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8:18:56

고질라 마이너스 원

파일:Godzilla_Japanese_logo.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쇼와 / 昭和 고지라 고지라의 역습 킹콩 대 고지라
모스라 대 고지라 삼대 괴수 지구 최대의 결전 괴수대전쟁
고지라·에비라·모스라: 남해의 대결투 괴수섬의 결전: 고지라의 아들 괴수총진격
고지라 • 미니라 • 가바라: 올괴수대진격 고질라 대 헤도라 지구공격명령: 고지라 대 가이강
고지라 대 메가로 고지라 대 메카고지라 메카고질라의 역습
헤이세이 / 平成 고지라 고지라 vs 비오란테 고지라 vs 킹 기도라
고지라 vs 모스라 고지라 vs 메카고지라 고지라 vs 스페이스고지라
고지라 vs 데스토로이아
트라이스타 고질라
밀레니엄 고질라 2000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작전 고지라·모스라·킹 기도라: 대괴수 총공격
고지라 X 메카고지라 고지라 X 모스라 X 메카고지라: 도쿄 SOS 고질라 - 파이널 워즈
몬스터버스 고질라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고질라 VS. 콩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레이와 / 令和 신 고질라
고질라 마이너스 원
GODZILLA 고질라 고질라: 결전기동증식도시 고질라: 행성포식자
}}}}}}}}} ||

고질라 마이너스 원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시각효과상
제95회
( 2023년)
제96회
( 2024년)
제97회
( 2025년)
아바타: 물의 길 고질라 마이너스 원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
파일:japan-academy-prize.png
최우수 작품상
제46회
( 2023년)
제47회
( 2024년)
제48회
( 2025년)
한 남자 고질라 마이너스 원

블루리본상 작품상
제65회
( 2022년)
제66회
( 2023년)
제67회
( 2024년)
한 남자 고질라 마이너스 원

역대 성운상 수상작
파일:seiunprize.jpg
미디어 부문
제54회
(2023년)
제55회
(2024년)
제56회
(2025년)
신 울트라맨 고질라 마이너스 원 -

역대 브램 스토커상 시상식
파일:브램 스토커상 로고.jpg
각본 부문
제36회
(2022년)
제37회
(2023년)
제38회
(2024년)
스콧 데릭슨, C. 로버트 카길
블랙폰
야마자키 타카시
《고질라 마이너스 원》
-
더퍼 형제
기묘한 이야기: 그들의 클럽》

}}} ||
고질라 마이너스 원 (2023)
ゴジラ[ruby(-, ruby=マイナス)][ruby(1.0, ruby=ワン)]
GODZILLA MINUS ONE
파일:마이너스 원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마원 북미 포스터.webp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장르 SF, 괴수물, 재난
감독 야마자키 타카시
각본
특수효과
원작 혼다 이시로 고지라
제작 이치카와 미나미
야마다 켄지
출연 카미키 류노스케, 하마베 미나미, 야마다 유키, 아오키 무네타카, 요시오카 히데타카, 안도 사쿠라, 사사키 쿠라노스케
촬영 시바사키 코조
편집 미야지마 류지
음악 사토 나오키
미술 조조 안리
의상 미즈시마 아이코
제작사 도호 | ROBOT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미국 국기.svg 도호 인터내셔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넷플릭스 코리아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11월 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1월 12일 (마이너스 컬러판)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3월 11일 (아이맥스 재상영)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12월 1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1월 26일 (마이너스 컬러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6월 1일 (넷플릭스)
스트리밍 넷플릭스 | 아마존 프라임
촬영 기간 2022년 3월 ~ 2022년 6월 22일
화면비 2.39:1
상영 타입 2D | IMAX | 4DX | Dolby Cinema | ScreenX | MX4D
상영 길이 125분 (2시간 5분)
제작비 1000만 달러 미만
월드 박스오피스 $115,857,413 출처
일본 박스오피스 75억 엔 ($48,207,737)
북미 박스오피스 $56,418,793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륜 G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예고편3. 고지라-1.0 / C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등장괴수7. 등장병기8. 설정9. 줄거리10. 사운드트랙11. 평가12. 수상 이력13. 흥행
13.1. 일본13.2. 북미 ( 미국· 캐나다)13.3. 기타 국가
13.3.1. 국내 개봉에 관한 이야기
14. 기타

[clearfix]

1. 개요

[ruby(전후, ruby=戦後)], 일본.
[ruby(무, ruby=제로)]에서 [ruby(음, ruby=마이너스)]으로.
生きて、抗え。
살아서, 저항하라.
2023년 11월 3일에 개봉한 고지라 시리즈의 제 30번째 실사 영화. 고지라 탄생 공식 70주년 기념작으로,[1] 야마자키 타카시(山崎 貴)가 감독을 맡았다.

