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13:48:42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비에서 넘어옴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진흥왕 순수비
眞興王巡狩碑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창녕 진흥왕 척경비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파주 감악산비는 진흥왕 순수비 중 하나로 추정되나 확실하지 않음.


파일:진흥왕 순수비 지도.png
순수비의 분포도.[1]

1. 개요2. 역사3. 목록
3.1.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3.2. 창녕 진흥왕 척경비3.3.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3.4.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4. 관련 금석학 연구

[clearfix]

1. 개요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는 신라의 제24대 국왕인 진흥왕이 한반도 각지에 세운 순수척경비 4기를 가리킨다.

2. 역사

6세기 중반, 신라 24대 국왕 진흥왕은 신라 역사상 최고의 정복군주였다. 진흥왕은 정복전쟁을 벌여 경상북도 전역과 경상남도 동부, 충청북도 남부 정도의 영역에 한정된 기존 신라 영토를 가야 전역과 한강 유역, 그리고 지금의 함경도까지 한반도 각지로 확장했다. 그리고 새로 차지한 땅 이곳저곳에 직접 행차하여 구구절절 자신의 업적을 칭송하는 비석을 여럿 세웠다.[2]

순수비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삼국사기》 기록상 551년에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인 '낭성'에 순행했다는 기록이 있는 등, 진흥왕은 더 많은 곳을 순수했다. 어쩌면 순수비가 더 있는데 깊은 산 속에 있거나 오랜 세월에 넘어지고 파편으로 남아서 아직 발견을 못 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항 중성리 신라비 21세기에 새로 발견된 것처럼, 오늘날에도 잊혀진 금석문 발견이 가끔씩 있기 때문이다. 문서 아래에 있는 감악산비처럼 풍화되어 육안으로는 아예 안 보이는 것도 있기 때문에, 거기다 황초령비처럼 조각조각나 있는 상태라면 등산객이 바로 옆을 지나가면서도 눈치채지 못했을 수도 있다.

순수비의 건립 목적은 단순히 정복 활동 과시에만 그친 것은 아니고, 새로 신라에 편입된 현지 주민들을 교화하기 위해 명망 높은 승려를 대동하며 문화적으로 불교를 전파하는 등 활동도 있었다고 본다. 고대 한국인들이 직접 남긴 기록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 순수비에 새겨진 많은 정보는 중요한 사료가 되었고, 훗날 다시 발견하고 그 유래를 분석하는 과정은 한국 금석학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3. 목록

참고로 같은 진흥왕 시기에 세운 단양 신라 적성비는 순수비가 아니다. 고구려 영토인 적성 지역을 신라가 차지한 후, 신라에 협력한 '야이차'라는 적성 사람이 사고로 죽었는데, 남은 야이차의 가족에게 상을 내리고, 앞으로도 적성 사람들을 우대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사 관련 시험에서 이걸로 낚시하는 게 가끔 나왔다.

3.1.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북한산 비봉에 진흥왕이 설치한 비석. 대한민국의 국보 제3호. 문서 참조.

3.2. 창녕 진흥왕 척경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에 진흥왕이 설치한 비석. 대한민국의 국보 제33호. 문서 참조.

3.3.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평양성 (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대성구역 고구려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력포구역 고구려 고분군 (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만경대구역 법운암
모란봉구역 룡화사 · 평양성 (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강동군 단군릉
개성시
전체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전체 고구려 고분군 ( 강서삼묘 (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전체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전체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전체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전체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함경남도
전체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전체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전체 고구려 고분군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전체 성불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황초령비.jpg
황초령비가 있던 위치.
함경남도 함주군 하기천면 진흥리(眞興里)[3]에 진흥왕이 설치한 비석.

고구려가 지배하고 있던 현재의 북한 함경남도 해안 지역을 정복하고 568년 황초령 고개에 세운 순수비.[4] 현재는 북한에 있으며 북한의 국보 제110호이다. 진흥왕 때 신라 함흥 평야와 개마고원 일대까지 진출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함경남도 지역은 원산만 북쪽 지역으로, 나중에 삼국통일을 한 뒤에도 신라가 다시 차지하지는 못했다. 함흥은 수도 서라벌에서 직선거리로 480 km나 떨어졌다. # 고구려를 완전히 제압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이 당시 교통기술로는 함경도를 장기적으로 지배하기가 힘들었을 가능성이 높았는데, 아니나 다를까 진흥왕 사후 곧 고구려에게 빼앗겼다.

