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차량/현황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수도권 광역전철 전동차
/현황 보기 ( 한국철도공사 열차번호 · 기타 수도권 광역전철 열차번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섯 자릿수) |
||||||||||
}}}}}}}}} | |||||||||||
31x000호대 ( 상세 · 사건 사고) |
( |
3000호대 |
341000호대 ( 상세) |
||||||||
321000호대 | 331000호대 | 351000호대 | 361000호대 | ||||||||
371000호대 | 391000호대 | 1000호대 | 2000호대 | ||||||||
D000호대 | U100호대 | Y100호대 | 1000호대 | ||||||||
A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000호대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차번 미정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동차 (EMU/DMU/PP) | ||||||||||
🚄 고속열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집중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라](34개 편성 한정) |
한국철도공사 110000·120000·140000호대 전동차 주식회사 SR 130000호대 전동차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 전동차 |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욥 EMU-250 |
한국철도공사 160000호대 전동차 주식회사 SR EMU-32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용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HSR-350X운행 불가 | HEMU-430X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연구·개발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MU-370 | EMU-400 |
[[대한민국의 일반철도| 🚅 {{{#000000 간선형·준고속형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EMU-18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수도권 전철 |
한국철도공사 XXX000호대 전동차 (GTX-C)수도권 전철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EMU-15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EMU-150 | |||||||||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4차분수도권 전철 | 우크라이나 HRCS2 |
🚆 디젤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EC[퇴역] |
NDC[퇴역]- |
|||||||||
DHC-PP[퇴역] |
경복호[대우] | ||||||||||
한국철도공사 9500호대 디젤동차[퇴역] |
한국철도공사 9000호대 디젤동차[퇴역] |
||||||||||
수출차량 보기 |
🚇 통근형·근교형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한국철도공사(형태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9900호대 전동차(환승 불가능)[퇴역] |
1000호대 저항제어 2~8차분
(상세)[퇴역] |
|||||||||
1세대 납작이[대우] |
일산선 전용 1세대
(상세)[퇴역] |
||||||||||
2세대 동작이·동글이 | 3세대 뱀눈이·삼눈이 | 4세대 주둥이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서울교통공사(세대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00호대 저항제어 2~4차분[대우][현공] |
2000호대 직각형 저항제어·초퍼제어 1~8차분[퇴역] |
2000·3000·4000호대 광폭형 GEC 초퍼제어 1~5차분[퇴역] |
||||||||
1000·4000호대 VVVF 1세대 (상세)[대우][현공] |
5000·7000·8000호대 VVVF 1세대[현공][대우] |
||||||||||
6000·7000·8000호대 VVVF 2세대[현공][한진] | 2000·3000호대 VVVF 2세대 | ||||||||||
9000호대 3~4차분 | 5000호대 VVVF 3세대 | 2000·4000호대 VVVF 3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수도권 전철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항철도 1000호대(환승 불가능) | ||||||||||
공항철도 2000호대 1~3차분 | 메트로9호선 9000호대 1~2차분 |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대우], 2차분 | 네오트랜스 D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산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00호대 1세대(1~7차분) (상세)[한진][현공] | 1000호대 2세대(8~10차분) | |||||||||
2000호대 1차분[한진], 2차분 | 3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광역시 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한진]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 |||||||||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제작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 표준형 전동차 | AUT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출용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 SEPTA Silverliner V | 싱가포르 J151형 | 타이완 EMU600 | ||||||||
타이완 EMU900 |
홍콩 정관오선·뚱충선 미쓰비시 합작 EMU |
홍콩 동철선 EMU | |||||||||
그 외 수출 차량보기 |
🚊경전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제차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 |||||||||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 김포골드라인 1000호대 | ||||||||||
동북선 DL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자기부상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코비 (UTM-0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가선 저상 트램 | 수소전기 트램 보기 | 수출차량 보기 |
