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
흥덕왕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 생애 | |
관련 문서 | 실상사 · 흥덕왕릉 | ||
관련 기타 | 청해진 |
1. 개요
|
<colbgcolor=#315288> 실상사 관련 영상 |
|
실상사 위성사진[1] |
한자: 實相寺 / 로마자: Silsangsa
지리산 북쪽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위치한 남북국시대 신라의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이다.
호국사찰로 잘 알려져 있다.[2] 현재는 매우 아담한 절로, 쌍 석탑과 하나의 석등과 조그마한 전각들이 있을 뿐이지만, 과거에는 상당히 규모가 컸던 절로 추정된다. 심지어는 2000년 즈음에야 국내에서 흔치 않은 규모인 목탑지가 발견되었다.
실상사 일원은 1984년 10월 19일 사적 제309호로 지정되었다. 2011년 7월 28일엔 고시에 따라 남원 실상사로 공식명칭이 바뀌었다.
2. 역사
신라 흥덕왕 3년(828)에 지장대사의 제자인 증각대사가 당나라에서 돌아와 그의 고향이었던 지금의 자리에 실상사를 건립했다. 증각은 선종의 승려로, 그가 세운 아홉개의 절인 구산선종(九山禪宗)의 첫 번째가 이 실상사다.흥덕왕은 이 절을 세울 수 있게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해줬고 왕은 태자인 선광(宣光)과 함께 이 절에 귀의했다. 이 때문인지 증각은 선종의 유행을 일으켰고, 실상사도 계속 번창했다. 이후 통일신라 시기에 쌍탑식의 가람을 받아들여 두 개의 석탑을 세우게 된다.
조선 시대 이후로는 수난이 끊이질 않는데, 세조 때 1468년에 원인모를 화재로 전소되었다는 설과 그 뒤 정유재란때 왜구에 의해 전소되었다는 설이 있다. 어느 것이 진실인지는 알 수 없다.
이후 숙종 5년(1680)까지 실상사의 승려들은 실상사 안의 백장암이란 작은 전각에서 생활해야 했고, 실상사 터에는 철불, 석탑, 석등 등만 남아 있었다. 그러다가 숙종 때 왕에게 승려들이 상소문을 올려 36채의 건물을 중건하였고, 이후 순조 21년(1821)에 다시 중건을 하게 된다.
그러나 고종 19년(1882) 근처 유생들이 숭유억불과 절터를 가로챌 목적으로 방화를 해서 또 홀라당 타버리고, 결국 고종 21년(1884)에 조촐하게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로 조선시대에 이런 유생들의 절 방화는 그리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었다. 회암사 참고.
한국 전쟁 당시에는 대한민국 국군과 공비들이 번갈아가며 점령하였지만, 다행히 월정사처럼 불타지는 않았다.
현재의 실상사는 지역사회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에 주력하고 있다. 실상사를 중심으로 인드라망공동체를 만들어 대안학교(작은학교), 귀농자 마을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2.1. 실상사 목탑과 발굴
|
|
<colbgcolor=#315288> 2000년대 발굴로 추정복원된 실상사 대목탑[3] | <colbgcolor=#315288> 발굴보고서 작성당시 추정한 실상사 대목탑 |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발굴이 실시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초석들의 한 변이 약 23.2m 정도의 크고 아름다운 목탑지가 발견되었다. 이 정도 크기의 초석 면적은 약간(수십 cm)이긴 하지만 황룡사 9층 목탑보다도 더 큰 정도라서 대단히 큰 목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기다가 칸 수도 정면 7칸 측면 7칸으로 황룡사와 같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록은 전혀 없기 때문에 현재는 계속 연구중일 따름이다. 남원은 현대의 광역시와 비슷한 통일신라의 5소경 중 하나일 정도로 당시 호남지방에서 손꼽히는 중요 도시였기 때문에 그런 남원의 고찰 실상사의 규모와 역할도 현대인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컸다고 추측할 수밖에 없다.[4]
|
<colbgcolor=#315288> 발견당시 모습 |
2.2. 실상사 고려시대 정원시설 발굴
|
<colbgcolor=#315288> 발굴 당시 모습 |
그야말로 크고 아름답다. 발굴 결과 강돌을 바닥에 촘촘히 깐 평면 타원형의 독특한 모습의 연못과 여기에 물을 끌어들이는 입수로(入水路)와 물을 빼내는 배수로, 그리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 건물터 2동을 비롯한 정원시설이 발견되었다.
