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남해 차차웅 | 유리 이사금 | 탈해 이사금 | ||
<rowcolor=#fbe673>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파사 이사금 | 지마 이사금 | 일성 이사금 | ||
<rowcolor=#fbe673>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벌휴 이사금 | 내해 이사금 | 조분 이사금 | 첨해 이사금 | |
<rowcolor=#fbe673>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미추 이사금 | 유례 이사금 | 기림 이사금 | 흘해 이사금 | |
<rowcolor=#fbe673>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 자비 마립간 | |
<rowcolor=#fbe673>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소지 마립간 | 지증왕 | 법흥왕 | 진흥왕 | |
<rowcolor=#fbe673>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진지왕 | 진평왕 | 선덕여왕 | 진덕여왕 | |
<rowcolor=#fbe673>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태종 무열왕 | 문무왕 | 신문왕 | 효소왕 | |
<rowcolor=#fbe673>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 | |
<rowcolor=#fbe673>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선덕왕 | 열조 원성왕 | 소성왕 | 애장왕 | |
<rowcolor=#fbe673>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헌덕왕 | 흥덕왕 | 희강왕 | 민애왕 | |
<rowcolor=#fbe673>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
신무왕 | 문성왕 | 헌안왕 | 경문왕 | |
<rowcolor=#fbe673>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
헌강왕 | 정강왕 | 진성여왕 | 효공왕 | |
<rowcolor=#fbe673>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제56대 | |
신덕왕 | 경명왕 | 경애왕 | 경순왕 | |
}}}}}}}}}}}} |
헌안왕 관련 틀
|
||||||||||||||||||||||||||||||||||||||||||||||||||||||||||||||||||||||||||||||||||||||||||||||||||||||||||||||||||||||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제47대 국왕
헌안왕 | 憲安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라 제37대 상대등
|
}}}}}}}}} | |
|
|||
헌안왕릉 전경. | |||
출생 (음력) |
822년 전후 추정[1] | ||
신라 금성 | |||
사망 | 861년 3월 18일[A] (향년 39세 전후) | ||
신라 금성 | |||
능묘 | 공작지(孔雀趾) | ||
재임기간 (음력) |
신라 제37대 상대등 | ||
849년 1월 ~ 연대 미상 | |||
재위기간 | 신라 제47대 국왕 | ||
857년 음력 9월 ~ 861년 3월 18일[A] (3년 6개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 경주 김씨 | |
휘 | 의정(誼靖) / 우정(祐靖) / 의정(義正)(?)[4] | ||
부모 |
부왕
성덕왕 모후 조명부인 |
||
형제자매 | 형 김우징 | ||
왕후 | 문의왕후의 모후 | ||
자녀 |
왕자
궁예(?), 김예[5] 왕녀 영화부인, 차비 김씨 |
||
종교 | 불교 | ||
시호 | 헌안대왕(憲安大王)[6] | ||
별호 | 정왕(情王)[7] | ||
골품 | 진골(真骨) | ||
관등 | 서불한(舒弗邯) | ||
직위 | 상대등(上大等) | }}}}}}}}} |
[clearfix]
1. 개요
신라의 제47대 군주.제45대 신무왕 김우징의 이복동생이자 이종사촌 동생[8]이고, 제46대 문성왕에게는 숙부이며 제48대 경문왕의 장인이자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의 외조부이다.