조선 중기 선조 대에 신립이 북병사로 있던 당시 탁본해 왔다고 조선 중기의 문신 차천로가 《오산설림》에 기록한 것으로 봐서 선조 시대까지는 황초령비가 온전히 전해진 것 같은데, 조선 후기에는 이미 세 조각으로 깨져서 이곳저곳에 묻혀 있었다고 한다. 정조 14년(1790) 홍양호가 황초령비의 근황이 궁금해서 함흥 통판으로 부임하는 유한돈에게 거기 가거든 황초령비가 있는지 확인해달라고 부탁했다. 몇 해 뒤 유한돈은 조정에서 이 비의 탁본을 자주 요구하자 그곳 백성들이 벼랑 아래로 밀어뜨렸다고 알려주었다.

이로부터 40여 년이 지나 순조 32년(1832), 북한산 순수비를 발견한 추사 김정희는 마침 절친한 벗 권돈인이 함경도 관찰사로 부임하게 되자 그에게 황초령비의 파편을 찾아볼 것을 권유했다고 한다. 권돈인은 마침내 비석 일부를 찾아내 관아에 옮겨 보존했다. 김정희는 비석을 찾아낸 것은 축하할 일이지만 관아가 아니라 원래 있던 제자리에 있어야 신라 진흥왕의 강역이 거기까지 닿았음이 증명된다고 비석을 옮겨달라 부탁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또 20년이 지난 철종 3년(1852), 김정희가 북청부에서 두 번째 유배를 살고 있을 때 마침 후배 윤정현(尹定鉉)이 함경도 관찰사로 부임해 오자 김정희는 또 황초령비의 원위치 복원을 부탁했다. 윤정현은 두 조각을 수습해 황초령 고개 바로 아래 중령진에 비각을 세우고, 이건기와 김정희가 써준 '진흥북수고경(眞興北狩古竟)'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동네 이름도 진흥왕에서 딴 진흥리가 되었다.
파일:황초령비 비각2.png 파일:황초령비 비각.png
황초령비 비각 (1911년경 촬영). 비석 중 오른쪽에 있는 것이 황초령비.

1931년 나머지 한 조각을 다시 발견해 같이 합쳤고, 이렇게 다시 이어붙이고 깨지고를 반복해서 현재는 판독할 수 없는 글자가 많다. 그런데 김정희의 의지와 달리 결국 비석은 다시 원래 자리에서 함흥으로 옮겨졌다. 비석 실물은 지금은 함흥시에 있는 함흥역사박물관에 보관 중이고 남한에는 모조품과 탁본들이 여러 박물관에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은 신라가 이렇게 북쪽까지 북진했을 가능성이 없다고 봐서, 순수비 비석 자체가 후대의 위작이라거나 고려시대 윤관의 여진 정벌 때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해 좀 더 남쪽 어딘가에 있던 비석을 북쪽 황초령에 옮겼을 것이라는 설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보다 더 북쪽인 마운령에서 마운령 순수비가 발견되어 설득력을 잃었다.

3.4.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평양성 (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대성구역 고구려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력포구역 고구려 고분군 (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만경대구역 법운암
모란봉구역 룡화사 · 평양성 (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강동군 단군릉
개성시
전체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전체 고구려 고분군 ( 강서삼묘 (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전체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전체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전체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전체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함경남도
전체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전체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전체 고구려 고분군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전체 성불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마운령비.jpg
함경남도 이원군 동면 용산리[5]에 진흥왕이 설치한 비석.