특히 중앙의 연못인 원지(苑池)와 관련 수로 시설은 그 규모와 완벽한 상태, 그리고 아름다운 건축 양식이 단연 관심을 끈다. 길이 16.05 m에 폭 8.06 m인 연못은 바닥에 강돌을 대체로 한 줄씩 편평하게 깔아 처리하는 한편 주변 호안석축(湖岸石築) 또한 같은 종류의 강돌을 쌓아올려서 만들었다. 바닥 중앙에는 다른 강돌과는 달리 청색 빛이 도는 돌을 안치했다. 이는 아마도 원지를 만들 때 기준점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돌 사이에는 명황색 점토와 숯을 깔아 방수를 했고, 뻘층이 확인되지 않는 것을 보아 연꽃류는 기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42.6미터에 달하는 직선 입수로와 그것에 맞대어 만들어진 곡선형 수로는 마치 경주의 포석정처럼 술잔을 띄워놓고 풍류를 즐기는 용도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곡수 형태의 수로는 길이 13.8 m에 폭 1.0 m다.
또한 이 일대에서 고려 초기 유물이 집중 출토하는 점으로 보아 이 정원시설은 실상사 경내 목탑과 거의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
|
<colbgcolor=#315288> 사진 왼편이 현재의 실상사다. |
|
<colbgcolor=#315288> 일본 헤이조쿄의 복원된 연못[5] |
2.3. 실상사 통일신라 시대 선종사찰의 장고(醬庫) 발굴
남원 실상사에서 통일신라 시대 선종사찰의 장고(醬庫) 확인2015년 발굴조사에 따르면 이번엔 실상사에서 거대한 장고가 발견되었다. 장고란 된장 고추장 할 때 쓰는 장과 창고의 고가 결합된 말로, 간단히 말하자면 장독대들이 있던 창고다.
현재 발굴된 장독대를 묻는 구덩이만 해도 무려 38개나 되며, 중심 칸만 해도 무려 5.4 m로, 그곳에 4열 간격으로 열을 맞추었다고 하며, 묻는 구덩이만 해도 38개인데 만약 묻혀있지 않았던 독들까지 합치면 장고의 실제 크기는 꽤나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그 커다란 장고들 관리하던 실상사가 실제로는 굉장히 컸던 거대 사찰이였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주된 발굴성과이다.
3. 소장 문화재
3.1.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대한민국의 보물 | ||||
32호 | ← | 33호 | → | 34호 |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
|
<colbgcolor=#315288> 일제강점기 모습 | <colbgcolor=#315288> 현재 모습 |
승탑은 팔각원당형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높이는 2.42m로, 그 조각이 상당히 섬세하다. 하대석과 상대석에는 연꽃이 조각되었으며, 탑신에는 문비와 주악상이 새겨졌다. 특히 옥개석의 기와와 서까래가 잘 남아 있는데, 우동에는 잡상이 남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지금은 사라진 상태다.
극락전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수철, 왼쪽에 홍척의 탑과 탑비가 놓여 있다.
3.2.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대한민국의 보물 | ||||
33호 | ← | 34호 | → | 35호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석등 |
|
<colbgcolor=#315288> 수철화상탑비 |
대개의 통일신라시대 탑비와는 달리 거북이 아니라 일반적인 비석처럼 안상이 새겨진 장방형 비부에 세웠다. 비좌에는 큰 복련이 둘러져 있다. 이수에는 두 마리의 반룡이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이 새겨져 있으며, 가운데에는 전서로 능가보월탑비라 음각되어 있다.
비문 내용은 천 년이 넘는 세월 동안 풍화되어 현재는 거의 판독할 수 없는 상태다.
3.3. 남원 실상사 석등
자세한 내용은 남원 실상사 석등 문서 참고하십시오.3.4. 남원 실상사 승탑
대한민국의 보물 | ||||
35호 | ← | 36호 | → | 37호 |
남원 실상사 석등 | 남원 실상사 승탑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
|
<colbgcolor=#315288> 남원 실상사 승탑 |
상대석과 하대석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으며, 지붕돌의 끝에도 귀꽃이 새겨져 있으나 대부분 훼손되었다. 탑신에는 문비 외에는 별다른 조각이 없다. 상륜부는 원형의 석재로 마무리되어 있다. 옆에 석종형 부도가 하나 더 있다. 조각이 그리 우수하지는 못하다.
