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20:58:49

경복궁 향원정

향원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칠궁 양정재 수궁(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지희실 경농재(관풍루) 대유헌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 만화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원역처소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제관방 회광당(빈궁 내소주방) 광원당(빈궁 외소주방)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국별장직소 원역처소(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상궁처소) 웅향당(상궁처소)
국출신직소 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상궁처소)
하향정 임향당 나인처소
무겸직소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상궁처소) 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
교태전 원길헌
복희당(대전 생물방)
북소위장직소 흠경각
양의문 대전 내소주방 난지당(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나인처소)
응지당 강녕전 연길당
파수각 경성전 연생전
수문 향오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장방( 내시부)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자선당 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전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수정문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 계인문
융문루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 내의원) 영화문 계방
옥당
(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숭양문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흥례문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내구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경복궁 향원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경희궁 후원
인경궁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강선루
육승정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옥호정 ·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압구정 ·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1761호
경복궁 향원정
景福宮 香遠亭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세종로)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수량 1동
지정연도 2012년 3월 2일
제작시기 조선 시대
파일:향원정.png
<colbgcolor=#bf1400> 향원정
1. 개요2. 이름과 현판3. 역사4. 향원지(香遠池)5. 취향교(醉香橋)6. 열상진원(洌上眞源)7. 기타8.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경복궁 후원에 있는 정자이다.

위치는 건청궁의 바로 남쪽, 함화당과 집경당의 북쪽에 있다.

2. 이름과 현판

'향원(香遠)' 뜻은 '향기(香)가 멀리(遠) 간다'로, 북송 시기 학자 주돈이(周敦頤, 1017 ~ 1073)가 지은 《애련설(愛蓮說)》의, '향기가 멀리 갈수록 더욱 맑아진다(香遠益淸)'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파일:향원정 현판.png
<colbgcolor=#bf1400> 향원정 현판[1]
현판 글씨는 고종이 직접 썼다. 20세기 초반까지는 흰 바탕에 짙은 글씨였으나 어느새 검은 바탕에 금색 글씨로 바뀌었다. 2016년에 문화재청에서는 향원정을 비롯해 색상이 바뀐 현판을 조사하여 조선시대 원형으로 복원하겠다고 밝혔고, 후술할 2017년 ~ 2021년에 보수 공사를 진행할 때 복원했다. #

3. 역사

조선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1456년( 세조 2년)에 경복궁 후원에 지은 취로정(翠露亭)이 향원정 자리에 있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현재 향원정은 경복궁 중건 이후에 처음 세운 것이지만,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다. 한때 1873년( 고종 10년)에 건청궁과 같이 건립했다는 설이 유력했었다. 그러나 하술할 2017년 ~ 2021년 보수 공사 때 문화재청에서 목재 연륜 연대 조사를 통해 1881년( 고종 18년)과 1884년( 고종 21년) 두 번에 걸쳐 벌채한 목재를 사용한 것을 확인했다. 그래서 현재는 건립 시기를 1885년( 고종 22년) 안팎으로 추정한다. #

이후 왕실 가족들이 휴식처로 활용했다.

일제강점기 6.25 전쟁을 거치면서도 무사하여 지금까지 남아있다. 그러나 일부 변형된 부분이 있기도 했다.