2. 생애
김의정이 왕위에 오르기 이전의 행적은 자세히 알 수 없지만[9] 조카인 문성왕이 즉위한 뒤에는 병부령을 맡았고, 이후 문성왕 11년(849)에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문성왕에게는 태자가 있었는데 폐위되었다. <신라 경순왕전비문>(新羅敬順王殿碑文)에 따르면 문성왕에게 김안이라는 아들도 있었다고 하는데 왕이 죽을 때 유언으로 숙부인 헌안왕을 후계자로 추대했고, 각간의 벼슬에 있었던 헌안왕이 왕위에 올랐다. 헌안왕이 왕위에 오른 뒤 행적에 대해선 재위기간이 별로 길지 않았음을 감안해도 기록이 빈약하다. 헌안왕이 임금으로서 눈에 띄는 일을 하지 않았기 때문인지, 아니면 이런저런 일을 했지만 기록이 남지 않았기 때문인지는 알 길이 없다. 그러나 아무래도 후자 쪽에 가까워 보인다.《 삼국사기》 기록에는 제사를 지냈고 큰 물고기가 잡혔으며 제방을 수리했다는 내용이 전부이다. 사실 <헌안왕 본기> 분량 자체는 상술했듯이 그리 짧은 편은 아니나, 김응렴(훗날의 경문왕)과 나눈 대화 내용이 절반을 차지한다. 대화 내용을 요약하면 '김응렴과 얘기했더니 똑똑해서 사위 겸 후계자로 삼아야겠다'는 것이 내용의 골자.[10] 더군다나 후기에는 오랫동안 병상에 있었다.
아들은 없고 성씨를 알 수 없는 왕비에게서 본 두 딸만 있었는데 사망 기사를 보면 과거 선덕여왕과 진덕여왕 두 여왕이 있었으므로 딸을 여왕으로 올리자는 여론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헌안왕이 유교적 관점에 의하면 잘못된 것이므로 본받을 수 없다고 하여 두 딸을 경문왕에게 시집을 보내 그가 왕족이자 사위로서 왕위를 잇도록 했다. 이는 통일신라 사회에서 여왕이 이론적으로는 즉위가 가능하지만, 한편으로는 여성의 왕위 계승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상당히 존재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11] 물론 여기에는 헌안왕이 아무래도 김응렴의 아버지 김계명과 손을 잡고 문성왕 시절의 권력을 장악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헌안왕이 후궁인 빈어(嬪御)[12][13]에게서 궁예를 보았다는 기록도 있다. 후에 태봉을 건국한 궁예가 《삼국사기》에 따르면 헌안왕의 서자이므로, 이 설에 따르면 궁예가 최소 861년 이전 출생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궁예의 활동 기간이나 사망년 등을 감안할 때 시기 차이가 많이 나서 별로 주목받지 못하는 학설이다. 궁예의 주된 활동 기간을 감안하면 제48대 경문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더 유력하다. 또는 문성왕의 사촌동생인 김예(金銳)라는 인물이 경문왕 시대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어 처형되는 점을 감안해 헌안왕의 아들로서 경문왕의 박해를 받아 신라에서 이탈했다고 볼 수도 있다. KBS 대하드라마 < 태조 왕건>에서는 경문왕 부친설을 채택했다.
헌안왕릉은 대한민국의 사적 제179호로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지구 선도산 자락의 왕릉 밀집 지역에 있다. 자연석을 둘러 흙이 흘러내리지 않게 한 높이 약 4 m에 달하는 고분으로 바로 옆에 진흥왕릉, 진지왕릉, 문성왕릉이 있으며 500 m 거리에 무열왕릉, 서악동 고분군이 있다.
3. 가계
- 증조부: 열조 원성왕(제38대)
- 증조모: 숙정부인
- 배우자: 헌안왕비
4. 기타
- 흥미로운 설이 존재하는데 헌안왕이 상대등 시절에 시중인 김계명(金啓明)[15]과 힘을 합쳐 조카인 문성왕을 협박해 물러나게 했고 이 때문에 김계명의 아들을 사위로 삼아 왕위를 물려주었다는 것이 그 것이다. 근데 왠지 모르게 납득이 가는 설이긴 하다. 삼촌이 조카를 죽이거나 핍박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왕위에 오를 수 있었을까? 당장 50년 전으로 돌아가서 조카인 애장왕을 시해하고 삼촌 헌덕왕이 왕위에 오른 판에.
