定 정할 정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テイ, ジョウ
|
||||||
일본어 훈독
|
さだ-める, さだ-まる, さだ-か, き-まる
|
||||||
-
|
|||||||
표준 중국어
|
dì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定은 '정할 정'이라는 한자로, '정(定)하다'. '결정( 決定)하다'를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正(바를 정)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결정하다', '선택하다'의 뜻을 가진다.이체자로 㝎이 있는데 이 글자는 비교적 오래된 문헌이나 건축물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乏(모자랄 핍)은 丿+之 형태로 쓰지만 실제로는 正을 좌우 반전시킨 형태를 기원으로 한다.
'정'으로 읽는 것이 대부분이나 人定은 '인정'뿐만 아니라 '인경'으로 읽을 수도 있다. 이때 '경'이라는 음은 속음이다. 이에 대한 한국어문회의 해설은 다음과 같다.
조선 시대에, 통행금지를 알리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치던 종이란 뜻으로 "人定"은 "인정/인경" 두 가지로 읽히며 모두 표준어입니다.
이중 "인경"은 한자의 음을 읽을 때, 본음과는 달리 일부 단어에서 굳어져 쓰이는 속음입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341(人定 인경? 인정?), 2019-07-07
이중 "인경"은 한자의 음을 읽을 때, 본음과는 달리 일부 단어에서 굳어져 쓰이는 속음입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341(人定 인경? 인정?), 2019-07-07
3. 용례
3.1. 단어
- 가정( 假定)
- 감정( 鑑定)
- 검정( 檢定)
- 결정( 決定)
- 계정( 計定)
- 고정( 固定)
- 규정( 規定)
- 긍정( 肯定)
- 기정( 旣定)
- 내정( 內定)
- 단정( 斷定)
- 무작정( 無 酌定)
- 법정( 法定)
- 배정( 配定)
- 부정( 不定/ 否定)
- 산정( 算定)
- 상정( 想定)
- 선정( 選定)
- 설정( 設定)
- 안정( 安定)
- 약정( 約定)
- 예정( 豫定)
- 인경(人定▽)
- 인정( 認定)
- 일정( 一定)
- 작정( 作定)
- 잠정( 暫定)
- 정가(定 價)
- 정관(定 款)
- 정규(定 規)
- 정기(定 期)
- 정리(定 理)
- 정립(定 立)
- 정설(定 說)
- 정시(定 時)
- 정식(定 式)
- 정원(定 員)
- 정의(定 義)
- 정주지(定 住 地)
- 정착(定 着)
- 정초(定 礎)
- 제정( 制定)
- 지정( 指定)
- 질정( 質定)
- 책정( 策定)
- 추정( 推定)
- 측정( 測定)
- 특정( 特定)
- 판정( 判定)
- 평정( 平定)
- 품정( 品定)
- 한정( 限定)
- 협정( 協定)
- 확정( 確定)
- 획정( 劃定)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강정연( 姜定 淵)
- 과정( 戈定)
- 김정은( 金定 恩)
- 도쿠가와 사다사다( 德 川 定定)
- 도쿠가와 이에사다( 德 川 家定)
- 박정인( 朴定 仁)
- 시모하라 사다코( 下 原 定 子)
- 심규정( 沈 奎定)
- 안정공주( 安定 公 主)
- 안정권( 安定 圈)
- 왕정륙( 王定 六)
- 위정국( 魏定 國)
- 유정연( 兪定 延)
- 장딩파( 张定 发)
- 정비 안씨(定 妃 安 氏)
- 정성군(定 城 君)
- 정순왕후 송씨(定 順 王 后 宋 氏)
- 정왕(定 王)
- 정종(定 宗)
- 최효정( 崔 效定)
- 쿠지카네사다( 九 字 兼定)
- 토토바미 테라노( 等 喰 定 楽 乃)
- 후지와라노 사다요리( 藤 原 定 頼)
- 히테이 공주( 否定 姫)
- R-指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