3.5.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대한민국의 보물 | ||||
36호 | ← | 37호 | → | 38호 |
남원 실상사 승탑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
<colbgcolor=#315288> 2015년의 모습 |
실상사의 삼층석탑은 상륜부까지 온전하게 남아 있는 탑으로 유명하다. 이곳 실상사 외에는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등이 전부다. 동탑은 노반(露盤) - 복발(覆鉢) - 앙화(仰花) - 보륜(寶輪) - 보개(寶蓋) - 수연(水烟) - 용차(龍車) - 보주(寶珠) 이 모두가 남아 있으며, 서탑 역시 수연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아 있다.
불국사 삼층석탑의 상륜부를 복원할 때 이 삼층석탑을 참고했다. 다만, 상륜부가 다소 화려한 감이 없지 않아 석가탑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낙수면의 경사가 상당히 세어 다소 불안정해 보인다.
3.6.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대한민국의 보물 | ||||
37호 | ← | 38호 | → | 39호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
<colbgcolor=#315288>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팔각원당형으로, 상대석과 하대석에는 연꽃을 새겼으며, 중대석에는 안상을 새겼고 그 안에는 비천상을 새겼다. 탑신과 상대석 사이에는 난간을 새긴 석재가 끼여 있다. 탑신에는 문비와 사천왕을 새겼다.
탑신와 옥개석에는 목조건물과 같이 가구를 조각한 점이 눈에 띈다. 주두, 평방, 창방, 화반 등이 조각되었으며, 서까래와 기왓골도 새겼다.
상륜부는 앙화와 보륜, 보주가 남아 있다.
3.7.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대한민국의 보물 | ||||
38호 | ← | 39호 | → | 40호 |
남원 증각대사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
|
<colbgcolor=#315288>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3.8.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자세한 내용은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문서 참고하십시오.3.9. 남원 실상사 목조아미타불상
자세한 내용은 남원 실상사 목조아미타불상 문서 참고하십시오.4. 암자들
4.1. 백장암(百丈庵)
|
<colbgcolor=#315288>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
4.1.1.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자세한 내용은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문서 참고하십시오.4.1.2.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대한민국의 보물 | ||||
39호 | ← | 40호 | → | 41호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
<colbgcolor=#315288> 실상사 백장암 석등 |
지대석에는 안상과 복련이 새겨졌고, 상대석에는 앙련이 새겨져 있다. 간주석에는 아무것도 새겨지지 않았다.
앞의 삼층석탑과 같이 파만자난간이 새겨졌다.
4.2. 약수암(藥水庵)
실상사와 마주보고 있는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작은 암자다.4.2.1. 남원 실상사 약수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대한민국의 보물 | ||||
420호 | ← | 421호 | → | 422호 |
백장암청동은입사향로 | 남원 실상사 약수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남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
|
<colbgcolor=#315288> 약수암 목각불탱 |
목각불탱 중에서는 그 크기가 아담한 편이나, 조각된 불상의 수가 적어 각 불상의 크기는 큰 편이다.
현재는 금산사 성보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
5. 외부 링크
[1]
종각 옆의 거대한 목탑지에 주목하자.
[2]
일본이 흥하면 실상사가 망하고 일본이 망하면 실상사가 흥한다는 전설이 있다.
[3]
목탑에 하양식으로 복원도를 그린것이 인상깊다.
[4]
비슷한 예로 마찬가지로 5소경이었던
충주시에 있는 한국 최대의 석탑인
중앙탑이 있다.
[5]
선종(禪宗) 양식의 정원이라는 말도 있는데, 일본 나라시대에는 아직 선종이 전래되지 않았고, 가마쿠라시대에나 선종이 전래되므로 선종 양식의 정원보다는, 경주 월지(안압지) 같은 정원이라고 보아야 한다.
[6]
남원 실상사 약수암, 서울 경국사, 예천 용문사, 문경 대승사, 상주 남장사 보광전,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일반적으로 불상 뒤에 불화를 배치하는 것처럼 불상의 뒤에 목각불탱을 세워 놓아 불화를 대체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