제 47회 일본 아카데미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였으며,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비영어권 영화로서는 사상 최초로 시각효과상을 수상하였다.

2024년 6월 1일, 넷플릭스 배급을 통해 국내에도 정식 수입되었다.

==# 개봉 전 정보 #==
==# 포스터 #==
파일:고지라-1.0 티저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
파일:미원 아이맥스 포스터.jpg
아이맥스 포스터
파일:마원 북미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파일:마원 아이팩스 포스터 2.jpg
아이맥스 포스터 2
파일:마원 아이맥스 포스터 북미.jpg
북미 아이맥스 포스터
파일:마원 4dx 포스터.jpg
4DX 포스터
파일:마원 돌비시네마 포스터.jpg
Dolby Cinema 포스터
파일:마원 흑백 포스터.jpg
마이너스 컬러 포스터
파일:마이너스 컬러 북미.jpg
북미 마이너스 컬러 포스터
파일:마원 오스타 포스터 1.jpg
오스카 포 유어 컨시더레이션 포스터
파일:마원 오스카 포스터 2.jpg
오스카 축하 포스터

2. 예고편

공식 예고편
공식 예고편 2
파이널 예고편
넷플릭스 예고편
===# 기타 영상 #===
고지라 신작
특보
공식 예고편 티저
특보 2
완성 보고 회견
저것이 고지라 편
대고지라 편
월드 프리미어 레드카펫 이벤트
살아서, 저항하라 편
첫날 무대 인사
도호 시네마즈 극장 예고 카운트다운
No.1 대히트
독점 영화 클립 - 보트 공격
한 줄 희망 편
북미 프리미어 다이제스트
세계가 칭찬
등장인물 스페셜 영상
각국으로부터 코멘트 도착
독점 영화 클립 - 긴자 공격
파이팅 고지라
VFX 메이킹
개선 확대 상영
코멘터리 상영
절찬 스트리밍 중

3. 고지라-1.0 / C

고지라-1.0 / C

고지라-1.0 / C (마이너스 컬러)

2024년 1월 12일부터 상영되는 고지라-1.0의 모노크롬(흑백) 버전 상영판. 야마자키 타카시 감독에 따르면 단순히 영상을 흑백처리한 것이 아니라 상당한 시간을 들여서 색감을 재조정했다고 한다. 개봉 후 반응은 배경이 1940년대인 만큼 흑백 색감이 상당히 어울리며[4], 컬러판보다 고지라가 더 무섭게 보인다는 평가.

4. 시놉시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일본. 방사능으로 강화된 거대 괴수가 일본 해안을 침공해 온다. 이에 맞서 괴수를 저지하려는 민간인들 속에 트라우마를 겪는 전직 전투기 조종사가 합류한다.

5. 등장인물

파일:마이너스 원 등장인물.jpg

6. 등장괴수

파일:마이고지 이미지.jpg

7. 등장병기

8. 설정

9.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질라 마이너스 원/줄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사운드트랙

