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향원정 관련 틀
|
||||||||||||||||||||||||||||||||||||||||||||||||||||||||||||||||||||||||
|
대한민국 보물 제1761호 | |
경복궁 향원정 景福宮 香遠亭 |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세종로)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수량 | 1동 |
지정연도 | 2012년 3월 2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
|
<colbgcolor=#bf1400> 향원정 |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후원에 있는 정자이다.위치는 건청궁의 바로 남쪽, 함화당과 집경당의 북쪽에 있다.
2. 이름과 현판
'향원(香遠)' 뜻은 '향기(香)가 멀리(遠) 간다'로, 북송 시기 학자 주돈이(周敦頤, 1017 ~ 1073)가 지은 《애련설(愛蓮說)》의, '향기가 멀리 갈수록 더욱 맑아진다(香遠益淸)'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
<colbgcolor=#bf1400> 향원정 현판[1] |
3. 역사
조선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1456년( 세조 2년)에 경복궁 후원에 지은 취로정(翠露亭)이 향원정 자리에 있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현재 향원정은 경복궁 중건 이후에 처음 세운 것이지만,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다. 한때 1873년( 고종 10년)에 건청궁과 같이 건립했다는 설이 유력했었다. 그러나 하술할 2017년 ~ 2021년 보수 공사 때 문화재청에서 목재 연륜 연대 조사를 통해 1881년( 고종 18년)과 1884년( 고종 21년) 두 번에 걸쳐 벌채한 목재를 사용한 것을 확인했다. 그래서 현재는 건립 시기를 1885년( 고종 22년) 안팎으로 추정한다. #
이후 왕과 왕실 가족들이 휴식처로 활용했다.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도 무사하여 지금까지 남아있다. 그러나 일부 변형된 부분이 있기도 했다.
건물 구조의 특징에 대해서는 링크 참조.
|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향원정 복원 수리 현장 영상 |
|
<colbgcolor=#bf1400> 향원정 온돌 발견 내용을 다룬 2019년 11월 20일 자 YTN 뉴스 |
|
<colbgcolor=#bf1400> 향원정 복원, 보수 공사 완료 및 공개를 다룬 2021년 11월 5일 자 KBS 뉴스 |
4. 향원지(香遠池)
|
<colbgcolor=#bf1400> 향원지[4] |
향원정의 연못이다. 역사는 향원정과 같다.
천원지방 사상에 따라 사각형으로 지었으나 가장자리 부분만 둥글게 마무리 했다. 연못 가운데에 둥근 섬이 있고 그 위에 향원정 건물이 들어서있다. 현재는 잉어가 살고 있는 듯하다.[5]
넓이 5,438㎡로, 수심은 평균 0.7m, 제일 깊은 곳은 1.1m이다. #
1894년( 고종 31년) 향원지에서 서양 선교사들이 피겨 스케이팅을 고종과 명성황후 앞에서 시연했다.
5. 취향교(醉香橋)
|
<colbgcolor=#bf1400> 취향교 |
향원정을 건너는 다리이다. 향원정을 지을 때 같이 세웠으며 향원정의 북쪽, 그러니까 건청궁 쪽 방향에 있었다.
|
|
<colbgcolor=#bf1400> 조선 말에 촬영한 향원정과 취향교. 왼쪽은 러시아 공사를 지냈던 카를 이바노비치 베베르가 촬영한 사진이고, 오른쪽은 아놀드.H의 편지에서 채록한 사진이다. |
|
|
|
일제강점기 초 취향교 모습을 담은 엽서[6] | |
|
|
유리건판에 촬영한 취향교 사진 |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취향교 사진. 다리가 일자로 바뀌었다. |
|
|
<colbgcolor=#bf1400> 2007년[7] ~ 2017년의 향원정과 취향교 모습. 전면에 보이는 다리가 6.25 전쟁 이후 새로 지은 취향교이다.[8] |
발굴조사를 통해 원 위치를 확인한 후 대한제국 말기에 촬영된 사진들을 바탕으로 GPS 측량과 3D 스캐닝을 통해 정밀측량자료를 확보하는 등 재현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 그리고 2020년에 복원 공사를 마쳤다.
복원한 다리는 새하얀 나무 다리인데 전통 목조 양식과 다소 이질적인 모양이라 향원정과 어울리지 않다고 느낀다는 시민들도 많다. 여기서 더 나아가 아예 다리가 철제 아니냐고 오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목교가 맞다. 문화재청 공식 유튜브의 향원정+취향교 복원 과정 영상. 그러나 새로 지어진 취향교는 엄연히 옛 사진을 바탕으로 복원한 것이기 때문에 디자인 측면에서는 몰라도 재현 면에서 문제될 것은 전혀 없다. # 상술했듯 향원정과 취향교는 1885년( 고종 22년) 즈음에 세운 것으로, 시기를 보면 오히려 근대 한옥에 가깝다.
1953년에 재건했던 다리의 구조와 특징에 대해서는 링크 참조.
6. 열상진원(洌上眞源)
|
<colbgcolor=#bf1400> 열상진원[9] |
향원정 서북쪽에 있는 샘. 북악산의 지하수가 이 곳에서 솟아나 향원지 물을 채운다. 샘 주변을 덮는 돌과 뚜껑은 화강석이다.
경복궁 창건 당시부터 있었으나 뚜껑은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만들었다.
