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9px" |
갈문왕 | ||||||
사요 갈문왕 | 허루 갈문왕 | 마제 갈문왕 | 일지 갈문왕 | ||||
지소례 갈문왕 | 아도 갈문왕 | 세신 갈문왕 | 구도 갈문왕 | ||||
이칠 갈문왕 | 내음 갈문왕 | 복승 갈문왕 | 만천 갈문왕 | ||||
<rowcolor=#FBE673> 눌지 마립간 | 자비 마립간 | 소지 마립간 | 법흥왕 | ||||
파호 갈문왕 | 습보 갈문왕 |
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
입종 갈문왕 | ||||
<rowcolor=#FBE673> 진평왕 | 선덕여왕 | ||||||
진정 갈문왕 | 진안 갈문왕 | 문흥 갈문왕 |
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
||||
추존 국왕 | |||||||
은열왕 | 문열왕 | 감문왕 | 문의왕 | ||||
장렬왕 | 장무왕 | 세조 |
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
||||
문흥왕 |
흥무왕 비 왕족 |
개성왕 | 현성왕 | ||||
신영왕 | 흥평왕 | 명덕왕 |
혜충왕 태자 |
||||
익성왕 |
선강왕 태자 / 갈문왕 |
혜강왕 | 성덕왕 | ||||
의공왕 |
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
선성왕 | 흥렴왕 | ||||
성무왕 | 성희왕 | 의흥왕 | 신흥왕 | ||||
비정통 국왕 | |||||||
<rowcolor=#4a2d5b,#fff>
김인문 괴뢰왕 |
김헌창 장안왕 |
김범문 장안왕위 요구자 |
박언창 후사벌왕 |
}}} {{{#!wiki style="margin: -29.5px -1px -11px" |
문헌상 언급 | ||
이사지왕 | 낭자왕 | 각절왕 | |||||
유탑왕 | 진솔왕 | 우류조부리지간 | |||||
지고 | |||||||
}}}}}}}}}}}}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추존 국왕
태조 성한왕 | 太祖 星漢王 |
|||
|
|||
흥덕왕릉비편에 등장하는 성한왕 문구 | |||
출생 | 80년대 이후[1] | ||
사로국(?) | |||
사망 | 연대 미상 | ||
사로국(?) | |||
능묘 | 미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 경주 김씨[2] | |
휘 |
성한(星漢/聖韓) / 세한(勢漢)[3] / |
||
부모 | 부왕 세조왕 | ||
묘호 | 태조(太祖) | ||
시호 | 성한대왕(星漢大王) | ||
별호 | 한왕(漢王) / 태조대왕(太祖大王) / 시조대왕(始祖大王)[5] | }}}}}}}}} |
[clearfix]
1. 개요
신라의 인물. 묘호는 태조(太祖)이며 편의상 추존왕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추존되었다는 기록도 없어서 추존왕인지도 불분명하다. 서사에는 단순히 태조라고만 딱 한번 등장한다.2. 누구인가?
《 삼국사기》나 《 삼국유사》와 같은 현존하는 역사서에는 신라의 '태조'에 해당하는 인물이 구체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삼국사기 신문왕대 5묘(신라판 종묘) 관련 기사에서 신라 태조대왕(太祖大王)이 잠깐 언급될 뿐이다.대신을 보내 조상묘에 제사를 올렸다. 제문에 아뢰었다.
