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46:50

부벽루

부벽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 강서삼묘 (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경희궁 후원
인경궁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강선루
육승정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옥호정 ·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압구정 ·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조선 3대 누각

영남루

촉석루

부벽루
※ 여기에 남원 광한루를 더해 4대 누각이라고도 한다.
浮碧樓 / Bubyeongnu

파일:external/pds14.egloos.com/a0114420_49a66dd0b796c.jpg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97_big.jpg
부벽루

1. 개요2. 상세
2.1. 동명성왕과 관련된 설화
3. 문학작품 및 예술작품에서의 부벽루
3.1. 목은 이색이 지은 동명의 시3.2. 삼봉 정도전이 지은 시3.3. 사명대사 유정이 지은 시3.4. 장한몽에서의 언급
4. 관련 문서

1. 개요

북한 평양시 중구역 금수산 모란봉 내의 청류벽(淸流壁) 위에 위치한 대동강변의 정자.

2. 상세

원래는 고구려 시대인 393년에 창건된 사찰인 영명사(永明寺)[1]에 부속된 정자였는데, 임진왜란 평양부 전역이 전란으로 불탄 것을 광해군 6년(1614)에 중건하여 현재에 이른다. 정자의 현판은 조선 후기 평양부의 서예가 눌인(訥人) 조광진(曺匡振 1772-1840)이 썼다.[2]

원래 이름은 고구려 시기에 건립된 이래로 영명사의 이름을 따서 '영명루(永明樓)'로 불렸는데, 고려 중엽인 12세기에 평장사 이오가 정자의 풍경이 마치 대동강의 푸른 물결 위에 떠 있는 듯하다고 하여 오늘날의 '부벽루(浮碧樓)'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예로부터 부벽루 및 청류벽을 중심으로 한 주변과 부벽루에서 바라본 대동강변의 풍경이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하여 '평양8경' 중 하나인 '부벽완월(浮碧玩月)'[3]로 꼽히기도 하였으며,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와 함께 조선 3대 정자에 속하기도 했다. 정지상, 김황원, 이색, 김시습, 김정희 등의 많은 문인들이 방문하여 부벽루의 풍경을 소재로 많은 시를 남겼고, 현재 부벽루에는 이들의 시가 수많이 걸렸다.

현재 북한의 국보 제 17호로 등록되었다.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 의하면 옛 영명사 자리에 요양소가 세워졌기 때문에 1998년 기준으로는 일반 관광객의 출입이 제한된다고 한다.
조선시대 그림과 구한말 흑백사진에 담긴 《부벽루》 모습

2.1. 동명성왕과 관련된 설화

아래 층안(層岸) 위에 누(樓)가 있어 이름을 부벽루(浮碧樓)라 하는데, 보이는 경치가 이루 다 기록할 수 없다.

옆에 영명사(永明寺)가 있으니, 곧 동명왕 구제궁(九梯宮)이다.

안에 기린(麒麟)을 기르던 굴(窟)이 있는데, 후인(後人)이 비석을 세워서 그 사실을 기록하였다.

굴 남쪽 백은탄(白銀灘)에 바위가 있는데, 밀물에는 묻히고 썰물에는 드러난다. 이름을 조천석(朝天石)이라 한다.

민간에서 전하기를, " 동명왕이 기린을 타고 굴 속에서 나와 조천석에 올라서 천상(天上)에 주사(奏事)하였다." 한다.

이승휴(李承休)가 이르기를, "천상을 오가며 천정(天政)에 나아가니, 조천석 위에 기린이 날쌔도다."한 것은 곧 이를 말한 것이다.
-『 세종실록지리지』, 평안도 평양부 중 부벽루 설명.
기린굴(麒麟窟) 구제궁(九梯宮) 안 부벽루 아래에 있다. 동명왕(東明王)이 이곳에서 기린말을 길렀다고 하는데, 뒷사람이 비석을 세워 기념하였다.

세상에서 전하기를, 왕이 기린말을 타고 이 굴에 들어오니 땅속에서 조천석(朝天石)이 나와 하늘로 올라갔다 한다. 그 말발굽 자국이 지금까지 돌 위에 있다.(이하 생략)
조천석(朝天石) 기린굴 남쪽에 있다. 위에도 보인다.

고려 이승휴(李承休)의 시에, “하늘로 갔다 왔다 하늘 정사(政事)에 참예했으니, 조천석 위에 기린의 발굽이 가벼웠네.” 하였다.

김극기의 시에 “기린을 한번 타고 하늘에 올라 조회하니, 부질없이 인간에게 눈물이 줄줄 흐르게 하네. 오직 신령한 바위 서너 개 삐쭉 남아 있어, 푸른 강가에 밀물이 나고 드네.” 하였다.(중략)

권근의 시에, “강 가운데 반석(盤石)을 조천이라 이름하니, 황당한 이 말이 예로부터 전하네. 굴속 구멍이 어찌 도로로 통한단 말인가. 허공에 운연(雲煙)을 타기가 쉽지 않도다. 신인(神人)은 절로 범인과는 달랐겠지. 지난 일은 모두 가는 물 따라 옮아갔네. 천 년 뒤 백은탄(白銀灘) 아래 나루터에는, 이제는 오직 오가는 배만 있을 뿐.” 하였다.(이하생략)
-『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제 51, 평안도 평양부 중 기린굴, 조천석 설명 중 일부.

