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5:57: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작곡가에 대한 내용은 Kari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엠블럼.svg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엠블럼 화이트.sv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8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41414><tablebgcolor=#fff,#141414>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학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순천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svg 충남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한서대학교 UI.svg 한서대학교
기관
파일:국방과학연구소 CI.svg 국방과학연구소 파일:대한항공 심볼.png 대한항공 파일:한화 로고 세로형.svg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파일:한국기계연구원 심볼.svg 한국기계연구원
파일: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볼.sv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세로.svg 한국항공우주산업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sv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파일:항공안전기술원 심볼.svg 항공안전기술원 }}}}}}}}}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 자전 주기) · 공전( 공전 주기) · 중력( 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 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 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 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 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 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 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 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 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colcolor=#fff> 한국항공우주연구원
韓國航空宇宙硏究院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svg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 화이트.svg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엠블럼.svg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엠블럼 화이트.svg
<rowcolor=#fff> CI 엠블럼[1]
<colbgcolor=#2a5caa> 창설 1989년 10월 10일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관부처 우주항공청
분류 정부출연연구기관[2]
기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선도기술 항공기 개발, 시험평가 및 종합연구
인공위성 연구개발·발사
위성이용 기술 개발
우주발사체 시스템 개발·발사
나로우주센터 운영
항공우주안전성 및 품질확보기술 개발
법적 품질인증 및 국가 간 상호 인증체제의 유지
국가 항공우주개발정책 수립지원
항공우주기술 정보의 유통 및 보급
}}}
본부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69-84 ( 어은동)
자회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팔라우 해외추적소[3]
원장 이상철
직원 수 910명
예산 6,150억 원,(2021),
색상 코드 Royal Blue(#2A5CAA)
Green Blue(#00A8A5)
Royal Gray(#D5CDAD)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설립 목적
3.1. 주요기능3.2. 성과
3.2.1. 항공3.2.2. 발사체3.2.3. 위성3.2.4. 융합기술 미래전략 및 기타
3.3. 발사체3.4. 위성
4. 논란
4.1. 연구원 처우 논란4.2. 연구원 수당 미지급 논란4.3. 조직개편 논란4.4. 우주항공청 신설 논란
5. 조직6. 이사장7. 원장 8. 노동조합 현황9. 여담10.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우주항공청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제19조(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설립)
① 우주항공청장은 항공우주과학기술의 연구개발을 위하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공우주연구원”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은 대한민국 항공우주 과학기술 연구를 담당하는 우주항공청 산하 법인이다. 보통 줄여서 항우연 또는 KARI(카리)로 부른다. 1989년 설립되었으며, 각종 연구소들이 모여있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해 있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에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 2024년 과기부의 외청으로 항공우주 관련 업무들을 총괄하는 부처인 우주항공청 창설이 확정되어, 공공기관에서 지정 해제되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에서 우주항공청 산하 법인으로 개편되었다. #

2. 연혁

파일:KARI 건물.jpg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본부 청사
1989.10 한국기계연구소 부설 항공우주연구소 설립
1990.12 항공우주연구소 기공
1992.09 산업자원부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에 의한 성능품질검사 전문기관지정
1992.10 항공우주연구소 준공
1996.11 재단법인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설립
1999.01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설립근거 변경
2001.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 명칭 변경
2003.05 항공기 체계종합/성능시험 센터 기공
2003.08 나로우주센터 기공
2004.10 제주추적소 기공
2005.01 남극 소형관제소 설치
2008.03 기초기술연구회 편입
2009.06 나로우주센터 준공
2014.06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으로 변경
2014.10 한국형발사체 엔진조립장 준공
2016.12 국가우주개발전문기관 선정
2024.05 우주항공청 산하 법인으로 개편