ゴジラ-1.0 Godzilla Minus On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고마원 사운드트랙 일본어 표지.jpg
발매일: 2023.11.04.
<rowcolor=#373a3c> 트랙 제목 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 Godzilla-1.0 Fear 사토 나오키 3:4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2 Godzilla-1.0 Portent 3: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Godzilla-1.0 Confusion 5:3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4 Godzilla-1.0 Godzilla Suite I 3:4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5 Godzilla-1.0 Divine 2: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6 Godzilla-1.0 Elegy 2:3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7 Godzilla-1.0 Mission 3:2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8 Godzilla-1.0 Hope 0:5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9 Godzilla-1.0 Honor 1:5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Godzilla-1.0 Pride 2:4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Godzilla-1.0 Pain 5:0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12 Godzilla-1.0 Resolution 5:0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13 Godzilla-1.0 Godzilla Suite II 4:4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14 Godzilla-1.0 Unscathed 2:1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15 Godzilla-1.0 Last 2:3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16 Godzilla-1.0 Pray 4:1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17 Godzilla-1.0 Godzilla Suite III 1:4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전체 듣기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11.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23289160, IMDb_user=7.9, ## IMDb_highlight=, ## IMDb_date=,
로튼토마토=godzilla_minus_one, 로튼토마토_tomato=98, 로튼토마토_popcorn=98,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godzilla-minus-one, 메타크리틱_critic=80, 메타크리틱_user=8.3,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godzilla-minus-one, 레터박스_user=4.2,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318060, 알로시네_presse=4.2, 알로시네_spectateurs=4.3,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MYmoviesit=2023/godzilla-minus-one, MYmoviesit_MYMOVIES=4.00, MYmoviesit_CRITICA=3.38, MYmoviesit_PUBBLICO=3.00,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야후재팬=388773, 야후재팬_user=4.3, ## 야후재팬_highlight=display,
Filmarks=106496, Filmarks_user=4.0,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914398, 도우반_user=7.2,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Wyawjk, 왓챠_user=3.5, ## 왓챠_highlight=display,
시네마스코어=A,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TMDB=940721-1-0, TMDB_user=84,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godzilla-minus-one, 무비파일럿_user=7.8,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godzilla-minus-one-movie-review-2023, RogerEbertcom_user=3,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JustWatch=gojira-1-0, JustWatch_user=95, ## JustWatch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godzilla-minus-one, 엠파이어_user=4,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godzilla-minus-one-review-1234931289,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CG와 연출 실력은 뛰어나지만 각본가로서는 성과가 좋지 않아 스페이스 배틀쉽 야마토, 영원의 제로, 드래곤 퀘스트: 유어 스토리 같은 문제작들을 다수 만들었던 야마자키 타카시 감독이라 현지에서는 많은 우려가 있었는데, 개봉 후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호평일색이다. 일본 고지라 팬덤 사이에서는 대체로 시리즈 전체에서도 손에 꼽을 걸작 고지라 영화가 나왔다고 평가하고 있다. 고지라가 등장하는 파트의 분량 자체는 많지 않지만 등장하는 장면마다 존재감을 뿜어내며 스크린을 장악하는 모습은 이견 없이 호평이고, 시작부터 이어지는 암울한 전개 역시도 호평받는 부분 중 하나이다.[21] 그럼에도 그 절망과 교차하는 희망, 죽지 말고 살아가라는 주제의식은 많은 관객들의 공감과 감동을 유발했다. CG 퀄리티는 전작들과 비교하면 놀라울 정도로 향상됐는데, 특히 수중전의 퀄리티가 훌륭하다는 평이 많다. 또한 많은 괴수 영화들이 괴수에 집중하다가 인간 드라마를 그리는 것에 실패하거나 비중 분배에 실패해 둘 다 모호해지는 것에 반해, 이 영화는 인간 드라마가 모난 곳이 거의 없이 매끄럽게 스토리 전체를 이끌어나간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이렇듯 호평받는 기승전과는 달리 결말부는 전형적인 신파극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비록 불길한 암시가 여럿 있기에 완전한 해피엔딩은 아니지만 마치 갑작스러운 해피엔딩처럼 받아들일 수 있기에 호불호가 갈린다.

영화 클로버필드에서 몬스터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많은것을 배웠다고 한다. 클로버필드를 보면서 배운 교훈

신 고질라의 감독 안노 히데아키는 "좋은 작품이다. 이 작품 덕에 고지라의 역사는 계속 이어질 것." 이라고 호평했다. 다만 신 고지라로 완벽에 가까운 군사고증을 선보인 안노답게 "멋진 연출을 위해 군사적인 고증 같은 건 좀 무시한 것 같다. 하지만 그런 것도 괴수물의 매력이니 어디가 문제인지 지적하진 않겠다." 라고 덧붙혔다.

고지라·모스라·킹 기도라: 대괴수 총공격의 카네코 슈스케 감독은 영화 관람 전에 도호 관계자들로부터 미리 마이너스 원은 대괴수 총공격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는 말을 들었는데, 영화 관람 후 어느 부분이 그런 것인지 알았다고 간단하게 감상평을 남겼다.