한편, 부벽루 근처 청류벽에는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성왕 기린을 길들였다는 기린굴(麒麟窟)과 기린을 타고 승천했다는 조천석(朝天石)이 있었다는 설화가 내려온다.

물론 실제 역사에서 동명성왕은 졸본성에서 승하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4] 이 설화를 그대로 믿기는 곤란해 보이지만 평양 일대에 동명성왕과 관련된 설화가 많은 것은 아무래도 장수왕대에 평양성으로 천도하면서 동명성왕과 관련된 유적[5]을 옮겨왔고 설화 역시 그대로 따라온 것으로 보인다.

여하간 고려 말기에는 이 설화를 권근, 이색, 이승휴 등의 문인들을 비롯하여 민간에서는 사실상 정설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이며, 심지어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위와 같이 조천석 및 기린굴과 관련된 기록이 나온다. 아무래도 통일이 돼야 확인해볼 수 있을 듯.

2011년에 북한 사학계에 의해서 부벽루 근처에서 기린굴로 보이는 유적이 발견 되었다고 한다. 통일뉴스 기사

3. 문학작품 및 예술작품에서의 부벽루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008565991.jpg
평안감사환영도 중 하나인 부벽루연회도.

앞서 본 것과 같이 부벽루는 고려 조선시대의 수많은 문인들에 의하여 문학작품 및 예술작품의 소재가 되었는데, 이 중 유명한 것을 꼽아 보면, 정지상의 시 송인(送人)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것과 이색의 동명의 시를 들 수 있고, 김시습의 『 금오신화』 중 한 부분인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취하여 부벽루에서 노닐다) 역시 부벽루를 배경으로 한 청년과 고조선 왕족 출신 선녀[6] 간의 연정을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이외에도 김홍도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인 '부벽루연회도(浮碧樓宴會圖)'가 전해져 내려온다.

3.1. 목은 이색이 지은 동명의 시

[ruby(昨過永明寺, ruby=작 과 영 명 사)] 어제 영명사를 지나다가
[ruby(暫登浮碧樓, ruby=잠 등 부 벽 루)] 잠시 부벽루에 올랐는데
[ruby(城空月一片, ruby=성 공 월 일 편)] 성벽 하늘엔 달 한 조각 떠 있고
[ruby(石老雲千秋, ruby=석 로 운 천 추)] 오래된 조천석 위엔 천년 세월의 구름이 흐르네.
[ruby(麟馬去不返, ruby=인 마 거 불 반)] 기린마는 떠나서 돌아오지 않았으니
[ruby(天孫何處遊, ruby=천 손 하 처 유)] 천손은 어디에서 노니시는가?
[ruby(長嘯倚風磴, ruby=장 소 의 풍 등)] 바람부는 돌다리에 기대어 길게 휘파람 부니
[ruby(山靑江自流, ruby=산 청 강 자 류)] 산은 푸르고 강물은 절로 흐르더라.
이색(李穡), 부벽루(浮碧樓)

부벽루에 올라 바라본 옛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성 동명성왕의 설화가 내려오는 조천석을 통하여 옛 고구려의 영광과 비교하여 산천은 그대로이나 지금은 쓸쓸한 터만 남은 왕조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으며, 당시 몰락해 가던 고려에 대한 애정과 미련, 아쉬움 등의 복잡한 감정을 표현한 시이다.

3.2. 삼봉 정도전이 지은 시

평양 부벽루에 제하다(題平壤浮碧樓)
[ruby(永明山下大江流, ruby=영 명 산 하 대 강 류)] 영명산 아래로 큰 강 흐르니
[ruby(畫舸來尋浮碧樓, ruby=화 가 래 심 부 벽 루)] 배를 타고 부벽루를 찾아왔다오
[ruby(風篴正高天欲暮, ruby=풍 적 정 고 천 욕 모)] 젓대 소리 드높고 날은 저문데
[ruby(煙波渺渺使人愁, ruby=연 파 묘 묘 사 인 수)] 연파는 아득아득 시름을 주네
『삼봉집』
삼봉 정도전이 지은 시이다.