🚂 기관차 견인 (Locomotive/Passenger Cars/Generator Cars) | |||||||||||
⚙️ 기관차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디젤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기관차[라][퇴역] |
||||||||||
한국철도공사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라][현공] |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기관차[라] |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기관차[라] | BR(방글라데시 철도청) 디젤기관차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전기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기관차[라][대우] |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기관차[라][대우] | |||||||||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기관차[라](73량 한정) |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기관차 | ||||||||||
TCDD(터키 철도청) 전기기관차 |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전기기관차 |
💺 객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국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대우] |
무궁화호 격하 특실 [대우] | |||||||||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한진] |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대우][한진] | ||||||||||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 | 개조 새마을호 객차 (객차형 ITX-새마을)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해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 LA 메트로링크 2층 운전객차 | 그 외 수출차량 보기 |
⚡️ 발전차 (문서 이동) | |||||
[라]: 라이센스 제작 [퇴역]: 전량 퇴역 [현공]: 현대정공 제작 [대우]: 대우중공업 제작 [한진]: 한진중공업 제작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A000호대 전동차 GTX Line A A000 Series EMU |
}}} | |||
GTX A19호기 | |||||
차량 정보 | |||||
<colcolor=#9A6292> 열차 형식 | 광역급행철도 및 고속선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1]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8량 1편성 (TC1-M1-T'-M2-M2-T'-M1-TC2) |
||||
생산량 | 160량 (총 20편성)[2] | ||||
운행 노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
도입시기 | 2023 ~ 2024년 | ||||
제작사 | 현대로템 | ||||
소유기관 | SG레일[1차분] | ||||
국가철도공단[2차분] | |||||
운영기관 | 지티엑스에이운영(주) | ||||
편성번호 체계 | A01 ~ A20 | ||||
차량배속 | 운정차량사업소 | ||||
차량검수 | 중정비 | 운정차량사업소 | |||
경정비, 일상정비 | SRT 수서역 | ||||
주박 및 청소 | 동탄역 회차선 | ||||
2024년 1단계 구간 운행 기준의 내용이다.[5] 차량기지에 관한 내용은 노선 연장시 바뀔 예정이다.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9A6292> 전장 | TC | 20,670㎜ | ||
M, T | 19,500㎜ | ||||
전폭 | 3,050㎜(최대 3,150㎜) | ||||
전고 | 3,750㎜ | ||||
궤간 | 1,435㎜ | ||||
대차 | 공기스프링식 볼스터리스 대차[6] | ||||
재질 | 알루미늄 | ||||
급전방식 | 교류 25,000V 60Hz | ||||
운전보안장치 |
ATC(
TVM430-SEI)[7] ATP( ETCS/ERTMS Lv.1) |
||||
제어방식 | 도시바 VVVF- SiC[추정] | ||||
동력장치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9] | ||||
편성출력 | 6,240㎾(8,480마력) | ||||
MT비 | 4M 4T | ||||
최고속도 | 영업 | 180㎞/h | |||
설계 | 198㎞/h[10] | ||||
가속도 | 2.5(㎞/h)/s | ||||
감속도 | 상용 | 3.0(㎞/h)/s | |||
비상 | 4.0(㎞/h)/s | }}}}}}}}}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에서 운행중인 전동차로, 총 20개 편성이 도입되었으며. 현대로템에서 제작하였다.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의 수서-동탄간 구간은 주식회사 SR의 SRT와 고속선 선로를 공용하기 때문에 통근형 전동차중 유일하게 TVM을 사용한다.[11]
2. 편성
조성 내역은 다음과 같다.GTX-A노선 A000호대 전동차 조성 | |||
↑ 상행 ( 수서[2026년]· 운정중앙 방면) | |||
<rowcolor=#fff> 차량번호 | 차종 | 호차 | 비고 |
A0## | GTX-A TC1 | 1 |
[좌석형태] [선반x] [배려좌석] |
A1## | GTX-A M1 | 2 | |
A2## | GTX-A T' | 3 | |
A3## | GTX-A M2 | 4 | |
A4## | GTX-A M2 | 5 | |
A5## | GTX-A T' | 6 | |
A6## | GTX-A M1 | 7 | |
A7## | GTX-A TC2 | 8 | |
↓ 하행 ( 동탄· 서울[2026년] 방면) |
3. 특징
- 정차 직전까지 회생제동을 유지하는 영속도 회생제동 기술이 적용되었다.
- 출입문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같이 측면 3개의 출입문으로 구성되어 있다.[20][21] 열차 기밀환경을 유지하면서 승하차 시간도 줄이기 위해 1,300 ㎜ 폭의 단문형 출입문이 채택되었다. # #
- 출입문을 닫을 때의 안내방송을 자세히 들어보면 서울교통공사에서 쓰는 안내방송과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서 쓰는 안내방송[22]이 같이 나온다.
- 고무 바닥재 대신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친환경 항균 카펫이 채택되었다. #
- 한국 철도차량 최초로 그라데이션 도장이 적용되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셔틀 전동열차처럼 고속선을 경유한다.
