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22:35:02

범공

신라의 왕자
[[틀:신라의 왕자/태종 무열왕 ~ 경순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영왕(김의관)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흥평왕(김위문)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정교부인의 남편 · 심지
김능유 · 김의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비 · 태자
왕자 : 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왕녀 :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이름이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인물만 기재
※ 『 화랑세기』 에만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
}}}}}}}}}


<colbgcolor=#7C2A8D><colcolor=#fbe673>
경순왕의 왕자
범공 | 梵空
출생 918년 이후(추정)[1]
신라 금성
사망 연대 미상
해인사[2]
재위기간 신라의 왕자
? ~ 936년 1월[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C2A8D><colcolor=#fbe673> 본관 ?
?
부모 부왕: 경순왕
모후: 죽방부인
형제 형: 마의태자
누이: 덕주공주[4]
법명 범공(梵空)
골품 진골(眞骨) }}}}}}}}}

1. 개요2. 생애3. 문헌상 기록4. 평가5. 기타6.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통일신라의 제56대 경순왕의 막내아들[5] 신라 말기의 왕족이자 고려 초기의 승려이다. [6]

2. 생애

太子哭泣辭王, 徑徃皆骨山麻衣草食以終其身.
태자는 왕에게 울면서 하직하고, 바로 개골산으로 들어가서 삼베 옷을 입고 풀을 먹다가 생애를 마쳤다.
季子祝髮隷華嚴為浮圖名梵空, 後住法水海印寺云.
막내 아들은 머리를 깎고 화엄종에 들어가 승려가 되어 이름을 범공이라 했는데, 그 뒤로 법수사와 해인사에 머물렀다고 한다.
《삼국유사》 제2기이 김부대왕 中, 마의태자와 범공에 대한 언급

경순왕의 막내아들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첫 기록은 고려 말기인 1281년에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935년 음력 11월 신라 고려에게 항복한 뒤, 형인 태자와 함께 경순왕에게 하직 인사한 후 바로 개골산으로 들어갔다. 이후 태자는 삼베옷을 입고 살다가 세상을 떠나고, 막내아들도 머리를 깎고 화엄종에 들어가 승려가 되어 법명을 범공(梵空)이라 했는데, 이후 법수사(法水寺)[7], 해인사[8]에 기거하였다고 한다.[9]
사서에 이름이 전하지 않는 왕자가 있었는데, 그도 왕에게 항복하지 말 것을 극력 간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으매 처자를 버리고 형 태자와 함께 개골산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동국여지승람》 범공에 대한 언급
신라가 망하자 경순왕의 막내아들 김덕지가 중이 되어 법수사에 들어가 이곳 해인사에도 드나들면서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해인사지》 범공에 대한 언급

3. 문헌상 기록


4. 평가

5. 기타

6. 관련문서




[1] 족보상 경순왕은 897년생이고 마의태자는 917년생이다. 삼국사절요에 의하면 부모의 혼인시점이 897년이므로 대략 맞아 떨어진다. 그렇다면 계자인 범공은 마의태자 출생 후 1년이 지난 918년 이후에 출생했을 것이다. [2] 증보문헌비고에서는 처자를 버리고 해인사에 들어가 살다 죽었다고 한다. [3] 음력 935년 12월. [4] 德周公主. [5] 신라가 고려에 합병될 당시 경순왕의 막내아들이다. 경순왕은 고려에 귀순한 후 고려 태조의 장녀 낙랑공주 왕씨 및 아홉번째 딸인 부인왕씨와 혼인하여 자녀를 더 갖게 된다. [6] 출가 이전 왕족 시기의 이름은 사서에 전하지 않는다. 형 태자의 이름도 사서에 전하지 않는다. 마의태자라는 호칭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 동아일보 연재 소설에서 비롯된 것이다. [7] 경상북도 성주군 가야산에 있었던 사찰. 현재 절은 남아있지 않고 석탑만 남아 있는데, 임진왜란 전후로 불에 타 폐찰된 것으로 추정된다. [8] 경상남도 합천군에 위치한 사찰. 팔만대장경이 이곳에 보관된 것으로 유명하다. [9] 이후의 행적은 불명. [10] 석성현감. 호는 고암. [11] 울산 김씨에서는 김덕지를 범공과 동일인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