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5:52:25

김병시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선 총리대신
(1894~1895)
조선 내각총리대신
(1895~1896)
초대

김홍집
초대

김홍집
제2대

박정양
제3대

김홍집
제4대

김병시
제5대

윤용선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조선 의정
(1896~1897)
제6대

김병시
제7대

심순택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의정
(1897~1905)
제7대

심순택
제8대

김병시
제9대

심순택
제10대

윤용선
제11대

조병세
제12대

윤용선
제13대

심순택
제14대

윤용선
제15대

심순택
제16대

윤용선
제17대

이근명
제18대

윤용선
제19대

이근명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의정대신
(1905~1907)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1907~1910)
제20대

민영규
제21대

조병호
제22대

이완용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제22대

이완용
}}}}}}}}}}}}
김병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14대

심환지
제215대

이시수
제216대

이병모
제217대

서매수
제218대

이병모
제219대

김재찬
제220대

서용보
제221대

한용구
제222대

김재찬
제223대

남공철
제224대

이상황
제225대

심상규
제226대

이상황
제227대

조인영
제228대

권돈인
제229대

정원용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9대

정원용
제230대

조인영
제231대

권돈인
제232대

김흥근
제233대

김좌근
제234대

정원용
제235대

김좌근
제236대

정원용
제237대

김좌근
}}}
제237대

김좌근
제238대

조두순
제239대

이경재
제240대

김병학
제241대

정원용
제242대

김병학
제243대

홍순목
제244대

이유원
제245대

이최응
제246대

서당보
제247대

홍순목
제248대

김병국
제249대

심순택
제250대

김병시
제251대

김홍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이경일
제311대

한용구
제312대

서용보
제313대

이시수
제314대

김재찬
제315대

한용구
제316대

김재찬
제317대

김사목
제318대

남공철
제319·320대

이상황
제321대

이존수
제322·323·324대

이상황
제325대

심상규
제326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6대

홍석주
제327대

박종훈
제328대

김홍근
제329대

정원용
제330대

권돈인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1·332대

김도희
제333대

박종훈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김홍근
제336대

이헌구
제337대

조두순
제338대

박회수
제339대

조두순
제340대

이유원
제341대

김병학
제342대

강로
제343대

이최응
제344·345대

김병국
제346대

송근수
제347대

김병국
제348대

김홍집
제349대

김병시
제350대

김홍집
제351대

김병시
제352대

김홍집
제353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5·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김병시
제377대

김유연
제378대

조병세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수구파
守舊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종
(1873 ~ 1882)
사대당 (친청파)
김병시 김보현 남정철 명성황후 민겸호
민승호 민영소 민영익 민영휘 민태호
송병준 이완용 조병세 조병식 흥인군
고종
(1882 ~ 1897)
사대당 (친청파)
김병시 김성근 남정철 명성황후 민병석
민영소 민영익 민영휘 민종묵 박제순
송병준 조병세 조병식 조영하 홍종우
대한제국
(1897 ~ 1910)
친청파 (사대당) 친러파
남정철 민영소 김병시 민병석 이근택
조병세 홍종우 이범진 이용익 조병식
일제강점기 조선
(1910 ~ 1945)
친일반민족행위자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조선 제4대 내각총리대신 / 제6대 의정
<colbgcolor=#29176e><colcolor=#ffde09>
출생 1832년
사망 1898년 (향년 66세)
시호 충문(忠文)
본관 신 안동 김씨
성초(聖初)
용암(蓉庵)
부모 부친 - 김응근(金應根, 1793 ~ 1863)
부인 홍종서의 딸
자녀 장남 - 김용규(金容圭, 1864 ~ ?)
장녀 - 서상윤의 처
차남(서자) - 김택규(金宅圭)
3남(서자) - 김복규(金宓圭)

1. 개요2. 생애3. 평가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선 대한제국 문관 관료로 개화에 철저하게 반대하던 보수파의 거두이면서도 서양 여러 국가와의 조약에 참여한 고종 시기의 대표적인 관료이다.

2. 생애

안동 김씨 세도 정치가의 일문으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김명순은 김조순과 6촌 사이였으며, 그의 아버지 김응근은 판서까지 올랐다.

1855년(철종 6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고, 1860년 홍문관 교리, 1863년에는 이조참의가 되었다. 1863년 흥선대원군의 집권으로 안동 김씨 세도정치도 끝났으니 그의 정치 인생도 거기서 끝날 것으로 보였으나 오히려 승승장구했다. 1870년 공충도(충청도) 관찰사, 1874년 도승지, 1875년 형조판서·예조판서·우참찬, 1876년 도총관·병조판서, 1878년 총융사·어영대장·지삼군부사·이조판서, 1879년 규장각 제학·호조판서, 1881년 공조판서·관상감 제조 등을 역임하며 개화기 중요 문무 관직에 오르는 모습을 보여줬다.