- 타 수도권 전철과 달리 종이 재질의 단일 노선도와 전체 노선도가 설치되지 않았다. 이는 GTX와 타 전철의 차별성을 드러내는 것일 수도 있고, 공간이 부족한 것일수도 있으나 그냥 안 붙인 것일 수도 있다[25]. 다만 광고를 설치할 공간은 있다.
- 390㎾(530마력)급 대용량 견인전동기의 빠방한 출력이 받춰주어 가속 성능이 매우 준수하다.[26] 저속 영역은 타 전동차와 비슷하지만, 고속 영역의 가속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제로백은 40초 언저리, 0~120km/h까지 걸리는 시간은 무려 49초로 그 가속 좋기로 유명한 케이큐 1000형 전동차 12M0T 편성[27]과 맞먹는다. #
- 2026년도까지 분리운영함에 따라 운정-서울구간은 A02~A15편성이 운행할 예정이며 A01, A16~A20편성은 2024년 3월 30일부터 수서~동탄구간을 운행 중이다.
4. 공개 전 정보
<rowcolor=#fff> 목업 외부 | 목업 내부 |
4월 20일부터 5월 6일까지 GTX-A노선이 정차할 예정인 교통 거점 지역에서 열차 목업 품평회를 개최하였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4월 20일~22일까지는 동탄신도시 동탄여울공원에서, 4월 27일~29일까지는 수서역에서, 5월 4일~6일까지는 정발산역 인근 일산문화공원에서 전시를 했다.[28]
<rowcolor=#fff> 동탄신도시 동탄여울공원과 일산동구 일산문화공원에서 전시된 모습 |
차량은 전두부 1량이 전시되었고, 차내의 의자 색상, 천장 손잡이 모양, 기둥식 손잡이 모양은 A, B, C형으로 나누어 전시되었다. 전시기간 중에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A, B, C형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29]
계획상 2022년 9월에 초도편성이 반입될 예정이었으나 국토교통부 발표자료를 통해 2023년 1월로 연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2022년 11월 8일, 실차 모습이 유출되었다. #
5.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2차로 분류된다.<rowcolor=#fff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colbgcolor=#9A6292><colcolor=white> 1차분 |
VVVF SiC 도시바 |
2023~2024년 (15편성) |
2차분 | 2023~2024년 (5편성) |
5.1. 1차분 (2023~2024)
- 운정차량사업소 소속
- GTX-A(8량): A01~A15호기 (총 15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제어방식: VVVF- SiC( 도시바)[추정]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3석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운정중앙 ~ 삼성 구간 개통을 위해 SG레일이 발주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A01호기는 수서 ~ 동탄 구간에 차출되었다.
현재는 A01호기만 운행중이고 나머지는 2024년 12월 28일에 운행 개시할 예정이다.
12월 19일,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 박완수 경상남도지사, 홍남표 창원시장, 이동환 고양시장, 윤후덕 파주시 갑 국회의원, 홍정민 고양시 병 국회의원, 이용우 고양시 정 국회의원,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첫 차량의 출고식이 진행되었다. #1 #2 #3 |
|
오송역으로 반입된 차량은 인근의 오송차량기지와 연결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시험선로에서 시운전을 진행했고, 2023년 4월부터는 중부내륙선에서 시운전을 개시했다. |
시운전 영상 |
<rowcolor=#fff> 차호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colcolor=#9a6292> 01 | 2023년 8월 21일 | 2024년 4월 1일 | 진해선 신창원역 | 충북선 오송역 | 수서평택고속선 수서역 |
02 | 2023년 11월 15일 | 시운전 중 ( 2024년 12월 28일 운행 예정) | 경부선 의왕역 | 경의선 문산차량사업소 | |
03 | 2023년 7월 13일 | ||||
04 | 2023년 6월 8일 | ||||
05 | 2023년 6월 1일 | ||||
06 | 2023년 6월 15일 | ||||
07 | 2023년 6월 22일 | ||||
08 | 2023년 7월 6일 | ||||
09 | 2023년 10월 17일 | ||||
10 | 2023년 11월 28일 | ||||
11 | 2024년 1월 24일 | ||||
12 | 2024년 2월 13일 | ||||
13 | 2024년 2월 21일 | ||||
14 | 2024년 1월 17일 | ||||
15 | 2024년 2월 27일 |
문산차량사업소에 유치되어 있던 A02호기가 2024년 1월 2일부터 1월 4일까지 3일에 걸쳐 육로로 수송되었다. 이는 운정차량사업소에 최초 차량 반입이다. |
5.2. 2차분 (2023~2024)
- 운정차량사업소 소속
- GTX-A(8량): A16~A20호기 (총 5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제어방식: VVVF- SiC( 도시바)[추정]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3석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삼성 ~ 동탄 구간 개통을 위해 국가철도공단이 발주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세부적인 사항은 1차분과 동일하다.