고구려가 지배하고 있던 현재의 북한 함경남도 해안 지역을 정복하고 568년에 이원군 동면 용산리 사동(寺洞) 만덕산[6] 봉우리 아래에 세운 순수비. 진흥왕 시기 신라의 북방 경계를 알려주는 귀한 사료로,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비 중 가장 먼 곳에 세운 비석이다. 황초령비와 마찬가지로 현재는 북한에 있으며 북한의 국보 111호로 지정되어 있다. 함경도 오지에 있어 신라 멸망 후 오랜 세월 잊혀져 있던 비석을 조선시대의 지리학자 한백겸이 확인했지만 이후 조선 후기에는 다시 위치가 잊혀져 김정희 시대에도 소문으로만 알려져 있었고, 워낙 먼 곳이라 직접 답사하기도 힘들다 보니 존재를 의심받았다. 현지 백성들은 비석 자체는 알았지만 한문으로 쓰여있는 비문을 읽지 못해 남이 장군의 비석으로 막연하게 잘못 불렀는데, 일제강점기 1929년 역사학자 최남선이 현지조사를 하여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혀냈다. 황초령비와 내용은 물론 왕을 옆에서 수행한 인물 명단도 거의 비슷해 거의 비슷한 시점에 같이 세웠다고 추정한다. 위 사진에서 보다시피 보존 상태가 다른 순수비보다 좋은 편이다. 그래서 훼손이 심한 황초령비의 내용에서 지워진 부분을 마운령비의 내용으로 대신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현재는 함흥역사박물관에 보관 중.
파일:마운령비.png
비양면(碑陽面; 전면)
태창 원년(太昌元年) 세차(歲次) 무자(戊子) ○○ 21일 ○○ ○흥대왕(興大王)이 ○○를 순수(巡狩)하여 돌에 새겨 기록하였다.
무릇 순풍(純風)이 일지 않으면 세도(世道)가 참됨에 어긋나고, 그윽한 덕화(德化)가 펴지지 않으면 사악(邪惡)한 것이 서로 경쟁하도다.
그러므로 제왕이 연호(年號)를 세움에 몸을 닦아 백성을 편안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朕)은 역수(曆數)가 몸에 이르러 위로는 태조(太祖)의 기틀을 이어받아 왕위를 계승하여, 몸을 조심하며 스스로 삼가나 하늘의 도리를 어길까 두렵다.
또 하늘의 은혜를 입어 운수를 열어 보여주며, 명명한 가운데 신지(神紙)에 감응되어 부명(符命)에 응(應)하고 셈대에 적합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사방으로 영토를 개척하여 널리 백성과 토지를 획득하니, 이웃 나라가 신의를 맹세하고 화사(和使)가 서로 통하여 오도다.
아래로 스스로 헤아려 신구민(新舊民)을 무육(撫育)하였으나 오히려 말하기를 왕도의 덕화(德化)가 고루 미치지 아니하고 은혜가 베풀어짐이 있지 않다고 한다.
이에 무자년(戊子年) 가을 8월에 관경(管境)을 순수(巡狩)하여 민심을 살펴서 위로하고 물건을 내려주고자 한다. 만약 충성과 신의와 정성이 있거나, 재주가 뛰어나고 재난의 기미(機微)를 살피고, 적에게 용감하고 싸움에 강하며, 나라를 위해 충절을 다한 공이 있는 무리에게는 벼슬과 ○(상품)을 상(賞)으로 더하여 주고 공훈(功勳)을 표창하고자 한다.
수레를 타고 나가 10월 2일 계해(癸亥)에 이르러 … 인하여 변계(邊堺)지역을 설유(說諭)하였다.
비음면(碑陰面; 후면)
이때 수레를 따른 자로 사문(沙門) 도인(道人)은 법장(法藏)과 혜인(慧忍)이다.
대등(大等)은 훼부(喙部) 거칠부지(居朼夫智) 이간(伊干), 내부지(內夫智) 이간(伊干), 사훼부(沙喙部) 모력지(另力智) 잡간(迊干), 훼부(喙部) 복동지(服冬知) 대아간(大阿干), 비지부지(比知夫知) 급간(及干), 미지(未知) 대나말(大奈末), 급진부지(及珎夫知) 나마(奈麻)이다.
집가인(執駕人)은 훼부(喙部) 만혜(万兮) 대사(大舍), 사훼부(沙喙部) 모지(另知) 대사(大舍)이다.
이내종인(裏內從人)은 훼부(喙部) 급혜차(汲兮次) 대사(大舍), 사훼부(沙喙部) 비시지(非尸知) 대사(大舍)이다.
약인(○人)은 사훼부(沙喙部) 위충지(爲忠知) 대사(大舍)이고, 점인(占人)은 훼부(喙部) 여난(与難) 대사(大舍)이고, 약사(藥師)는 독지차(篤支次) 대사(大舍)이다.
나부통전(奈夫通典)은 본피부(本彼部) 가량지(加良知) 소사(小舍)이고, ○○는 본피부(本彼部) 막사지(莫沙知) 길지(吉之)이고, 급벌참전(及伐斬典)은 훼부(喙部) 부법지(夫法知) 길지(吉之)이다.
이내(裏內)○○○○○○○명(名) 길지(吉之)이고, 당래객(堂來客) 이래객(裏來客)은 50이고, 외객(外客)은 ○○ ○○○○○○○○○○지(智) 사간(沙干)이다. 조인(助人)은 사훼부(沙喙部)의 순지(舜知) 나말(奈末)이다.