코지마 히데오는 시작은 마이너스지만, 초입부부터 끝까지 모든 요소들이 플러스로 가득하다며 '고지라+120점'이라는 평가를 남겼다. #

몬스터버스의 감독들도 관람 후 극찬을 남겼다. 고질라(2014) 가렛 에드워즈 더 크리에이터의 홍보 겸 일본을 방문해 관람한 후 야마자키 감독을 만나 나도 고지라를 이렇게 만들었어야 했다며 질투했다고 하며 #[22],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의 마이클 도허티는 미국 프리미어에서 관람한 후 야마자키한테 달려가 꼭 후속작을 만들어 킹 기도라를 나오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23] 고질라 VS. 콩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의 애덤 윈가드도 환상적이며, 내가 본 고지라 영화 중 최고급이라 평가했다. #

제 48회 호치영화상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

북미 지역에서의 평가도 좋은 편이다. 버라이어티지는 당신이 괴수 영화에서 보기 원하는 모든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 IGN은 관객들이 모두 일어나 박수칠 영화라고 평했다. # 디스커싱필름(DiscussingFilm)은 도호가 강렬한 인간 앙상블과 숨막히는 액션으로 완벽한 고지라 영화를 만들어냈다고 평가하며 입이 떡 벌어지는 걸작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 포브스는 2023년의 가장 위대한 영화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 BBC는 마이너스 원의 흥행 성공과 마블, DC 등 시네마틱 유니버스로 대표되는 최근 미국 블록버스터의 흥행 부진을 대비하며 관객들은 엔터테인먼트를 원하지, 영화를 보고 가기 전에 공부를 하고 가야 하는, 숙제를 원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

제96회 미국 아카데미상 시각효과상 1차 후보로 선정되었다. # 아카데미상의 전초전이라고도 불리는 크리틱스 초이스에서는 제 29회 외국어 영화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

제 96회 아카데미상 시각효과상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 고지라 시리즈는 물론이고 일본 영화 사상 최초의 기록이다.

2024년 2월 13일 96회 아카데미상 후보들이 모인 자리에서 #, 스티븐 스필버그는 이번 영화를 3번 보았으며, 캐릭터가 좋다고 평가했다. 야마자키 타카시 감독이 답례로 스필버그에게 고지라의 피규어를 선물했다. #

2024년 3월 8일 47회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한 8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그리고 마침내, 2024년 3월 14일 제96회 아카데미상 시각효과상을 수상하였다. # 이로써 본작은 비영어권 영화 중 최초의 시각효과 부문 수상작이자, 피터 잭슨 킹콩(2005)에 이어 두번째로 아카데미에 입상한 괴수물 영화가 되었다. 또한 해당 영화의 감독이 아카데미 시각효과상의 직접 수상 대상자가 되는 것은 1969년 제 41회 아카데미 시상식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스탠리 큐브릭 감독 이래 55년만의 일이다.

마찬가지로 2023년 영화 오펜하이머로 원자폭탄이라는 소재를 다룬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또한 마이너스 원을 보고 대단한 영화라고 평가했다. 고지라가 스토리의 중심이지만 캐릭터들에 깊이가 있고, 역사감이 훌륭하다는 것이다. 야마자키 감독 또한 오펜하이머를 감상하고 충격적이었다고 평가하며 일본쪽에서 이것에 화답하는 영화를 찍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

2024년 제 55회 성운상 미디어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6월 5일 수상이 확정되었고, 7월 6일에 시상된다. #

12. 수상 이력

<rowcolor=green,lightgreen> 시상식 부문
제 48회 호치영화상 감독상
제 36회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 시각효과상
제 27회 라스베가스 비평가 협회상 시각효과상, 호러/SF영화상
제 28회 샌디에이고 비평가 협회상 시각효과상
제 28회 플로리다 비평가 협회상 시각효과상
노스캐롤라이나 비평가 협회상 시각효과상
제 13회 조지아 비평가 협회상 국제 영화상
제 22회 유타 비평가 협회상 시각효과상
제 23회 시애틀 비평가 협회상 국제 영화상, 시각효과상, 최고의 악역상
제 19회 오스틴 비평가 협회상 국제 영화상
덴버 비평가 협회상 SF/호러 영화상, 비영어 작품상
하와이 비평가 협회상 SF 영화상
포틀랜드 비평가 협회상 SF 영화상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미술상
제 66회 블루리본상 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조연상
제 29회 뤼미에르 최우수국제영화상 #
제 43회 후지모토상 후지모토상 #
2024 국제 영화 비평가 협회상 시각효과상 #, 호러/SCI-FI 영화상 #
2023 온라인 필름 & 텔레비전 협회상 시각효과상 #
제 47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각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 최우수 촬영상,
최우수 조명상, 최우수 미술상,
최우수 녹음상, 최우수 편집상
제 17회 아시아 필름 어워즈 시각효과상, 음향상 #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시각효과상
VFX 재팬 어워드 2024 극장 개봉 실사 영화 부문 최우수상 #
제 4회 크리틱스 초이스 슈퍼 시상식 SF/판타지 영화 대상 #, 최고의 악역상 #
2023 브램 스토커상 각본상 #
제 55회 성운상 미디어 부문 #