운정역까지 선로가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 편성 동탄역 임시정비시설에 임시소속되었다.
<rowcolor=#fff> 차호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colcolor=#9a6292> 16 | 2023년 9월 26일 | 2024년 3월 30일 | 진해선 신창원역 | 경전선 진례역 | 중부내륙선 충주역 |
17 | 2023년 10월 25일 | ||||
18 | 2023년 12월 14일 | ||||
19 | 2024년 1월 9일 | ||||
20 | 2023년 11월 9일 |
6. 시운전
전동역~ 오송역 철도차량종합시험선로에서 시운전을 진행한 후 몇 개월을 중부내륙선에서 시운전을 했다. 그리고 개통 시기가 가까워지면서 영업운행을 할 수서평택고속선 구간으로 반입됐다.[32] 차량이 영업운행을 하는 곳에서만 시운전을 하지 않고 다양한 노선을 다니는 것은 이제는 익숙한 일이 되었다.[33]
[1]
과거 계획 당시에는 지정좌석제를 실시하는 크로스시트
근교형 전동차를 투입하는 것으로 홍보가 이루어졌으나, 실제로는 롱시트의 통근형으로 발주되었다.
[2]
120량 및 추가발주분 40량
출처
[1차분]
1차분 (A01~A15호기) 15편성 소유
[2차분]
2차분 (A16~A20호기) 5편성 소유
[5]
안전점검단 시승식을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6]
간선형이나 고속차량에 적용되는 링크암 대차 방식이다.
[7]
수서평택선은 통합연동형 SEI 방식이다.
[추정]
구동음을 기반으로 추정된 정보며 철도산업정보센터나 현대로템, 도시바에서 공식 발표된 정보가 아니다.
[9]
영속도 회생제동 포함.
[10]
ITX-청춘 368000호대 전동차 급
[11]
실제로 운행구간에 TVM 표지가 있다.
[2026년]
서울역~수서 구간은
2026년에 개통할 예정이다.
[좌석형태]
전 차량의 좌석이 롱시트 형태다. 쉽게 말해
선착순 좌석이다. 특이하게 GTX는 일반 지하철 차량과 달리 좌석분리대를 설치했다. 이를 통해 열차내
배려없는 민폐행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교통약자 배려석은 편의성을 고려해 좌석분리대가 없다.
[선반x]
일반석 위의
수하물
선반을 설치하지 않았다. 시승식의 차량소개에서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선반을 설치하지 않은 이유는
분실물 방지,
테러방지,
차량 경량화에 목적이 있었다고 한다. 다만, 교통약자 배려석 위에는 선반이 설치되었다.
[배려좌석]
도시광역전철 차량과 마찬가지로 일부 시트의 끝에 임산부 배려석, 그리고 차량의 가장자리 시트는 교통약자 배려석이 배치되어 있다.