3. 설립 목적

3.1. 주요기능

3.2. 성과

3.2.1. 항공

3.2.2. 발사체

3.2.3. 위성

3.2.4. 융합기술 미래전략 및 기타

3.3. 발사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KSR 계획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ffffff> 1993년 1997년 2002년
KSR-I KSR-II KSR-III }}}
<rowcolor=#ffffff> KSLV 계획
<rowcolor=#ffffff> 2013년 2018년 2022년 2030년
KSLV-I 나로 KSLV-II TLV KSLV-II 누리 KSLV-III
KSLV-s
<rowcolor=#ffffff> 국방부
한국형 고체연료 발사체
<rowcolor=#ffffff> 민간 개발 우주발사체
<rowcolor=#ffffff>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이노스페이스
블루웨일 시리즈 한빛 시리즈 한빛-TLV
<rowcolor=#ffffff> 엔진
누리호 75톤급 엔진 누리호 7톤급 엔진
<rowcolor=#ffffff> 관련 문서
나로호/역사 누리호 75톤급 엔진/연소 시험 누리호/필요성에 대한 찬반양론 누리호 7톤급 엔진/연소 시험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
관련 틀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3.4. 위성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우리별 위성 1호('92) · 2호('93) · 3호('99)
무궁화 위성 1호('95) · 2호('96) · 3호('99) · 5호('06) · 5A호('17) · 6호올레 1호('10) · 7호('17) · 6A호('24)
아리랑 위성 1호('99) · 2호('06) · 3호('12) · 3A호('15) · 5호('13) · 6호('24)* · 7호('23)* · 7A호('24)* · 8호('27)* · 9호('28)*
천리안 위성 1호('10) · 2A호('18) · 2B호('20) · 3호('27)* · 5호('31)*
과학기술위성 1호('03) · 2A호('09) · 2B호('10) · 나로과학위성('13) · 3호('13)
차세대소형위성 1호('18) · 2호('23) · 3호('27)*
차세대중형위성 1호('21) · 2호('25)* · 3호('25)* · 4호('25)* · 5호('25)* · 6호('25)*
군사통신위성 ANASIS-I무궁화 5호('06) · ANASIS-II('20)
정찰위성 1호('23) · 2호, 3호('24)* · 4호, 5호('25)*
초소형군집위성 1호('24)* · 2호~6호('26)* · 7호~11호('27)*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1호(28)* · 2호(29)* · 3호(30)*
6G저궤도통신위성 1호(27)* · 2호(29)*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1호(25)* · 2호(26)* · 3호(27)*
달 궤도선 다누리('22) ·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30)*
화성 궤도선 한국형 화성 궤도선(35)*
큐브위성 도요샛('23)
KPS위성 1호(27)* · 2~8호(~35)*
차세대대형정찰위성 1~12호(425정찰위성사업 이후)*
기타 누리호 성능검증위성('22)
취소선: 발사 실패 / : 교신 두절 / *: 임무 예정
관련 틀 : 대한민국의 로켓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4. 논란

4.1. 연구원 처우 논란


누리호의 성공적인 2차 발사 이후 연구원들에 대한 열악한 처우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연구 개발 과정에서 참여 연구원들의 야근수당 및 주말 근무 수당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으며, 항우연 연구원들의 평균 초봉은 주요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하위권을 맴돌고, 지방 출장 시 인상된 유류비를 제대로 지급받지 못한다는 등의 불만이 주를 이룬다. 실제로 알리오 2021년 결산 기준 항우연 연구원들의 1인당 평균 보수는 95,959천원으로 24개 과기출연연 중 12위에 해당한다. 연구원 전체의 평균 보수만으로 보면 나쁘지 않아 보이지만 신입 초임 연봉의 경우 38,253천원으로 24개 과기출연연 중 21위에 불과하다.

또한 최근 급등한 유류비로 인해 출장시 사비로 충당해야 하는 일이 벌어져 최근 고흥 출장(나로호 발사장)에 대해서만 출장비를 인상한 바 있으며, 시간외 근무가 불가피한 경우 대체 휴일, 근무시간 조정 등으로 보상하고 있다고 하나 기존에 주어진 휴가도 다 못쓰는 상황이고 또한 평일 야간 근로나 주말 야간 근로에 대해서 제대로 된 시간외 수당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직원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다.

4.2. 연구원 수당 미지급 논란


2019년 다누리 개발이 설계 문제로 5개월간 중단된 기간, 연구원 16명에게 총 1억 300만 원[12]을 지급하지 않았는데, 2심까지 패소한 항우연은 연구 수당 1억 300만원을 주지 않기 위해 김앤장과 1억 6500만 원의 수임료 계약을 맺어 대법원에 상고했다.