13. 흥행

<rowcolor=#000,#fff>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2023년 11월 3일 $106,280,401 2024년 2월 4일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북미
2023년 12월 1일 $56,418,793 2024년 2월 1일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일본|]][[틀:국기|]][[틀:국기|]]
2023년 11월 3일 $38,630,725 2024년 2월 4일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2023년 11월 30일 $225,061 2023년 12월 17일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2023년 11월 30일 $152,542 2023년 12월 10일

[[호주|]][[틀:국기|]][[틀:국기|]]
2023년 12월 1일 $1,334,305 2024년 1월 28일

[[독일|]][[틀:국기|]][[틀:국기|]]
2023년 12월 1일 $204,195 2023년 12월 3일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2023년 12월 1일 $122,150 2024년 1월 14일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2023년 12월 1일 $217,482 2024년 1월 28일

[[영국|]][[틀:국기|]][[틀:국기|]]
2023년 12월 15일 $2,977,806 2024년 1월 7일

[[스페인|]][[틀:국기|]][[틀:국기|]]
2023년 12월 15일 $227,853 2024년 1월 7일

[[포르투갈|]][[틀:국기|]][[틀:국기|]]
2023년 12월 28일 $221,300 2024년 1월 28일

[[멕시코|]][[틀:국기|]][[틀:국기|]]
2023년 12월 29일 $5,548,189 2024년 1월 28일

일본 영화 미국 영화 시장 및 캐나다 영화 시장 흥행 수입이 일본 영화 시장 흥행 수입보다 많은 몇 안 되는 영화다.

13.1. 일본

<rowcolor=#fff>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3년 44주차 2023년 45주차 2023년 46주차
미스터리라 하지 말지어다 고지라-1.0 고지라-1.0
2023년 45주차 2023년 46주차 2023년 47주차
고지라-1.0 고지라-1.0 고지라-1.0
2023년 46주차 2023년 47주차 2023년 48주차
고지라-1.0 고지라-1.0 날아라 사이타마 비와호로부터 사랑을 담아
흥행통신 박스오피스 모조 KOBIS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3년 45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하자마자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으며, 첫 3일간 관객수 64만명, 수익 10억 4100만엔을 기록하였다. 개봉 7일만에 수익 15억엔을 돌파했다.
[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2023년 46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주차부터는 더 마블스가 개봉했으나, 여전히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고 있고 수익은 21억엔을 돌파하였다.
[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023년 47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3주차에도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개봉 20일째에 수익 30억엔을 돌파했다.
[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2023년 48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4주차에는 2019년에 크게 흥행했던 날아라 사이타마의 2편과 목(영화)이 연달아 개봉하면서 박스오피스 2위로 내려왔다.
[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2023년 49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5주차에도 박스오피스 2위를 유지하였다.
[  개봉 6주차 순위  ]
파일:2023년 50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6주차에 박스오피스 5위로 하락하였고, 수익 41.5억엔을 돌파하였다.
[  개봉 7주차 순위  ]
파일:2023년 5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7주차에 박스오피스 5위를 유지하였고, 수익 45억엔을 돌파하였다.

개봉 63일차에 누적수익 50억엔을 돌파하였다.

개봉 86일차에 누적수익 55억엔을 돌파하였다.

개봉 94일차에 누적수익 57.3억엔을 돌파하여 2023년에 개봉한 일본의 실사 영화 중에서 전체 흥행 1위를 달성했다.
[  개봉 15주차 순위  ]
파일:2024년 6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5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10위로 내려 앉았다.

개봉 122일차(2024년 3월 3일)에 누적수익 60억엔을 돌파했다.

현재는 아카데미 수상한 2024년 3월 11일 이후 갑작스레 다시 역주행하여 박스오피스 2위까지 도로 오르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  개봉 20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0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4위로 상승하였다.
[  개봉 21주차 순위  ]
파일:2024년도 1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1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5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22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2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7위로 내려 앉았다.