“왕 아무개는 머리를 조아리고 재배(再拜)하며 삼가 태조대왕(太祖大王)ㆍ 진지대왕(眞智大王)ㆍ 문흥대왕(文興大王)ㆍ 태종대왕(太宗大王)ㆍ 문무대왕(文武大王) 영전에 아룁니다. 저는 재주와 덕이 없이 숭고한 유업을 이었기에, 자나 깨나 걱정하고 애쓰느라 편안하게 지낼 겨를이 없었습니다.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7년(687) 4월
“왕 아무개는 머리를 조아리고 재배(再拜)하며 삼가 태조대왕(太祖大王)ㆍ 진지대왕(眞智大王)ㆍ 문흥대왕(文興大王)ㆍ 태종대왕(太宗大王)ㆍ 문무대왕(文武大王) 영전에 아룁니다. 저는 재주와 덕이 없이 숭고한 유업을 이었기에, 자나 깨나 걱정하고 애쓰느라 편안하게 지낼 겨를이 없었습니다.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7년(687) 4월
성한왕은 오직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6], 『 문무왕릉비』, 『 흥덕왕릉비편』, 『 김인문[7]묘비』, 『진철대사탑비문(眞澈大師塔碑文)』, 『진공대사탑비문(眞空大師塔碑文)』 등 비석에서만 등장하는 정체불명의 인물이다.[8] 금석문에 따르면 문무왕은 그의 15세손이며 흥덕왕은 24대손이라고 한다. 이런 내용들을 보면 적어도 당대 신라인들이 태조라고 여기는 어떤 국왕이 있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현존하는 사서는 모두 신라가 멸망한 뒤 고려시대 이후에 옛 기록을 모아서 편찬된 것이라 그 과정에서 성한왕이 누락되었을 가능성은 있다. 건국 초 신라( 사로국)는 한문같은 문자 체계가 제대로 들어와 있지 않았을 확률이 높고, 묘호 같은 중국발 제도도 없었으므로, 성한왕이라는 왕이 살았고 죽었던 직후 시대부터 태조로 불렸다기보다는 먼 훗날인 신라 중기 이후에 추존된 묘호일 가능성이 크나, 정확히 어떤 인물이 태조인지는 논란이 있다.
2.1. 추정
보통은 삼국사기 등에 적힌 김씨 왕조 시조인 김알지나 김알지의 아들 김세한(혹은 열한)[9]으로 보는 시각이 많은 편이다. 일단 김알지(金閼智)는 성한왕(星漢王)의 다른 표기라는 주장이 있다. 성(星)="쇠"=김(金), 한(漢)=크다=알(閼), 그리고 왕(王)과 지(智)는 공통적으로 존칭접사를 뜻하기 때문. 그러나 문무왕릉비편에 나오는 문무왕의 15대조가 경주 김씨 족보 기준[10] 김알지의 아들인 김세한으로 나오는데다 성한과 세한이 뭔가 어감도 유사해서 김세한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김세한 관련 주장은 성한(星漢)과 세한(勢漢)의 고대 신라어 발음이 비슷하였을 것이라는 가설에 근거한 것이나 현재로는 당시의 정확한 발음이 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미궁 속이다. 굳이 이 가설로 추측해 보면 문무왕릉비에 기록된 성한왕 설화가 김알지의 설화와 유사[11][12]하기 때문에 1대손인 김세한이 실제 경주김씨 왕가의 시조이고, 김알지는 김씨의 권위를 위해 신화를 덧붙인 전설적인 인물로 후대에 추숭되어 김세한 앞에 배치되었을 가능성은 있다. 이때 후술된 김'일제'가 김'알지'라는 이름의 어원적 배경이 되었을 가능성도 있을지 모른다.
일각에선 김알지의 6세손이자 김씨로는 최초로 신라 왕위에 오른 미추를 성한왕으로 보기도 하며, 다소 의외의 인물인 수로왕과 동일인물로 비정하는 이들도 있다. 문무왕의 어머니 문명왕후는 금관가야계 김해 김씨로 김유신의 여동생이며, 실제로 문무왕 본인도 왕에 오른 뒤 외가의 시조 수로왕릉의 정비를 신경 쓴 기록이 있다. 문무왕이 수로왕을 자신의 15대 조상으로 언급했고, 김인문은 문무왕의 형제이기 때문.
『문무대왕비문』에 등장하는 성한왕. |
秺侯祭天之胤, 傳七葉以▨▨焉. 十五代祖星漢王 降質圓穹 誕靈仙岳 肇臨▨▨ 以對玉欄 始蔭祥林 如觀石紐 坐金輿而.
투후(秺侯)는 제천(祭天)의 후손으로 7대를 전하여 ▨▨하였다. 15대조 성한왕은 그 바탕이 하늘에서 내리고 그 영(靈)이 선악(仙岳)에서 나와 ▨▨을 개창하여 옥란(玉欄)을 대하니, 비로소 조상의 복이 상서로운 수풀[祥林]처럼 많아 석뉴(石紐)[13]를 보고 금가마[金輿]에 앉은 것 같았다.