교통약자 배려석은 절대 경로 전용좌석이 아니다. 임산부, 부상자, 휠체어 탑승 고객, 어린이 등 모든 교통약자의 착석이 가능하다. [2026년] [17] 누리로와 동해산타열차 차량인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도 마찬가지로 팬터그래프가 있는 곳이 무동력 칸이다. [18] 하지만 큰 문제는 없다. 동일 스펙 차량을 사용하는 ITX-청춘처럼 지정좌석제 열차가 아니기 때문에 큰 혼동은 없을 것이다. 이는 향후 건설될 운정차량사업소를 통해서 해결될 수 있다. [19] 국토교통부와 국가철도공단, SG레일에서 크로스레일을 참고하여 발주했기 때문에 영국철도 345형과도 닮은 부분이 있다. [20] 타 GTX 및 도시철도 노선들과 선로 및 승강장 공유를 하지 않는다. (수서-동탄 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의 선로를 같이 사용하나, 승강장을 따로 사용한다.) [21] GTX-B도 3도어로 개념도가 나왔다. C노선에 투입될 전동차는 기존선 공유구간이 많기 때문에 미정. [22] 특유의 땡, 땡, 땡 소리로 확인 가능하다. 이 안내방송은 문이 닫히기 전이 아닌, 닫히는 동안 나온다. 왜 같이 나오는지는 불명. [23] 7500호대 디젤기관차 7573~7576호 [24] 신분당선이나 우이신설선과 유사하다. 그리고 과거 KTX에도 고속주행 시 속도가 나온 적이 있다. [25] 제1편성의 홍보용 영상을 송출하는 LCD에서 전체 노선들을 영상 사이사이에 띄워주기는 한다. [26] 2호선이나 경의·중앙선같이 평범한 지하철들은 290마력이 채 안되는 모터를 달고다닌다. [27] 그냥 1000형도 아니고 12량 전 차량이 모터카로 구성된 괴물열차다. [28]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상으로는 '킨텍스 문화공원'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이다. 킨텍스 인근에는 문화공원이 없다. 지도와 주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일산문화공원으로 과거 '미관광장'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공원 또는 광장이다. [29] 이보다 이전인 2020년에는 대화역 지하 맞이방 등에 패널을 걸어놓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선호도 조사를 미리 진행하였다. [추정] [추정] [32] 중부내륙선은 (준)고속철도로서 높은 속도의 시운전이 가능한 노선이다. 또한 2023 ~ 2024년을 기준으로 KTX 운행이 왕복 4회 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한 시간대에 시운전했을 가능성이 크다. [33] 비슷한 예시로 KTX-이음의 호남고속선 시운전, KTX-청룡의 경강선 시운전, TEC 전동차(누리로)의 경춘선 시운전 이력이 있다.
교통약자 배려석은 절대 경로 전용좌석이 아니다. 임산부, 부상자, 휠체어 탑승 고객, 어린이 등 모든 교통약자의 착석이 가능하다. [2026년] [17] 누리로와 동해산타열차 차량인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도 마찬가지로 팬터그래프가 있는 곳이 무동력 칸이다. [18] 하지만 큰 문제는 없다. 동일 스펙 차량을 사용하는 ITX-청춘처럼 지정좌석제 열차가 아니기 때문에 큰 혼동은 없을 것이다. 이는 향후 건설될 운정차량사업소를 통해서 해결될 수 있다. [19] 국토교통부와 국가철도공단, SG레일에서 크로스레일을 참고하여 발주했기 때문에 영국철도 345형과도 닮은 부분이 있다. [20] 타 GTX 및 도시철도 노선들과 선로 및 승강장 공유를 하지 않는다. (수서-동탄 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의 선로를 같이 사용하나, 승강장을 따로 사용한다.) [21] GTX-B도 3도어로 개념도가 나왔다. C노선에 투입될 전동차는 기존선 공유구간이 많기 때문에 미정. [22] 특유의 땡, 땡, 땡 소리로 확인 가능하다. 이 안내방송은 문이 닫히기 전이 아닌, 닫히는 동안 나온다. 왜 같이 나오는지는 불명. [23] 7500호대 디젤기관차 7573~7576호 [24] 신분당선이나 우이신설선과 유사하다. 그리고 과거 KTX에도 고속주행 시 속도가 나온 적이 있다. [25] 제1편성의 홍보용 영상을 송출하는 LCD에서 전체 노선들을 영상 사이사이에 띄워주기는 한다. [26] 2호선이나 경의·중앙선같이 평범한 지하철들은 290마력이 채 안되는 모터를 달고다닌다. [27] 그냥 1000형도 아니고 12량 전 차량이 모터카로 구성된 괴물열차다. [28]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상으로는 '킨텍스 문화공원'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이다. 킨텍스 인근에는 문화공원이 없다. 지도와 주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일산문화공원으로 과거 '미관광장'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공원 또는 광장이다. [29] 이보다 이전인 2020년에는 대화역 지하 맞이방 등에 패널을 걸어놓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선호도 조사를 미리 진행하였다. [추정] [추정] [32] 중부내륙선은 (준)고속철도로서 높은 속도의 시운전이 가능한 노선이다. 또한 2023 ~ 2024년을 기준으로 KTX 운행이 왕복 4회 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한 시간대에 시운전했을 가능성이 크다. [33] 비슷한 예시로 KTX-이음의 호남고속선 시운전, KTX-청룡의 경강선 시운전, TEC 전동차(누리로)의 경춘선 시운전 이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