2024년 4월 7일, 개봉 157일차, 누적 수익이 73억엔을 돌파하여 역대 일본 박스오피스 순위 TOP 100위 안에 입성했다.
[  개봉 23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4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3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7위에 그쳤다.

2024년 4월 13일, 골든 위크 기간까지도 상영이 이어진다는 것이 발표됐다. 4월 26일에는 일본에서도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가 개봉하는데, 시리즈 역사상 최초로 최신 고지라 영화 두 편이 동시에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것이다. 이 기간 동안 마이너스 원 관람객에게는 극장 한정 특전 스티커를 제공한다.
[  개봉 24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5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4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8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25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6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5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9위로 내려 앉았다.


2024년 5월 9일, 개봉 185일차로 일본 대부분의 극장에서 상영이 종료되었고 소수의 영화관에서만 상영을 이어간다. 누적 수익은 75.94억엔, 관객 수는 504만명 가량.

기존 고지라 시리즈의 흥행 추이를 생각하면 대단한 흥행 기록이고,[24] 일본 실사영화 내에서도 순위권에 들만한[25] 흥행을 한 작품이지만, 일본 내에서 가히 사회 현상 수준의 대흥행을 기록했던 전작 신 고지라에 비하면 다소 흥행성적이 떨어진 편이다. 종합적으로 2023년 일본 극장 흥행순위 4위, 실사영화 한정 1위의 기록이다.[26]

그러나, 여전히 쇼와 초기 이래 고지라 시리즈가 최고의 전성기를 보내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한 것만큼은 놀라운 기록이다. 신 고지라와 마찬가지로 60여 년 만에 전국적 인기를 보여주고 있는 샘이다.

13.2. 북미 ( 미국· 캐나다)

역대 북미 개봉 비영어 영화 흥행 수입 TOP 10
순위 영화 개봉년도 국가 수익(달러)
1위 와호장룡 2000 대만, 홍콩, 중국, 미국 $128,078,872
2위 인생은 아름다워 1998 이탈리아 $57,563,264
3위 고질라 마이너스 원 2023 일본 $56,418,793
4위 영웅 : 천하의 시작 2004 중국 $53,710,019
5위 기생충 2019 대한민국 $53,369,745
6위 사랑해, 매기 2013 멕시코 $44,467,206
7위 판의 미로 2006 멕시코 $37,634,615
8위 아멜리에 2001 프랑스 $33,225,499
9위 무인 곽원갑 2006 홍콩 $24,633,730
10위 일 포스티노 1995 이탈리아 $21,848,932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2024년 2월 1일부로 미국에서의 모든 상영이 종료되었다. 최종 예상 수익은 5,642만 달러이다. 역대 일본 실사영화 사상 북미 시장 최대의 흥행을 기록했다. 당초에는 12월 1일부터 1주일 제한 상영만 하고 상영종료될 예정이었으나, 관객들의 호평과 예상 밖의 흥행으로 9주 넘게 연장 상영된 것이다. 야마자키 감독과 키시다 프로듀서가 북미팬들에게 직접 감사 트윗을 남겼다.

위 틀에 나오듯, 역대 북미 개봉 비영어권 작품 사상 3위의 흥행 기록을 남겼다. 비영어권 작품을 거의 보지 않는 미국에서 괄목할만한 대기록이며, 21세기로 한정하면 북미 개봉 비영어권 작품 사상 흥행 기록 1위다.

13.3. 기타 국가

13.3.1. 국내 개봉에 관한 이야기

현지 개봉 직후부터 일본 본토와 북미 시장을 가리지 않고 폭발적인 인기와 그에 따른 상당한 매출액을 올렸으나, 언제 한국에 개봉할지는 알 수 없었다.

이유를 추측해보자면 일단

물론 여기까진 그냥 이런 점들이 이유이지 않을까 추측할 뿐이고, 이에 관한 공식적인 정보는 없으며 한국 개봉 여부는 아직까지 알 수 없다. 신 고질라 등 다른 작품들처럼 반년 ~ 1년 가량의 시간이 걸려 마니아층을 겨냥해 소규모로 개봉할 수도 있고, 개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아카데미상 수상 이후, 국내 개봉 확률이 다소 높아졌다. 전통적으로 아카데미상 수상 장편 영화는 수상부문과 관계없이 아카데미 기획전 등의 방식으로 늦게라도 국내에 개봉하는 것이 관례이기 때문이다.