{{{#!wiki style="text-align:right"
『
문무왕릉비』
해석문 중}}}투후(秺侯)는 제천(祭天)의 후손으로 7대를 전하여 ▨▨하였다. 15대조 성한왕은 그 바탕이 하늘에서 내리고 그 영(靈)이 선악(仙岳)에서 나와 ▨▨을 개창하여 옥란(玉欄)을 대하니, 비로소 조상의 복이 상서로운 수풀[祥林]처럼 많아 석뉴(石紐)[13]를 보고 금가마[金輿]에 앉은 것 같았다.
{{{#!wiki style="text-align:right"
태조(太祖) 한왕(漢王)은 천년의 ▨을 열고, ▨성(▨聖)은 백곡(百谷)의 ▨에 임하셨다.
{{{#!wiki style="text-align:right"
『
김인문묘비』}}}{{{#!wiki style="text-align:right"
한편, 신라 당대에 세워진 금석문에서는 신라 김씨의 시조라고 주장되는 또 한 인물 김일제(金日磾)[14]와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이에 근거해 2008년 KBS1에서 방송된 역사추적에선 김일제가 신라의 알려지지 않은 진짜 시조이며, 흉노가 신라 왕실의 근본이 될지 모른다는 다소 성급한 주장을 펼치기도 했으나 현재 학계에선 부정하는 기류가 강하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흉노족 신라왕족설 참조.
성한왕은 삼국사기 및 문무왕릉비에 등장하는 김세한이며, 김씨 족단의 선조이자 충주 금릉동에 있었던 마한 거수국의 건국 시조라고 추정하는 시각도 있다. 충주 금릉동에 있었던 마한 거수국은 우연찮게도 백제가 위례성에 자리잡은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와 비슷한 3세기 중반에 건국되었는데, 다만 고구려 유민과 토돈분구묘인들이 지배층이었던 3세기 중반 한성백제와는 달리 충주 금릉동에서 개국한 이 마한 거수국은 목지국[15], 사로국[16]과 마찬가지로 낙랑 혹은 대방에서 내려온 서북한 고조선인들이 주류였던 것으로 보인다.
충주 금릉동에 있던 이 마한 거수국은 4세기 초중반경 충청도 동부의 다른 마한 거수국들과 함께 백제에게 약 20~30년 동안 저항하다가 멸망하고 마는데, 4세기 초중반경 충주 금릉동 마한 거수국의 지배 집단 중 일부(=훗날의 김씨 족단)가 그전부터 관계가 밀접했던 진한 사로국으로 망명하여 삼성 족단 체제를 이뤘을 가능성이 있다.[17][18]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
||||||||||||||||||||||||||
선도성모 | 은열왕 | 문열왕 | 감문왕 | 문의왕 | 장무왕 | 장렬왕 | ||||||||||||||||||||
|
||||||||||||||||||||||||||
朴1 시조 혁거세왕 |
알영 | |||||||||||||||||||||||||
|
||||||||||||||||||||||||||
|
|
|||||||||||||||||||||||||
朴2 남해왕 |
운제 | 청평군 | 박민 | 세조 알지왕 | 사요왕 | |||||||||||||||||||||
|
|
|||||||||||||||||||||||||
|
|
|
||||||||||||||||||||||||
朴3 유리왕 |
아효 |
昔4 시조 탈해왕 |
지소례왕 | 일지왕 | 태조 성한왕 | 사요왕의 딸 | ||||||||||||||||||||
|
|
|||||||||||||||||||||||||
|
|
|
||||||||||||||||||||||||
朴7 일성왕 |
朴5 파사왕 |
석구추 | 김아도 | 허루왕 | ||||||||||||||||||||||
|
|
|
|
|||||||||||||||||||||||
朴8 아달라왕 |
朴6 지마왕 |
昔9 벌휴왕 |
김수류 | 마제왕 | ||||||||||||||||||||||
|
|
|
||||||||||||||||||||||||
|
|
|
||||||||||||||||||||||||
아도왕 | 세신왕 | 이칠왕 | 김욱보 | |||||||||||||||||||||||
|
|
|
||||||||||||||||||||||||
|
|
|
|
|||||||||||||||||||||||
昔11 조분왕 |
昔12 첨해왕 |
昔10 내해왕 |
술례부인 | 구도왕 | ||||||||||||||||||||||
|
|
|
|
|
|
|||||||||||||||||||||
|
|
|
|