4.3. 조직개편 논란


항공우주연구원은 조직 개편을 통해 발사체연구소를 신설하고, 기존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내 팀 조직 16개는 폐지하여 발사체연구소 산하 부 체제로 편성했다.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는 2023년 6월 이후 폐지하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개편에 따라 고정환 본부장에게 발사체연구소장직을 제안하였으나 거절한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12월 12일, 조직개편에 반발한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내 고정환 본부장과 옥호남 나로우주센터장 및 부장급 5명 전원이 사퇴의사를 밝혔다. 고정환 본부장은 사퇴서를 통해 "항우연은 조직개편을 공표해 발사체개발사업본부의 연구개발 조직을 사실상 해체했다", "기존 본부 아래 있던 부와 팀을 폐지해 머리만 있고 수족은 모두 잘린 상태가 됐다"며, "이러한 체계로는 누리호 3차 발사, 산업체 기술 이전 등 산적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

이러한 항우연과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간의 갈등은 처음이 아닌데, 심지어는 갈등으로 인해 임철호 당시 원장이 과기부 감사를 받고 해임되는 사태까지 벌어진 바가 있었다. 일각에서는 이번일 또한 항우연 내 준독립조직으로 운영되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와 항우연이 인사권 등을 둘러싸고 오랜 갈등을 겪은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있다. #

항우연 내부에서도 "사태가 왜 이렇게까지 됐는지 모르겠다. 내부에선 특정 인물이 기존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만든 상황이란 말도 있다"며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조직개편 논란에 옥호남 나로우주센터장 역시 사퇴를 표명하면서 조직 개편 논란은 더욱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옥호남 나로우주센터장에 따르면 발사체가 있어야 발사장인 나로우주센터도 존재하는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

2022년 12월 21일, 대전에서 열린 누리호 고도화사업 사업착수 회의에 사퇴서를 제출한 항우연 소속 부장 5명이 모두 불참했다. #

2023년 1월 3일, 고정환 본부장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결정 하나하나들이 굉장히 쉽지 않고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해야 하는데, 지금 바뀌는 조직에서는 그런 것들이 없다. 책임은 여전히 저한테 있는데 제대로 된 권한이 없으니 업무를 할 수가 없다고 본다.", "비슷한 수준의 인력으로 큰 과제를 성공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차세대 발사체에 우선 집중하는 체제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매트릭스체제에 대한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

이후 고정환 본부장이 누리호 3차 발사를 맡기로 하며 조직 내홍은 수습 국면에 들어섰다. #

4.4. 우주항공청 신설 논란

2023년 우주항공청 신설이 확정되면서 항우연의 역할이 애매해졌다. 우주항공청은 국가의 우주정책 수립만 담당하고 실제 발사체 개발과 발사는 기존처럼 항우연이 하게 될지, 아니면 항우연은 발사체 개발 연구만 하고 발사체의 발사와 운용은 우주항공청으로 이관될지 등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실제로 항우연 노조는 우주항공청 신설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

그러나 이후 정부와 여당 측에서 항우연을 우주항공청 산하 기관으로 두어 우주항공청과 항우연 모두 R&D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R&D 문제는 일단락되었다.

5. 조직

6. 이사장

7. 원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역대 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황보한
2-3대
홍재학
4대
장근호
5대
최동환
6대
채연석
7대
백홍열
8대
이주진
9대
김승조
10대
조광래
11대
임철호
12대
이상률
}}}}}}}}}

8. 노동조합 현황

9. 여담

10. 관련 항목


[1] 항우연 연구원들의 근무복 가슴에 해당 엠블럼이 박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Aerius Spatium'은 라틴어로 '항공우주'를 의미한다. [2] 다만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항우연은 해산되었고, 「우주항공청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명시되어 있다. [3] KARI Palau Tracking Station.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한 인공위성의 신호를 추적하기 위해 팔라우에 설립한 해외자회사. [4] 스페이스X 팰컨 9으로 발사 [5] 2022년 12월 28일 달 궤도 진입을 마무리 하면서 사실상 성공이 확정되었다. [임무종료] [임무종료] [8] Synthetic Aperture Radar;합성개구레이더 [개발중] [개발중] [개발중] [12] 인당 약 643만 원 [13] 한국천문연구원 이사장 겸임 [14] "한국은 아직 자체적으로 우주인을 배출 못 했는데 무슨 달 연구?" 싶을 수 있지만 이런 기술들은 개발해놓으면 미국 등에서 아웃소싱 받아와서 돈이 된다. 냉전시대라면 모를까 비용이 중요해진 현대에는 이런 식으로 국제협력을 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우주기술 기반으로 응용과학이 발전하는 것은 덤. [15] 한국형 전투기 개발사업 [16] KAI와 사업에 협력하고 있다.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