1882년 임오군란 당시 봉기군에게 붙들려 살해당할 위험에 처했으나 평소 구식군인들에게 자기 월급까지 내줘가면서 급여를 챙겨준 덕에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 후 호조판서에서 물러났으나, 흥선대원군이 납치된 이후에 다시 올랐으며, 1882년에는 독판군국사무가 되었다. 1883년 청에 다녀온 직후에는 양향당상·선혜청 제조·예조판서·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고, 1884년 갑신정변 때는 친청파의 거두가 되어서 개화파를 몰아내는데 일조했다. 이후 성립된 내각에서 갑신정변 때 살해되었던 민영목을 대신해 독판교섭통상사무가 되어서 이탈리아, 영국, 러시아와의 조약 체결을 담당하였다.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을 빌미로 하여 일어난[1] 청일전쟁이 발생하기 전 6월 20일 영의정에 올랐으나 바로 다음 날 일본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김홍집 내각을 설립하자 4일만에 물러났다. 이후 설치된 군국기무처에서 시강원사와 중추원 의장 자리를 맡았다.

1895년 단발령이 시행되자 이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을미의병에 대해서는 관리를 마구 살해하는것이 어찌 의병이겠는가 하며 부정적인 의견을 표했다. 1896년 아관파천 직후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면서 내각총리대신에 임명되었다. 1898년 사망하였다.

3. 평가

여러모로 흥미로운 인물이다. 비록 안동 김씨 세도가의 일문으로 정치를 시작했지만 이후에는 거의 본인의 힘으로 관직을 올렸다. 특히 보수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개화기 때 꾸준히 중요 관직을 역임했다는 점은 그의 능력이 상당히 출중했다는 것을 반증하기도 한다.

보수적인 입장에 서있었기 때문에 김옥균, 박영효 등의 급진개화파나 김홍집, 어윤중 등의 온건개화파와도 언제나 대립하는 입장이긴 했지만, 본인의 맡은 임무는 충실히 수행하는 편이었다. 특히 1884년 갑신정변으로 죽은 민영목을 대신해서 이탈리아, 영국, 러시아와의 통상조약을 체결한 것은 특기해 볼만한 사안이다. 즉 보수적이긴 했지만 완전 수구적인 입장에 있던 것은 아닌 것이다.

여담으로 김홍집과는 여러모로 악연이다. 그가 생애 처음으로 영의정에 올랐으나, 곧바로 일본의 경복궁 점령이 일어났고 그로 인해 물러나고 말았다. 그 직후에 임명된 영의정이 바로 김홍집이다. 또한 을미사변과 단발령으로 일어난 을미의병으로 인한 혼란상에서 아관파천이 일어나서 김홍집이 살해당하고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자 곧바로 총리대신으로 임명된 사람이 바로 김병시다. 즉 김홍집이 조선의 최고 직책에 올랐을 때 최고 직책에 있던 사람이 김병시이며, 그가 무너졌을 때 역시 최고 직책에 오른 사람이 김병시가 되는 것이다.

4. 둘러보기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부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副議長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병시
제2대

정범조
제3대

김홍집
제4대

어윤중
제5대

박정양
제6대

정범조
제7대

민영휘
제8대

이호준
제9대

박정양
제10대

한규설
제11대

이종건
제12대

이하영
제13대

조병식
제14대

정낙용
제15대

임상준
제16대

신기선
제17대

김가진
제18대

조병세
권한대행

김가진
제19대

민영소
제20대

박정양
제21대

심상훈
제22대

민종묵
제23대

이근택
제24대

한규설
제25대

서정순
제26대

김윤식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좌의장
우의장
조병세 정범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부의장
초대

김영수
제2대

어윤중
제3대

신기선
제4대

윤치호
제5대

이하영
제6대

윤치호
제7대

홍종억
제8대

서정순
제9대

김가진
제10대

이유인
제11대

이용태
제12대

이도재
제13대

이종건
제14대

이근호
제15대

이건하
제16대

김가진
제17대

이근호
제18대

이종건
제19대

이근상
제20대

이재곤
제21대

성기운
제22대

신기선
제23대

이근상
}}}}}}}}}}}}

[1] 김병시는 동학농민운동 당시 톈진 조약에 의거하여 일본군이 청군과 같이 진입할 빌미를 줄 수 있음을 정확히 예측하고 청군에 파병을 요청하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했지만 묵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