새롭게 부각된 원인으로는 2024년에 개봉하는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때문에 개봉하지 못한다는 가설이다. 도호 레전더리 픽쳐스 본가 시리즈의 영화와 몬스터버스의 영화를 서로 겹치지 않게 개봉하기로 협의를 맺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4년은 도호가 몬스터버스를 도와주어야 하는 순번이기 때문에, 이것이 원인이 맞다면 최소한 2024년 내에는 도호는 일본을 제외한 세계 그 어디에도 마이너스 원을 배급하지 못한다. 실제로 마이너스 원이 개봉하지 않은 건 한국 뿐만이 아니며, 중국, 인도, 동남아 등 모든 아시아 지역, 동유럽, 남미 지역에서도 개봉 계획이 없다. # 또한 북미 등 이미 개봉했던 지역도 고질라 X 콩의 상영 때문에 마이너스 원을 내린 상태이다.

그러나, 정말로 뜬금없이 아무런 예고를 거치지 않고 6월 1일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에서 공개되었다. 제목은 이전작들과 마찬가지로 "고질라"로 번역되었다. 북미쪽 넷플릭스에서 6월 1일 공개가 예정되어 있었는데, 넷플릭스측의 자체 심의와 번역을 거쳐 국내에도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관람등급은 15세로 책정되었으며, 상영본은 북미 개봉판을 베이스로 들어왔다.[37]

한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자막이 영문판을 베이스로 한 중역을 통해 제작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일본어 대사와 자막간의 상호 충돌이 자주는 아니어도 종종 있는 편이다.[38]