- 헌안왕과 경문왕의 왕위 이양 설화는 여러모로 요임금과 순임금 간의 평화적 계승을 연상케 한다. 헌안왕=요임금, 경문왕=순임금, 영화부인=아황, 차비 김씨=여영에 해당. 설화적 요소를 걷어낸 진실이 그닥 평화롭지는 않은 것도 동일.
5. 대중매체에서
6. 《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1권 「신라 1권 (新羅 一)」 | 2권 「신라 2권 (新羅 二)」 | |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 ||
3권 「신라 3권 (新羅 三)」 | 4권 「신라 4권 (新羅 四)」 | 5권 「신라 5권 (新羅 五)」 | |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 |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 8권 「신라 8권 (新羅 八)」 | 9권 「신라 9권 (新羅 九)」 | |
김법민 |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 |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 ||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 ||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 |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 고주몽 · 고유리 |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 |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 |
고궁 · 고수성 |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 |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 |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 고원 · 고건무 | |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 ||
고장 |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 ||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 |||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 |||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 |||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 |||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 |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 부여의자 | |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삼국사기》 <헌안왕 본기>
一年秋九月 헌안왕이 즉위하다
一年秋九月 죄수를 크게 사면하다
一年秋九月 이찬 김안을 상대등으로 삼다
二年春一月 신궁에 제사지내다
二年夏四月 서리가 내리다
二年夏五月 비가 오지 않다
二年 당성군에서 큰 물고기가 잡히다
三年 기근에 사신을 보내 구휼하다
三年夏四月 제방을 수리하고 농사에 힘쓰게 하다
四年秋九月 왕족 응렴이 헌안왕의 사위가 되다
五年春一月二十九日 헌안왕이 죽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
||||||||||||||||||||||||||
선도성모 | 은열왕 | 문열왕 | 감문왕 | 문의왕 | 장무왕 | 장렬왕 | ||||||||||||||||||||
|
||||||||||||||||||||||||||
朴1 시조 혁거세왕 |
알영 | |||||||||||||||||||||||||
|
||||||||||||||||||||||||||
|
|
|||||||||||||||||||||||||
朴2 남해왕 |
운제 | 청평군 | 박민 | 세조 알지왕 | 사요왕 | |||||||||||||||||||||
|
|
|||||||||||||||||||||||||
|
|
|
||||||||||||||||||||||||
朴3 유리왕 |
아효 |
昔4 시조 탈해왕 |
지소례왕 | 일지왕 | 태조 성한왕 | 사요왕의 딸 | ||||||||||||||||||||
|
|
|||||||||||||||||||||||||
|
|
|
||||||||||||||||||||||||
朴7 일성왕 |
朴5 파사왕 |
석구추 | 김아도 | 허루왕 | ||||||||||||||||||||||