건물 구조의 특징에 대해서는 링크 참조.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향원정 복원 수리 현장 영상
오랜 시간을 버티면서 건물이 노후화 되었기 때문에 문화재청에서 2012년부터 정밀실측조사에 들어갔고, 2015년까지 매년 안전점검을 진행했다. 조사 결과, 기둥을 받치는 주초석 일부가 침하되면서 건물 전체는 물론, 수장재[2] 역시 기울어지고 뒤틀린 것을 확인했다. 그래서 2017년 5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전면 해체 보수 공사를 진행했고, 고종 시기와 달라진 부분은 원형대로 복원했다.
<colbgcolor=#bf1400> 향원정 온돌 발견 내용을 다룬 2019년 11월 20일 자 YTN 뉴스
해체 수리 중이던 2019년 11월에 향원정 바닥에서 온돌 시설이 발견되었다. # 비록 가장자리에만 설치되었지만, 정자에 온돌이 있는 보기 드문 경우라서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
<colbgcolor=#bf1400> 향원정 복원, 보수 공사 완료 및 공개를 다룬 2021년 11월 5일 자 KBS 뉴스
보수 공사를 모두 마치는 2021년 10월 20일에 다시 일반에 개방할 예정이었으나, 11월 초순으로 연기됐다.[3] 이후 11월 5일에 전면 개방했다. 취향교 출입 및 전각 근접 관람은 2022년 4월부터 가능해졌다.

4. 향원지(香遠池)

파일:향원지.png
<colbgcolor=#bf1400> 향원지[4]
景福宮 香遠池

향원정의 연못이다. 역사는 향원정과 같다.

천원지방 사상에 따라 사각형으로 지었으나 가장자리 부분만 둥글게 마무리 했다. 연못 가운데에 둥근 섬이 있고 그 위에 향원정 건물이 들어서있다. 현재는 잉어가 살고 있는 듯하다.[5]

넓이 5,438㎡로, 수심은 평균 0.7m, 제일 깊은 곳은 1.1m이다. #

1894년( 고종 31년) 향원지에서 서양 선교사들이 피겨 스케이팅 고종 명성황후 앞에서 시연했다.

5. 취향교(醉香橋)

파일:취향교.png
<colbgcolor=#bf1400> 취향교
景福宮 醉香橋

향원정을 건너는 다리이다. 향원정을 지을 때 같이 세웠으며 향원정의 북쪽, 그러니까 건청궁 쪽 방향에 있었다.
파일:베베르 취향교.png
파일:위에서 바라본 취향교.png
<colbgcolor=#bf1400> 조선 말에 촬영한 향원정과 취향교.
왼쪽은 러시아 공사를 지냈던 카를 이바노비치 베베르가 촬영한 사진이고, 오른쪽은 아놀드.H의 편지에서 채록한 사진이다.
파일:고궁-00788-0001_1.jpg
일제강점기 초 취향교 모습을 담은 엽서[6]
파일:유리건판 취향교1.png
파일:조선고적도보 향원정3.png
유리건판에 촬영한 취향교 사진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취향교 사진. 다리가 일자로 바뀌었다.
원래는 무지개 모양의 나무로 만든 흰색 다리였으며 일제강점기 즈음에 일자 형태로 바뀌었다.
파일:향원정 복원 전.png
파일:external/dunggu.com/gyeongbokgung6_2.jpg
<colbgcolor=#bf1400> 2007년[7] ~ 2017년의 향원정과 취향교 모습. 전면에 보이는 다리가 6.25 전쟁 이후 새로 지은 취향교이다.[8]
6.25 전쟁 때 파괴당했던 것을 1953년에 복원했는데 관람 편의 등의 이유로 기존 자리가 아닌 남쪽에 세웠다. 모습 또한 조선시대와는 전혀 달랐다. 이에 시민들과 학계에서 문제를 제기하자 문화재청에서 2017년에 향원정 보수 공사를 할 때 철거한 후 그해 복원 공사를 시작했다.

발굴조사를 통해 원 위치를 확인한 후 대한제국 말기에 촬영된 사진들을 바탕으로 GPS 측량과 3D 스캐닝을 통해 정밀측량자료를 확보하는 등 재현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 그리고 2020년에 복원 공사를 마쳤다.