==# 오마주 #==

14. 기타




[1] 다만 실제 연도 상으로는 69주년이다. 고지라 시리즈는 헤이세이 시절 이래로 12월에 개봉하는 신년 대비용 영화였기 때문에 년도는 그 다음 해의 것을 사용하는 관습이 있었다. 때문에 마이너스 원을 70주년 기념작이라 해도 이상한 것은 아니다. 2024년에 개봉하는건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2] 로봇 사는 야마자키 감독과 여러 번 합을 맞춘 회사이다. [3] 고지라 시리즈에서 초대 고지라가 나온 1954년 이전은 암묵적으로 묘사하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이는 파격적인 도전이다. [4] 초대 고지라가 흑백 영화였던 만큼 그 오마주로 보인다. [5] 그의 대사들을 들어보면 일본정부는 정보 통제가 특기다, 또 함구령이래? 등 일본정부에 대한 반감이 강한 대사들이 있다. [6] 근데 이 치킨호크적인 성격이 나중에 복선으로 작용된게 나중에 해군과의 연줄이 있는것으로 밝혀져서 고지라 퇴치에 기여를 하였다. 정황상 아버지가 해군에 한자리 먹은 사람으로 추정. [7] 오오도섬 고지라 습격. 이후 고지라 상륙 저지 시도 장면에 다시 삽입된다. [8] 보트를 추격하는 고지라. [9] 긴자 습격. 모스라 대 고지라 테마의 리메이크이다. [10] 열선으로 타카오를 파괴하는 고지라. 이후에도 고지라와 관련된 장면에 자주 삼입된다. [11] 폐허가 된 도쿄. [12] 와다츠미 작전의 개요를 설명하는 노다. [13] 자원한 군인들에게 감사를 표하는 함장. [14] 영화 초반 타치바나와 스미코에게 비난받는 시키시마. 이후 상황이 불안하게 흘러갈 때마다 자주 재생된다. [15] 타치바나를 찾는 시키시마. 이후 신덴으로 고지라를 유인할 때 풀버전이 재생된다. [16] 와다츠미 작전. 킹콩 대 고지라의 멜로디를 차용한 이후쿠베 아키라의 SF교향판타지 제1번곡(1983)을 거의 그대로 사용했다. [17] 와다츠미 1차 작전 실패. [18] 예비작전에 도움을 주는 어선들. [19] 고지라의 죽음, 재회. [20] 크레딧. 일명 고지라의 테마로 널리 알려진 음악을 새롭게 수록. 이 또한 멜로디 구성 자체는 SF교향판타지 제1번곡에서 등장. [21] 과거 고질라(2014)가 예고편에서 내세운 아포칼립스풍 분위기를 작중에서는 잘 느낄 수 없어 많은 팬들이 아쉬워했었는데, 본작이 그 부분을 해소해주었다는 평도 종종 보인다. [22] 공교롭게도 크리에이터는 고지라와 함께 아카데미상 시각효과상 부문 최종후보에 함께 진출했으나 고지라의 수상으로 수상에 실패했다. [23] 여담으로 이 고지라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으로 볼 수 있는 고지라 더 라이드: 대괴수 정상 결전에서는 이 영화의 원조 디자인격의 고지라와 몬스터버스의 킹 기도라와 닮은 오리지널 킹 기도라와 싸운다. 야마자키 감독도 도허티 감독의 킹 기도라 이야기를 듣고 라이드를 꼭 보라고 전했다는 후일담은 덤. [24] 시리즈 관객수 역대 8위다. 전작 신 고지라를 제외하면 1965년 괴수대전쟁 이래 최고기록이다. [25] 근 10여년간 나온 일본 실사영화들중 흥행 TOP 3급이다. [26] 전체 극장 흥행순위 1위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실사영화 2위는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27] 하지만 작중 내내 카미카제 특공대에 대해 비판하는 논조를 보이고있다. 일단 주인공부터가 자살명령을 기체고장을 핑계로 거부했으며, 다른 등장인물들의 대사에서도 인명경시 사상이 만연했던 일제군부에 대한 비판을 들을 수 있다. [28] 애초에 진짜로 극우적 요소가 있었다면 당시 일제와 치열하게 싸웠던 미국에서 조차 개봉을 거부했을 것이다. [29] 예를 들어 실제로 미야자키 하야오 바람이 분다 제로센이 등장하는 것으로 인해 우익 영화라는 비판을 받은 적이 있다. 하지만 미야자키는 평소에 반전주의자로 유명하고 이를 작품에 많이 녹아낸다. [30] 애초에 고질라라는 작품의 탄생 배경이 2차대전 패배 후 핵무기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작중 민간인들이 힘들게 사는 이유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31] 영화 자체는 오히려 옥쇄나 특공 등을 벌이는 일본군에 대한 비판이나 반전 주의, 반 전체주의 등이 가미되어 있다고 반박의 여지가 있긴 한데, 하필이면 원작이 되는 소설의 작가가 전형적인 극우, 혐한이다. [32] 이는 어지간한 애니메이션 영화들보다 낮은 수준이다. 같은 감독의 에반게리온 신극장판은 대략 3~7만명씩 관객이 들었다. [33] 킹콩을 다룬 콩: 스컬 아일랜드의 경우 한국에선 듣보잡에 불과한 고지라와는 다르게 킹콩은 한국에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기에 160만 관객을 동원해 나름 흥행하긴 했다. 고질라 VS. 콩의 경우 코로나 시기의 개봉이라 애매모호하다. [34] 신 고지라도 원래 1주일만 상영하고 내리려다가 1일 1회라는 극악의 스케줄에도 불과하고 150만 불을 넘자 잠깐 연장상영 했었다. [35] 특이한 캐릭터 때문인지 의외로 나름 인지도가 높다. 일본 트위터에서 원피스 실사 드라마의 징베 배역을 마동석이 맡으면 어울릴 거 같다는 트위터가 6천 이상의 좋아요를 받거나, 그냥 마동석에 대한 트윗이 수천에서 수만의 좋아요를 받기도 할 정도. [36] 여담이지만 본작인 고질라 마이너스 원에도 타치바나 소사쿠 역으로 분했다. [37] 일본 개봉판과의 차이점은 나레이션 자막이 영문으로 기재되어 있고, 마지막 타이틀 크레딧의 타이틀이 -1.0이 아닌 영문으로 "Minus One"으로 작성되어 있는 정도. 실제 영화 자체의 차이는 없다. [38] 작품의 첫 나레이션 자막이 원문으로는 ″1945년 오오도 섬, 2차 세계대전 마지막 날″로 종전 당일인 1945년 8월 15일임을 은유하는 반면, 영문 자막과 한국어 자막에서는 ″1945년 오도섬, 2차 세계대전 말기″로 다소 두루뭉실하게 표현되었다. 작중 후반부 ″고지라, 침묵했습니다!″ 대사를 ″고질라, 침몰했습니다!″로 번역하는등 사소한 오역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