이종욱(서강대 사학과 교수) 역

황초령비와 마운령비의 내용은 요약하면 태창 원년(진흥왕 29년, 서기 568년)에 진흥왕이 순수에 나서 영토를 살피고 새긴다는 내용, 순수의 의미와 이유로 왕도정치의 표방, 진흥왕이 영토를 넓히고 백성과 토지를 얻었다는 자부심, 아직 왕이 은혜가 미치지 못한 곳이 있어 영토를 순수하고 민심을 위로한다는 내용 등을 열거하고 있다. 또 적에 맞서 용감하게 싸워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는 벼슬과 상을 내리겠다고 약속하는 부분도 있다. 그 뒤에는 진흥왕을 곁에서 수행한 여러 신하들의 명단을 쭉 써놓은 수가인명이 등장하는데 비석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는 승려, 고위 관리, 점쟁이, 약사 등 자잘한 임무를 맡은 사람들까지 기록해 놓아 진흥왕을 따라나선 다양한 구성원들을 엿볼 수 있다.

4. 관련 금석학 연구

4.1. 감악산비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감악산 정상에 있는 비석이다. 삼국시대 비석임은 분명한데 근처 북한산 순수비와 형태나 입지가 비슷하므로 이 또한 진흥왕 순수비가 아닌가 하지만, 오랜 세월 비문이 비바람에 닳아 없어져 읽을 수 있는 글자가 고작 열두어 자 남짓이므로 무어라고 판단할 근거가 없다. # 혹은 진흥왕 대신 진평왕이 세운 순수비라는 설도 있다.

감악산 신라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곳으로 취급하였다. 고구려 당나라와 벌인 칠중성 전투가 여러 차례 있었고, 통일기 이후에는 국가에서 감악산에 소사(小祀)의 격으로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감악산비는 현대에도 '빗돌대왕'이라고 불리는 민간신앙의 대상이다. #

2019년 9월 24일, 감악산비 글자 몇 자를 350년 만에 더 해독해냈다. # 광(), 벌(), 인() 등 글자들이 있었으므로 영토정벌 후 세운 순수비일 가능성에 무게가 쏠렸다. 특히 벌 자는 ' 이벌찬'의 벌처럼 신라의 관등명을 뜻하는 글자일 수도 있다.

2022년 12월 8일, 정밀 조사를 위해 탁본을 떴는데 박홍국 위덕대 연구교수가 전(典)이라는 글자를 추가로 발견했다. 이 典자는 기존에 알려진 당대 신라 비석에서 자주 나오는 글자이기 때문에 진흥왕 순수비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

현재 부분 판독한 감악산비 전문은 아래와 같다.
光....伐....人....中....金...
典.....
광....벌....인....중....금....
전.....

4.2. 울진 성류굴 명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류굴 문서
번 문단을
울진 성류굴 명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해안선이 오늘날과 다소 다른데, 신라시대 당시 대동강, 한강과 낙동강 하구 영역에 넓은 만(灣)이 형성되어 있었다. [2] 또한 순수비의 '순수(巡狩)'라는 표현은 연호 제정과 같이 황제(천자)만이 쓸 수 있었던 용어라는 점에서 전성기 시절 신라의 자부심이 얼마나 컸는지도 알 수 있다. [3] 광복 당시 주소 [4] 예나 지금이나 지리적 요충지임은 마찬가지라서 이 황초령은 6.25 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의 전장과도 굉장히 가깝다. [5] 광복 당시 주소 [6] 단천과의 경계선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