복원한 다리는 새하얀 나무 다리인데 전통 목조 양식과 다소 이질적인 모양이라 향원정과 어울리지 않다고 느낀다는 시민들도 많다. 여기서 더 나아가 아예 다리가 철제 아니냐고 오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목교가 맞다. 문화재청 공식 유튜브의 향원정+취향교 복원 과정 영상. 그러나 새로 지어진 취향교는 엄연히 옛 사진을 바탕으로 복원한 것이기 때문에 디자인 측면에서는 몰라도 재현 면에서 문제될 것은 전혀 없다. # 상술했듯 향원정과 취향교는 1885년( 고종 22년) 즈음에 세운 것으로, 시기를 보면 오히려 근대 한옥에 가깝다.

1953년에 재건했던 다리의 구조와 특징에 대해서는 링크 참조.

6. 열상진원(洌上眞源)

파일:열상진원.png
<colbgcolor=#bf1400> 열상진원[9]
景福宮 洌上眞源

향원정 서북쪽에 있는 . 북악산 지하수가 이 곳에서 솟아나 향원지 물을 채운다. 샘 주변을 덮는 돌과 뚜껑은 화강석이다.

경복궁 창건 당시부터 있었으나 뚜껑은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만들었다.

이름은 '한강(洌上)의 진짜(眞) 근원(源)'이란 뜻이다. 열수는 한강의 다른 말이고 '열상'은 '열수 가', 즉 ' 서울'을 의미하는데, 편의상 열상을 열수와 같은 뜻으로 쓴 듯하다. 비록 강원도 태백시 검룡소가 한강의 진짜 발원지이지만, 왕궁에서 발원한 물이 한강으로 흐르기에 상징적으로 이름 붙인 것이다. #

샘은 총 3층 계단식이다. 솟아난 물이 2번 직각으로 꺾여 향원지로 들어가게 했고, 특히 연못과 만나는 부분은, 동그란 홈에 물이 고이게 하여 향원지 물 높이보다 아래로 흘러들어 갈 수 있게 만들었다. 이는 한 번에 물이 내려올 때 생길 수 있는 연못 파동을 최대한 줄여 향원지의 물을 잔잔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이렇게 만든 데에는 물고기가 놀라지 않게 하려고 그랬다는 설과 연못에 비친 향원정과 여러 , 나무 그림자들을 흔들 림없이 보려고 했다는 설이 있다.
파일:열상진원 샘물 바가지.png
<colbgcolor=#bf1400> 관람객이 열상진원 샘물을 떠마실 수 있게 비치했던 바가지.
2000년대 초중반 모습이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일반 관람객이 열상진원에 가까이 갈 수 있게 했고, 심지어 관람객이 샘물을 떠 마실 수 있게끔 작은 바가지까지 비치해 두었다. 이후로 언젠가부터 울타리를 둘러서 멀리서만 바라보게 하였다.

7. 기타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같이 걸으시겠습니까? 🐧 왕이 된 펭수 | 문화유산 방문 캠페인X펭수〉 영상

8. 대중매체에서

궁궐 촬영이 비교적 쉬웠던 2000년대 이전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에서 후원으로 많이 나왔다. 다만, 향원정을 처음 지은 것은 고종 때인데 임진왜란 전 조선 초 ~ 중기를 다룬 드라마에도 후원으로 나오는 재현 오류가 있었다.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대부분의 주요 전각들은 거의 세트장을 배경으로 했지만 향원정만큼은 실물이 간간히 나온다. 아마 세트로 재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비용이 더 많이 들더라도 감수했던 것 같다. 당연하지만 세트장보다 실제 궁궐의 촬영 대여료가 훨씬 비싸다.

호금전 감독의 영화 공산영우(1979)와 산중전기(1979) 두 작품이 한국에서 촬영한 작품인데, 이가운데 '산중전기'에 향원정도 나온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건물의 내, 외부를 아름답게 꾸미는 재료. [3] 다만, 펜스는 10월 말에 이미 모두 걷어내었다. [4]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5] 가끔 향원지 물 위에 떠있는 녹조류들을 먹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7] 뒤에 보이는 건청궁은 2007년에 복원되었다. [8]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9]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