3.3. 사명대사 유정이 지은 시

부벽루에서 이 한림(이색)의 운을 따라 쓰다(浮碧樓用李翰林韻)
[ruby(天孫何處去, ruby=천 손 하 처 거)] 천손(天孫)[7]은 어느 곳으로 떠나가고
[ruby(波撼故城樓, ruby=파 감 고 성 루)] 강 물결만 옛 성루를 뒤흔드는가
[ruby(日暮碧雲散, ruby=일 모 벽 운 산)] 날 저무는데 푸른 구름 흩어지고
[ruby(月明紅樹秋, ruby=월 명 홍 수 추)] 달이 밝으니 가을 나무 붉도다
[ruby(人間風雨急, ruby=인 간 풍 우 급)] 인간 세상은 비바람이 몰아치는데
[ruby(天上鳳凰游, ruby=천 상 봉 황 유)] 천상에서 봉황 타고 노니시는지
[ruby(一闋後庭曲, ruby=일 결 후 정 곡)] 한 곡조 후정(後庭)의 그 노래[8]
[ruby(千年江水流, ruby=천 년 강 수 류)] 천년토록 강물만 흐르는구나[9]
『사명당대사집(四溟堂大師集)』
부벽루에서 이 한림(이색)의 운을 따라 쓰다(浮碧樓用李翰林韻)
[ruby(箕王古城下, ruby=기 왕 고 성 하)] 기자(箕子)가 다스리던 옛 성의 아래
[ruby(波動古城樓, ruby=파 동 고 성 루)] 강 물결이 고대의 성루를 뒤흔드네
[ruby(國破碧雲暮, ruby=국 파 벽 운 모)] 나라는 망해도 저녁 구름은 푸르고
[ruby(月明紅樹秋, ruby=월 명 홍 수 추)] 밝은 달빛 아래 가을 나무 붉도다
[ruby(人間風雨惡, ruby=인 간 풍 우 악)] 인간 세상은 비바람이 험악한데
[ruby(天上鳳凰遊, ruby=천 상 봉 황 유)] 천상에서는 봉황 타고 노닐겠지
[ruby(一曲後庭罷, ruby=일 곡 후 정 파)] 후정(後庭)의 한 곡조[10] 끝난 뒤에도
[ruby(蒼蒼江水流, ruby=창 창 강 수 류)] 희부옇게 강물은 절로 흐르네
『사명당대사집(四溟堂大師集)』
사명대사가 목은 이색의 시와 같이 쓴 시이다.
부벽루에 오르다(登浮碧樓)
[ruby(落花春晩箕城路, ruby=낙 화 춘 만 기 성 로)] 늦은 봄날 꽃잎 지는 평양의 거리
[ruby(遠客初登浮碧樓, ruby=원 객 초 등 부 벽 루)] 먼 나그네 부벽루에 처음 올랐네
[ruby(鳳去帝鄕天似水, ruby=봉 거 제 향 천 사 수)] 제향(帝鄕)으로 봉황 떠난 하늘은 물과 흡사하고
[ruby(月高汀樹夜如秋, ruby=월 고 정 수 야 여 추)] 물가 숲의 달 높은 밤은 가을과도 비슷해라
[ruby(未央踈柳千年色, ruby=미 앙 소 류 천 년 색)] 미앙(未央)의 성근 버들은 천년토록 한 빛이요
[ruby(長樂殘鐘此日愁, ruby=장 락 잔 종 차 일 수)] 장락(長樂)의 쇠잔한 종소리는 오늘의 근심이로다
[ruby(人事已隨雲雨散, ruby=인 사 이 수 운 우 산)] 인사(人事)는 이미 운우(雲雨) 따라 흩어지고
[ruby(浿江依舊向西流, ruby=패 강 의 구 향 서 류)] 대동강만 여전히 서쪽으로 흐르네
『사명당대사집(四溟堂大師集)』

3.4. 장한몽에서의 언급

사실 평양 밖에서 부벽루라는 지명이 알려지게 된 건 오로지 장한몽 주제가의 첫 구절 '대동강변 부벽루에 산보하는' 때문이다. 일본 신파소설 금색야차가 평양으로 로컬라이징되면서 원작의 아타미 해변가가 대동강 부벽루로 바뀌었다. 이수일이 심순애를 걷어차는 장면이 부벽루 앞에서 연출되었고, 이 때문에 부벽루가 평양 바깥에서도 알려지게 된다. 남원에 가 본 적이 없어도 춘향전 때문에 광한루는 다들 아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4. 관련 문서


[1] 영명사 자체는 일제강점기까지 보존되어 오다가 한국 전쟁 때 폭격으로 전소되어 버렸다. [2] 조광진이 쓴 부벽루 현판은 당대의 유명한 문인인 추사 김정희 역시 감탄하였다고 한다.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4 - 평양의 날은 개었습니다』, 창작과 비평사, 2011에서 인용. [3] 부벽루에서 바라본 보름달의 풍경. [4] 애초에 동명성왕이 고구려를 건국하고 왕위에 있을 때 평양을 비롯한 한반도 서북지역에는 낙랑군이 굳건히 존재해 있었고, 평양 지역은 미천왕대에 들어서야 고구려에 복속된다. [5] 동명왕릉, 정릉사 등. [6] 정확히는 고조선( 기자조선?) 마지막 임금인 준왕의 공주라는 설정. [7] 주몽을 말한다. [8] 후정곡은 망국의 노래를 뜻한다. [9] 왕조는 망해도 대동강을 계속 흐른다는 뜻이다. [10] 망국의 노래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