|||||||||||||||||||||||
|
|
|
|
|
||||||||||||||||||||||
昔14 유례왕 |
석걸숙 | 내음왕 | 석우로 | 광명부인 |
金13 미추왕 |
김말구 | ||||||||||||||||||||
|
|
|
||||||||||||||||||||||||
|
|
|
||||||||||||||||||||||||
昔15 기림왕 |
昔16 흘해왕 |
金17 내물왕 |
김대서지 | |||||||||||||||||||||||
|
|
|||||||||||||||||||||||||
|
|
|
|
|||||||||||||||||||||||
金19 눌지왕 |
파호왕 |
|
김미사흔 |
金18 실성왕 |
||||||||||||||||||||||
|
|
|
|
|||||||||||||||||||||||
金20 자비왕 |
습보왕 |
|
김내숙 | |||||||||||||||||||||||
|
|
|
|
|||||||||||||||||||||||
|
|
|
|
|||||||||||||||||||||||
金21 소지왕 |
金22 지증왕 |
|
선혜부인 | 김물력 | ||||||||||||||||||||||
|
|
|
||||||||||||||||||||||||
|
|
|
|
|||||||||||||||||||||||
聖23 법흥왕 |
입종왕 |
|
김거칠부 | |||||||||||||||||||||||
|
|
|||||||||||||||||||||||||
|
|
|||||||||||||||||||||||||
聖24 진흥왕 |
김숙흘종 |
|
||||||||||||||||||||||||
|
|
|
||||||||||||||||||||||||
|
|
|
||||||||||||||||||||||||
복승왕 | 동륜왕 | 만천왕 |
聖25 진지왕 |
|
김만명 | |||||||||||||||||||||
|
장인
|
|
|
|||||||||||||||||||||||
|
|
|
|
|
|
|
||||||||||||||||||||
마야부인 김행의 |
聖26 진평왕 |
진정왕 | 진안왕 | 문흥왕 | 김마차 |
|
||||||||||||||||||||
|
||||||||||||||||||||||||||
|
|
|
|
|
||||||||||||||||||||||
|
|
|
|
|
|
|
||||||||||||||||||||
聖27 선덕왕 |
김천명 | 비담 |
聖28 진덕왕 |
김알천 |
眞29 태종 무열왕 |
현성왕 | 흥무왕 | |||||||||||||||||||
|
|
|||||||||||||||||||||||||
|
|
|
||||||||||||||||||||||||
眞30 문무왕 |
김인문 | 무열왕의 딸 | 신영왕 | |||||||||||||||||||||||
|
|
|
||||||||||||||||||||||||
眞31 신문왕 |
|
흥평왕 | ||||||||||||||||||||||||
|
|
|
||||||||||||||||||||||||
|
|
|
||||||||||||||||||||||||
眞32 효소왕 |
眞33 성덕왕 |
|
명덕왕 | |||||||||||||||||||||||
|
|
|
||||||||||||||||||||||||
|
|
|
|
|
||||||||||||||||||||||
개성왕 | 김사소 | 효상태자 |
眞34 효성왕 |
眞35 경덕왕 |
김주원 |
眞38 열조 원성왕 |
||||||||||||||||||||
|
|
|
|
|||||||||||||||||||||||
|
|
|
|
|
||||||||||||||||||||||
眞37 선덕왕 |
眞36 혜공왕 |
김헌창 | 혜충왕 | 헌평태자 | 혜강왕 | |||||||||||||||||||||
|
|
|||||||||||||||||||||||||
|
|
|
|
|||||||||||||||||||||||
眞39 소성왕 |
眞41 헌덕왕 |
眞42 흥덕왕 |
선강왕 | 익성왕 | 성덕왕 | |||||||||||||||||||||
|
|
|
|
|
|
|||||||||||||||||||||
|
|
|
|
|
|
|||||||||||||||||||||
眞40 애장왕 |
헌덕왕태자 | ? |
眞44 민애왕 |
眞43 희강왕 |
眞45 신무왕 |
眞47 헌안왕 |
||||||||||||||||||||
|
|
|
|
|||||||||||||||||||||||
|
의공왕 |
眞46 문성왕 |
궁예(?) | |||||||||||||||||||||||
|
|
|
||||||||||||||||||||||||
