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15:00:13

코리아케라톱스

코레아케라톱스에서 넘어옴
코리아케라톱스[1]
Koreaceratops
파일:external/blogs.smithsonianmag.com/koreaceratops-skeleton.jpg
백악기 전기
1억 350만 년 전~1억 250만 년 전
아시아
학명
Koreaceratops hwaseongensis
Lee et al., 2011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조반목Ornithischia
아목 †각각아목Cerapoda
하목 각룡하목Ceratopsia
계통군 †신각룡류Neoceratopsia
코리아케라톱스속Koreaceratops
  •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K. hwaseongensis) 모식종
    Lee et al., 2011
파일:20101220-01-a.jpg
복원도
파일:Koreaceratops_skeletal_drawing_(PARK_&_SON,_2022).jpg
골격도

1. 개요2. 특징3. 각룡류 진화의 실마리4. 천연기념물 지정5. 등장 매체

[clearfix]

1. 개요

백악기 전기 알바절, 아시아에 서식했던 각룡류 공룡. 화석은 2008년 경기도 화성시 탄도방조에서 직원이 처음 발견했다. 2011년 초 이융남 박사가 '한국의 뿔 달린 얼굴'이라는 뜻으로 '코리아케라톱스'라 명명하였다.

발견 당시 화석이 잘려나가 뒷부분만 발견되었는데, 해당 화석이 방조제에 쓰이기 전까지는 더 많은 부분이 있었다고 추정한다. 또한 화석화된 개체는 죽을 당시 8살로 추정되고 성체가 아니었다고 한다. #

2. 특징

몸길이는 1.3m 정도 되며 아직 다 자라지 않은 모식 표본이 기준이기 때문에 성체는 더 컸을 것이다. 발견 부위는 좌골, 뒷다리 일부, 꼬리뼈로 꼬리가 비교적 두껍고 길며 발은 비교적 작다. 꼬리뼈의 구조가 프로토케라톱스와 유사함을 보고 각룡류라고 알아냈다고 한다. 가장 가까운 종류는 중국에서 발견된 아르카이오케라톱스.

코리아케라톱스의 가장 큰 특징은 미추의 높은 신경배돌기며 가장 높은 것은 꼬리뼈 높이의 다섯 배 정도 되었다. 다른 각룡류 분기군에서도 비슷한 특징이 나타나기에 일각에서는 프로토케라톱스와 같은 원시 각룡류가 반수생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코리아케라톱스의 꼬리 구조 역시 헤엄 치기에 적합한 구조라고 주장한다.[2] 과거 하드로사우루스류 역시 비슷한 구조의 꼬리 때문에 한때 수생생활을 하는 공룡이라고 여겼지만, 이후 꼬리 구조가 수생 생활과 무관하다는 것이 밝혀진 선례가 있는지라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도록 하자. 다만 수각류 중에서 스피노사우루스는 정말로 지느러미가 달린 꼬리를 이용해 물 속에서 헤엄치며 반수생 생활을 했다고 본다.

현재 화성시 공룡알 방문자 센터에 화석 레플리카와 함께 복원 모형이 전시되었다.

파일:external/www.clevescene.com/1291657219-koreaceratops.jpg

현재 국내에서 묘사되는 코리아케라톱스 이미지의 기준처럼 자리잡은 팔레오아티스트 줄리어스 초토니(Julius T. Csotonyi)의 코레아케라톱스 복원도. 이 디자인은 이후 화성시 마스코트 코리요에도 적용되었고 1억년 뿔공룡의 비밀에서도 이 디자인으로 나왔다.[3] 이에 대해 여러모로 말들이 많지만 정작 원작자는 자신의 디자인이 널리 쓰인다며 기뻐했다고.

