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중추원 의장·부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副議長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김병시 |
제2대 정범조 |
제3대 김홍집 |
제4대 어윤중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정범조 |
제7대 민영휘 |
제8대 이호준 |
제9대 박정양 |
제10대 한규설 |
|||
제11대 이종건 |
제12대 이하영 |
제13대 조병식 |
제14대 정낙용 |
제15대 임상준 |
|||
제16대 신기선 |
제17대 김가진 |
제18대 조병세 |
권한대행 김가진 |
제19대 민영소 |
|||
제20대 박정양 |
제21대 심상훈 |
제22대 민종묵 |
제23대 이근택 |
제24대 한규설 |
|||
제25대 서정순 |
제26대 김윤식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좌의장
|
우의장
|
|||
조병세 | 정범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부의장
|
||||
초대 김영수 |
제2대 어윤중 |
제3대 신기선 |
제4대 윤치호 |
제5대 이하영 |
|||
제6대 윤치호 |
제7대 홍종억 |
제8대 서정순 |
제9대 김가진 |
제10대 이유인 |
|||
제11대 이용태 |
제12대 이도재 |
제13대 이종건 |
제14대 이근호 |
제15대 이건하 |
|||
제16대 김가진 |
제17대 이근호 |
제18대 이종건 |
제19대 이근상 |
제20대 이재곤 |
|||
제21대 성기운 |
제22대 신기선 |
제23대 이근상 |
}}}}}}}}}}}} |
이종건 관련 틀 | ||||||||||||||||||||||||||||||||||||||||||||||||||||||||||||||||||||||||||||||||||||||||||||||||||||||||||||||||||||||||||||||||||||||||||
|
조선귀족 남작 | |
<colbgcolor=#0b0b3b><colcolor=#ffde09>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이종건 李鍾健 |
|
자 | <colbgcolor=#fff>치행(致行) |
본관 | 전주 이씨[1] |
출생 | 1843년 ( 헌종 9) |
사망 | 1930년 (향년 87세) |
직업 | 관료, 군인, 정치가 |
학력 | 무과 급제 |
작위 | 조선귀족 남작[2] |
가족 관계 |
친부 : 이규정(李圭正) 양부 : 이규철(李圭徹)[3] 아들 : 이풍한(李豐漢) |
경력 |
군부대신 농상공부대신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조선귀족 남작 |
[clearfix]
1. 개요
구한 말의 관료이자 군인으로 군부대신, 농상공부대신, 중추원 의장 등을 역임했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치행(致行).조선 제2대 정종의 15번째 아들인 무림군의 13대손이다.
2. 생애
1843년(헌종 9) 대대로 무관을 지낸 가문에서 아버지 이규정(李圭正)과 어머니 영산 신씨 신▣구(辛▣龜)의 딸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나 호군(護軍:정4품)과 금위대장(禁衛大將:종2품)을 지낸 이규철(李圭徹)에 입양되었다.이후 별군직(別軍職)을 지내다가 17세 되던 1859년( 철종 10) 증광시 무과에 병과 75위로 급제한 뒤 대한제국 시기 군부대신, 경기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정치적으로는 수구파에 가까웠고 한규설과 친했다고 알려져 있다.
경술국치 이후 조선귀족 남작 작위를 받았으나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난 직후 작위 반납 의사를 밝혔고 은사금도 모두 반납했다. 일제는 작위 반납 의사를 거절하였고, 사망 후에는 아들 이풍한이 습작하였다. 본인은 작위 반납 의사를 밝혔다는 점에서 친일인명사전 수록에서 제외되었으나, 습작한 아들은 수록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