|
|
|
|
|||||||||||||||||||||||
성무왕 | ─ | ? |
眞48 경문왕 |
혜성왕 | 문성왕태자 | 문성왕의 딸 | ||||||||||||||||||||
|
|
|
||||||||||||||||||||||||
|
|
|
|
|||||||||||||||||||||||
선성왕 | 흥렴왕 | 박정화 |
眞49 헌강왕 |
眞50 정강왕 |
眞51 진성왕 |
의흥왕 | ||||||||||||||||||||
|
양부
|
|
|
|||||||||||||||||||||||
|
|
|
|
|
||||||||||||||||||||||
朴53 신덕왕 |
김의성 | 김계아 |
眞52 효공왕 |
김억렴 | 신흥왕 | |||||||||||||||||||||
|
|
|||||||||||||||||||||||||
|
|
|||||||||||||||||||||||||
朴54 경명왕 |
朴55 경애왕 |
眞56 경순왕 |
||||||||||||||||||||||||
|
|
|||||||||||||||||||||||||
|
|
|||||||||||||||||||||||||
박언창 | 박언침 | 마의태자 | ||||||||||||||||||||||||
{{{#!wiki style="margin:-5px -10px" | [왕조 보기] | |||||||||||||||||||||||||
[朴] 밀양 박씨 왕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
[昔] 경주 석씨 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 |||||||||||||||||||||||||
[범례] | ||||||||||||||||||||||||||
세로선(│) : 부자, 사위관계 /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혼인관계: 붉은 두줄#= | }}} | }}}}}}}}}}}} |
[1]
아버지로 추정되는 김알지의 생년을 토대로 역산.
[2]
석탈해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에 대해선 후술
[3]
김씨의 시조라는 내용에서
김알지의 아들인 세한(勢漢) 혹은 열한(熱漢)으로 보기도 한다. 김씨로써는 처음으로 왕위에 오른
미추왕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4]
열(熱)은 세(勢)의 오기로 추정.
[5]
단 시조대왕은
미추 이사금의 추존 묘호로 태조 성한과 별개라고 보기도 한다.
[6]
다만 마운령비는 태조의 이름이 나오진 않고 신라에 태조라는 묘호로 불리는 왕(혹은 추존왕)이 있었다는 것 자체만 단편적으로 나온다.
[7]
문무왕의 동생.
[8]
사실 진철대사탑비와 진공대사탑비는
경순왕이 936년
왕건에게 나라를 바친 뒤인 937년, 939년 건립됐지만 거의 멸망 직후의 일이라 신라인의 정체성으로 작성된 문장이나 다름없다고 보아 포함된다. 939년이면 고려왕 왕건이 아직 살아있어서
태조라는 묘호를 받기도 전이다.
[9]
삼국사기에서는 세한(勢漢),
삼국유사에서는 열한(熱漢)으로 나온다.
[10]
혹은 삼국사기 기준이라는 말도 있는데 확인이 필요한 부분.
[11]
성한왕 설화에 따르면, 경주 선악산에 내려온 성한왕이 옥으로 된 우리(가축을 가두는 장소)에 있는 것을 보았는데 상서로운 수풀에 앉은 채 석뉴를 보고 금가마에 앉아 있는 것 같다고 적혀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김알지는 난생설화에 비교적 가깝고 성한왕은 천손강림설화에 가깝지만, 김알지 설화는 토템이 말이 아니라
닭이고, 태어난 곳이 알이 아니라 금궤짝인 것을 빼면
박혁거세 탄생 설화와 완전히 똑같아서 훗날 박혁거세 설화와 성한왕 설화가 부분적으로 섞여서 김알지 설화가 만들어진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12]
김알지 설화는 항목에 좀 더 길게 있지만 요약하면 이렇게 적혀있다. "신라의 박씨, 석씨는 모두 알에서 태어났고 김씨는 금궤(金樻)에 들어가 하늘에서 내려왔다거나 혹은 금수레를 탔다고도 한다. 이는 너무 괴이해서 믿을 수 없으나, 세속에서는 서로 전하며 이것이 사실이라고 한다.(新羅朴氏·昔氏皆自卵生 金氏從天入金樻而降 或云乗金車 此尤詭怪 不可信 然世俗相傳 爲之實事)" - 『
삼국사기』 신라본기
경순왕.