|
|
|
|
|||||||||||||||||||||||
朴8 아달라왕 |
朴6 지마왕 |
昔9 벌휴왕 |
김수류 | 마제왕 | ||||||||||||||||||||||
|
|
|
||||||||||||||||||||||||
|
|
|
||||||||||||||||||||||||
아도왕 | 세신왕 | 이칠왕 | 김욱보 | |||||||||||||||||||||||
|
|
|
||||||||||||||||||||||||
|
|
|
|
|||||||||||||||||||||||
昔11 조분왕 |
昔12 첨해왕 |
昔10 내해왕 |
술례부인 | 구도왕 | ||||||||||||||||||||||
|
|
|
|
|
|
|||||||||||||||||||||
|
|
|
|
|||||||||||||||||||||||
|
|
|
|
|
||||||||||||||||||||||
昔14 유례왕 |
석걸숙 | 내음왕 | 석우로 | 광명부인 |
金13 미추왕 |
김말구 | ||||||||||||||||||||
|
|
|
||||||||||||||||||||||||
|
|
|
||||||||||||||||||||||||
昔15 기림왕 |
昔16 흘해왕 |
金17 내물왕 |
김대서지 | |||||||||||||||||||||||
|
|
|||||||||||||||||||||||||
|
|
|
|
|||||||||||||||||||||||
金19 눌지왕 |
파호왕 |
|
김미사흔 |
金18 실성왕 |
||||||||||||||||||||||
|
|
|
|
|||||||||||||||||||||||
金20 자비왕 |
습보왕 |
|
김내숙 | |||||||||||||||||||||||
|
|
|
|
|||||||||||||||||||||||
|
|
|
|
|||||||||||||||||||||||
金21 소지왕 |
金22 지증왕 |
|
선혜부인 | 김물력 | ||||||||||||||||||||||
|
|
|
||||||||||||||||||||||||
|
|
|
|
|||||||||||||||||||||||
聖23 법흥왕 |
입종왕 |
|
김거칠부 | |||||||||||||||||||||||
|
|
|||||||||||||||||||||||||
|
|
|||||||||||||||||||||||||
聖24 진흥왕 |
김숙흘종 |
|
||||||||||||||||||||||||
|
|
|
||||||||||||||||||||||||
|
|
|
||||||||||||||||||||||||
복승왕 | 동륜왕 | 만천왕 |
聖25 진지왕 |
|
김만명 | |||||||||||||||||||||
|
장인
|
|
|
|||||||||||||||||||||||
|
|
|
|
|
|
|
||||||||||||||||||||
마야부인 김행의 |
聖26 진평왕 |
진정왕 | 진안왕 | 문흥왕 | 김마차 |
|
||||||||||||||||||||
|
||||||||||||||||||||||||||
|
|
|
|
|
||||||||||||||||||||||
|
|
|
|
|
|
|
||||||||||||||||||||
聖27 선덕왕 |
김천명 | 비담 |
聖28 진덕왕 |
김알천 |
眞29 태종 무열왕 |
현성왕 | 흥무왕 | |||||||||||||||||||
|
|
|||||||||||||||||||||||||
|
|
|
||||||||||||||||||||||||
眞30 문무왕 |
김인문 | 무열왕의 딸 | 신영왕 | |||||||||||||||||||||||
|
|
|
||||||||||||||||||||||||
眞31 신문왕 |
|
흥평왕 | ||||||||||||||||||||||||
|
|
|
||||||||||||||||||||||||
|
|
|
||||||||||||||||||||||||
眞32 효소왕 |
眞33 성덕왕 |
|
명덕왕 | |||||||||||||||||||||||
|
|
|
||||||||||||||||||||||||
|
|
|
|
|
||||||||||||||||||||||
개성왕 | 김사소 | 효상태자 |
眞34 효성왕 |
眞35 경덕왕 |
김주원 |
眞38 열조 원성왕 |
||||||||||||||||||||
|
|
|
|
|||||||||||||||||||||||
|
|
|
|
|
||||||||||||||||||||||
眞37 선덕왕 |
眞36 혜공왕 |
김헌창 | 혜충왕 | 헌평태자 | 혜강왕 | |||||||||||||||||||||
|
|
|||||||||||||||||||||||||
|
|
|
|
|||||||||||||||||||||||
眞39 소성왕 |
眞41 헌덕왕 |
眞42 흥덕왕 |
선강왕 | 익성왕 | 성덕왕 | |||||||||||||||||||||
|
|
|
|
|
|
|||||||||||||||||||||
|
|
|
|
|
|
|||||||||||||||||||||
眞40 애장왕 |
헌덕왕태자 | ? |