이름은 '한강(洌上)의 진짜(眞) 근원(源)'이란 뜻이다. 열수는 한강의 다른 말이고 '열상'은 '열수 가', 즉 ' 서울'을 의미하는데, 편의상 열상을 열수와 같은 뜻으로 쓴 듯하다. 비록 강원도 태백시 검룡소가 한강의 진짜 발원지이지만, 왕궁에서 발원한 물이 한강으로 흐르기에 상징적으로 이름 붙인 것이다. #
샘은 총 3층 계단식이다. 솟아난 물이 2번 직각으로 꺾여 향원지로 들어가게 했고, 특히 연못과 만나는 부분은, 동그란 홈에 물이 고이게 하여 향원지 물 높이보다 아래로 흘러들어 갈 수 있게 만들었다. 이는 한 번에 물이 내려올 때 생길 수 있는 연못의 파동을 최대한 줄여 향원지의 물을 잔잔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이렇게 만든 데에는 물고기가 놀라지 않게 하려고 그랬다는 설과 연못에 비친 향원정과 여러 꽃, 나무의 그림자들을 흔들 림없이 보려고 했다는 설이 있다.
|
<colbgcolor=#bf1400> 관람객이 열상진원 샘물을 떠마실 수 있게 비치했던 바가지. 2000년대 초중반 모습이다. |
7. 기타
- 1887년 3월 6일 아시아 최초의 에디슨식 전등을 건청궁에 설치했다. 아시아 최초의 전등은 이미 아크식 가로등은 이미 인도(1879), 일본(1882)에 도입된 상황이었으며, 특히 일본은 1878년 도쿄대학 내에 아크등을 시연했다. 중국도 1882년 가로등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역시 아크등이었다. 고종 때 최초로 전등을 건청궁에 설치했을 때 발전기 냉각수를 확보하기 위해 바로 향원정 남쪽에 발전기를 설치했다. 그러나 향원지의 수온이 올라가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기도 했다. 이 때 전등을 설치한 회사가 토머스 에디슨의 전기 회사였다.
- 한반도 최초의 스케이트 공간이기도 하다. 조선을 방문했던 영국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의 책 《조선과 이웃나라들》에 따르면, 1894년( 고종 31년) 겨울에, 서양 선교사들이 얼어붙은 향원지 연못에서 피겨 스케이팅 시연회를 고종과 명성황후 앞에서 했는데 고종은 선교사들이 미끄러질 때마다 엄청 웃으면서 즐거워했다고 한다. 이 때 스케이트를 ‘얼음발굿’ ‘빙예(氷藝)’ ‘빙족희(氷足戱)’ 등으로 불렀다고 한다. 명성황후는 이성끼리 서로 손을 잡았다 놨다 하는 것을 못마땅해했으나 얼음판 위에 놓인 의자를 훌쩍 뛰어넘는 곡예를 부릴 때는 어린이처럼 손뼉을 치며 좋아했다고 한다. 이후에도 몇 번 더 경복궁에서 스케이트를 타게 했으며 1895년 1월에는 아예 두 차례에 걸쳐 스케이트 파티를 열었는데 서울에 살던 대부분의 서양인들이 모였다.
- 굉장히 아름다운 풍경에다 서울에 있어서 그런지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출품작 중 가장 많이 나온 소재이기도 하다. 미술대회 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이곳에서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 경관이 아름답기 때문에 경회루와 더불어 경복궁을 홍보하는 사진 모델로 자주 나온다. 2017년 5월부터 2021년 10월까지는 장기간 복원 공사로 인해 가려져 있어서 저 시기에는 예외였다. 둘 다 연못 가운데 섬이 있고 섬 위에 건물이 있는 구조인데, 아무래도 규모가 차이가 있다보니 경회루는 특별 관람을 통해 일반인들이 제한적으로나마 들어갈 수 있지만, 향원정은 그런 게 없어서 일반인들이 들어가서 볼 기회가 없다.
|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같이 걸으시겠습니까? 🐧 왕이 된 펭수 | 문화유산 방문 캠페인X펭수〉 영상 |
-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에서는 2021년 12월에 문화유산 방문 캠페인의 일환으로,
펭수가 경복궁을 홍보하는 영상을 만들었는데, 여기서 새로 복원한 취향교 위를 펭수가 걷는 모습이 나온다.(영상 30초 ~ 34초)
공무원 시험에 합격할 것 같은 멜로디이다.
8. 대중매체에서
궁궐 촬영이 비교적 쉬웠던 2000년대 이전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에서 후원으로 많이 나왔다. 다만, 향원정을 처음 지은 것은 고종 때인데 임진왜란 전 조선 초 ~ 중기를 다룬 드라마에도 후원으로 나오는 재현 오류가 있었다.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대부분의 주요 전각들은 거의 세트장을 배경으로 했지만 향원정만큼은 실물이 간간히 나온다. 아마 세트로 재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비용이 더 많이 들더라도 감수했던 것 같다. 당연하지만 세트장보다 실제 궁궐의 촬영 대여료가 훨씬 비싸다.호금전 감독의 영화 공산영우(1979)와 산중전기(1979) 두 작품이 한국에서 촬영한 작품인데, 이가운데 '산중전기'에 향원정도 나온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건물의 내, 외부를 아름답게 꾸미는 재료.
[3]
다만, 펜스는 10월 말에 이미 모두 걷어내었다.
[4]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5]
가끔 향원지 물 위에 떠있는 녹조류들을 먹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7]
뒤에 보이는 건청궁은 2007년에
복원되었다.
[8]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9]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