략)로 역명을 기재합니다.
도쿄 메트로
銀座
ぎんざ
이것처럼요.

3. 지도를 삽입합니다.

4. 외국에 존재하는 역일 경우 영어표기를 먼저 쓴 후에 한글표기를 쓰고, 한국에 존재하는 역일 경우 한글표기를 먼저 쓴 후에 영어표기를 씁니다.

5. 역번호를 작성하는데... 해당 표의 운영회사가 운영하는 모든(역번호가 있는)노선의 역번호를 씁니다.
5-권장1. 더 오래된늙은 노선부터 작성하기를 추천드립니다.
5-1. 해당 노선의 라인컬러를 배경색으로 넣습니다. 그리고 흰색으로, 윗줄에 역번호, 아랫줄에 '(노선이름)'을 씁니다. 이때! 노선이름은 괄호의 안에 집어넣습니다!!!
주황색 HH노선의 'HH-12'번 역일경우에는...
HH-12
( HH선)
위처럼 작성하시면 됩니다.


자! 이제, 타사와의 직결운행의 경계점이 되는 역의 표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도쿄메트로
渋谷
しぶや
도쿄급행전철
渋谷
しぶや
{지도}
역정보
영어표기 Shibuya
한글표기 시부야
역번호 G-01
( 긴자선)
DT-01
( 덴엔토시선)
Z-01
( 한조몬선)
TY-01
( 도요코선)
F-16
( 후쿠토신선)
소재지 도쿄도 시부야구 도겐자카2초메 1-1
東京都渋谷区道玄坂二丁目1-1
개업일 1927년 8월 28일
타사와의 직결운행의 경계점이 되는 역의 경우에는...

기타 자잘한 변경점으로는, '한글표기'•'영어표기' 라는 글자에 걸린 한글표기• 영어표기링크를 없앤 정도겠네요. (사유: abcdefg 이런게 영어고, ㄱㄴㄷㄹㅁㅂㅅ 이런게 한글이란건 모두 아는 사실이므로 굳이 링크를 걸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공식 컬러 [2] 호남선 KTX는 하행 한정으로 행신역에서 출발하는 열차편이 하루 2편이 존재한다. 상행은 모두 용산행 [3] 동해선 KTX 상행은 무정차 통과 [4] 구포 경유 경부선 KTX [5] 수원 경유 [6] 구포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