眞44 민애왕 |
眞43 희강왕 |
眞45 신무왕 |
眞47 헌안왕 |
||||||||||||||||||||
|
|
|
|
|||||||||||||||||||||||
|
의공왕 |
眞46 문성왕 |
궁예(?) | |||||||||||||||||||||||
|
|
|
||||||||||||||||||||||||
|
|
|
|
|||||||||||||||||||||||
성무왕 | ─ | ? |
眞48 경문왕 |
혜성왕 | 문성왕태자 | 문성왕의 딸 | ||||||||||||||||||||
|
|
|
||||||||||||||||||||||||
|
|
|
|
|||||||||||||||||||||||
선성왕 | 흥렴왕 | 박정화 |
眞49 헌강왕 |
眞50 정강왕 |
眞51 진성왕 |
의흥왕 | ||||||||||||||||||||
|
양부
|
|
|
|||||||||||||||||||||||
|
|
|
|
|
||||||||||||||||||||||
朴53 신덕왕 |
김의성 | 김계아 |
眞52 효공왕 |
김억렴 | 신흥왕 | |||||||||||||||||||||
|
|
|||||||||||||||||||||||||
|
|
|||||||||||||||||||||||||
朴54 경명왕 |
朴55 경애왕 |
眞56 경순왕 |
||||||||||||||||||||||||
|
|
|||||||||||||||||||||||||
|
|
|||||||||||||||||||||||||
박언창 | 박언침 | 마의태자 | ||||||||||||||||||||||||
{{{#!wiki style="margin:-5px -10px" | [왕조 보기] | |||||||||||||||||||||||||
[朴] 밀양 박씨 왕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
[昔] 경주 석씨 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 |||||||||||||||||||||||||
[범례] | ||||||||||||||||||||||||||
세로선(│) : 부자, 사위관계 /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혼인관계: 붉은 두줄#= | }}} | }}}}}}}}}}}} |
[1]
김균정이 새 아내인 조명부인과 재혼한 직후인 822년경 전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즉 39세 전후 즈음에 죽은 셈이다. 장녀인 영화부인이 헌안왕 사망 당시 20세였으므로 시기적으로도 잘 맞아떨어진다.
[A]
음력
1월 29일,
율리우스력
3월 14일
[A]
[4]
문성왕 시기
상대등인데, 음운상 거의 유사하고
문성왕과 헌안왕이 3촌 관계로 꽤 가까운 친족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일인으로 본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에서도 "(즉위 전의) 헌안대왕(憲安大王)께서는 사찰의 시주(施主)인 계서발한(季舒發韓)인 위흔(魏昕)과 더불어 남북(南北) 재상(宰相)―각기 자신의 관사에 있어 좌상(左相), 우상(右相)과 비슷하였다―"는 구절이 있어 헌안왕이 즉위 전 재상직을 맡았음을 입증한다.
[5]
<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 기록.
궁예와 동일인인지는 불명이다.
[6]
《
삼국유사》 기록
[7]
<보림사 철조비로사나불좌상 조상기> 기록. 본명인 ‘의정’의 뒷 글자만 딴 것.
[8]
신무왕의 어머니
정교부인과 헌안왕의 어머니
조명부인이 자매간이다.
[9]
이복 형인 신무왕이
장보고와 힘을 합쳐
민애왕 세력과 왕위 다툼을 벌였는데 그때 무엇을 했는지조차 기록이 없다.
[10]
신라~
고려 초기까지는 왕족간
근친혼이 흔했고, 적장자가 없을 경우에는 사위도 왕위 계승 후보자가 되었다.
[11]
결국 30년 뒤에
진성여왕이 신라의 3번째 여왕으로서 즉위했지만, 지방에서
반란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통일신라가 다시 분열해
후삼국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2]
후궁 작호 중 하나이다.
[13]
이 빈어가 다름 아닌
장보고의 딸이라는 가설도 있다.
신무왕과
문성왕이 장보고의 딸을 차비로 들이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하자 문성왕이 대신 자기 숙부인 김의정의 첩으로 주었고 여기서 궁예를 낳았다는 설이다.
[14]
헌안왕의 두 딸과 모두 혼인했다.
[15]
제43대
희강왕의 아들이자 제48대
경문왕의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