[13]
하나라의
우왕이 태어난 곳이나 이 비석에서 사용된 의미는 불명.
[14]
흉노 왕족 출신
한나라 관료. 한무제의 눈에 띄어 중용되면서 이름을 날리게 된다. 무제에게 투현 지방을 하사받아 투후(秺侯)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상기된 문무왕릉비의 투후(秺侯)가 김일제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15]
목지국은 1세기 후반~2세기 초반에 낙랑에서 내려온 서북한 고조선인들이 그 일대 송국리 문화 유형인들에게 확고한 우위를 관철하면서 건국한 것으로 추정된다.
[16]
고고학적으로는 2세기 초중반 경 낙랑에서 내려온 서북한인들이 그때까지 서로 대등하게 병립하던 세 고조선 유민 집단을 규합하면서 2세기 후반경부터는 그들 모두의 위에 서는 확고한 위계 체제를 확립한 것으로 나타난다. 고고학자들은 더 이상의 발언을 삼가지만 이 낙랑인 집단은 현재로서는 박씨 족단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17]
이 경우 김세한의 아버지 김알지는 어떤 존재인가가 의문시될 수 있는데, 김씨 족단이 애초에 서북한 낙랑-대방 일대에서 다른 집안들과 함께 내려올 때는 김알지가 김씨 족단의 족장이었으나, 아들 김세한처럼 충주 금릉동 마한 거수국의 거수까지는 되지 못한 건국 전 집단지도체제의 일원 정도였다고 추정해볼 수도 있다. 즉, 고려의
왕륭, 조선의
이자춘처럼 중요한 가문 선조긴 하지만 '
태조'는 되지 못한 것이다. 또한 김씨 족단이 박씨 왕가의 사위로서 왕위를 이은 석씨의 선조
석탈해의 양자로 계보를 삽입할 인물로서는 박씨 족단이나 석씨 족단의 다른 인물들과 나이나 상대적 계보로 견줘봤을 때 김세한보다는 김알지가 더 적합했을 개연성도 추정해볼 수 있다.
[18]
이 경우에는 한기부 김씨 문제 때문일 수도 있다. 한기부 김씨가 사서에 처음 등장한 시기는 적게 잡아도 유리-탈해 세대인데,(김알지 신화에서 탈해의 양자로 거두어졌다는 것도 유리-탈해 시절 한기부 김씨가 이주했다고도 볼 수 있다. 한기부 김씨는 늦게 잡아도 유리의 아들 파사의 장인 허루 갈문왕의 대부터 등장한다) 기년을 인하하면 3세기 초반이며 6세기 초까지 한기부 김씨는 4세기부터 신라 왕(6부 대표)의 주류로 떠오르는 구도-미추-내물에서 이어지는 구도계 김씨와 상당히 상이한 계보로 추정된다. 한기부 김씨의 세대를 고려하면 한기부 김씨는 태조 성한왕의 대가 아니라 성한왕의 아버지인 알지의 대에서 갈라져서 태조 성한왕은 충주 금릉동으로 건너가 마한 거수국을 세웠고, 한쪽은 경주로 이주해 사로국의 6부 중 하나인 한기부를 세웠을 수도 있다. 진평왕의 정실 마야부인 김씨의 아버지가 계보 불명인 복승 갈문왕임을 고려하면 6세기 후반까지 한기부 김씨가 별개로 존재했다 가정할 수도 있으므로, 6세기 신라가 사서를 정립하면서 구도계 김씨와 한기부 김씨의 계보를 합치기 위해서는 태조 성한왕보다 앞선 알지의 세대까지 통합할 수밖에 없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