3. 각룡류 진화의 실마리

본래 각룡류는 쥐라기 후기 중국에서 발굴된 인롱을 시초로 아시아에서 기원하였다. 프시타코사우루스가 중국, 몽골, 태국, 시베리아 등지에서 발견되었으나 대부분의 원시 각룡류의 화석은 지금까지 중국의 후기 쥐라기와 전기 백악기 지층에서만 발견됐기 때문이다.
기존의 각룡류의 계통발생학적 연구는 주로 머리뼈에 한정되어 이루어져왔기 때문에 비록 머리뼈가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코리아케라톱스는 하반신 화석의 발견으로 인해 머리뼈와 몸뼈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포괄적으로 각룡류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data matrix에 새로운 3개의 characters를 더하여 총 136개의 characters를 21개의 ceratopsian taxa에 coding 하여 PAUP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4개의 most parsimonious trees가 구해졌는데 이들 4개의 분기도의 차이는 단지 Udanoceratops, Leptoceratops, Montanoceratops, Prenoceratops의 내부 상대적 위치(internal topology)의 차이이며 4개의 분기도를 종합한 결과 총 241개의 steps를 가진 strict consensus tree(CI 0.672, RI 0.785)가 구해졌다.

분기도는 각룡류의 진화방향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Ceratopsoidea는 13개의 synapomorphies로 통합되며 이들 대부분은 진화된 각룡류에 있어 몸 크기가 커지면서 몸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비례적으로 골격이 강건해지는 것과 관계가 있다. Neoceratopsia를 정의하는 세가지 몸뼈의 특징은 신경배돌기와 혈관궁에 있으며 코리아케라톱스와 더 진화된 neoceratopsians들에 적용되는 한 가지 진화된 특징은 혈관궁의 길이보다 더 긴 신경배돌기이다. 이렇게 긴 신경배돌기는 코리아케라톱스를 포함해 Montanoceratops,Udanoceratops, Protoceratops, Bagaceratops에 더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이 특징은 각룡류로 진화되면서 이차적으로 사라진다. 따라서 서너 종의 원시 각룡류에서 신경배돌기가 길게 발달하는 것은 진화적인 의미를 갖기 보다는 기능적인 역할에 의한 수렴진화라 볼 수 있다. 프로토케라톱스의 높고 납작한 꼬리는 과거 여러 학자들에 의해 헤엄을 치는데 이용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이지만 지방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조라는 주장과 열을 발산하기 위한 주장도 있었다.

이융남 (2011). 코리아케라톱스(Koreaceratops)에 의해 밝혀진 각룡류 공룡 진화의 새로운 증거들. 고생물학회지, 27(2), 288-289

4. 천연기념물 지정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2. 진도의 진도개
  3. 해남학도래지
  4. 해남학번식지
  5.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6.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7. 어의궁의은행나무
  8. 서울 문묘 은행나무
  9. 고양 송포 백송
  10. 진천의측백수림
  11.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12.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13.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14. 울주 목도 상록수림
  15.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16.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7. 선남리의음나무
  18.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19. 금란굴
  20.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21.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22.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23.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24.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2. 보은 속리 정이품송
  3. 보은의백송
  4. 부여의동매
  5. 예산 용궁리 백송
  6.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7.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8. 서귀포의곰솔
  9.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10.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11.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12.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3.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14.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15.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6. 청송의향나무
  17.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8.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9. 음성의학번식지
  20. 예산삽교의학도래지
  21.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22.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23.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24. 구례원달리의산수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2.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3. 함양 상림
  4. 울진 성류굴
  5.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6.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7. 울진 후정리 향나무
  8.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9. 제주 산천단 곰솔 군
  10.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11.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12.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13.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14.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15.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16.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17.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18.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19. 홍도 천연보호구역
  20.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21.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22.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23.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24.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1.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2. 흑두루미
  3.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4.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5. 통영 도선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6.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7.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번식지
  8.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
  9.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10. 제주한림용암동굴지대(소천굴, 황금굴,협재굴)
  11.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12. 금강의 어름치
  13.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14. 서울 선농단 향나무
  15.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16. 까막딱따구리
  17. 독수리(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18. 소백산 주목군락
  19. 철원 철새 도래지
  20.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21.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22.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23.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24.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2.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3.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4. 청원 공북리 음나무
  5.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
  6.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7.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
  8. 부산 구포동 당숲
  9. 무안 현경면 팽나무
  10.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11. 울진 화성리 향나무
  12. 청송 장전리 향나무
  13.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14.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
  15.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
  16.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17.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
  18.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
  19.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20. 연기 봉산동 향나무
  21.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22. 매류(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황조롱이)
  23. 올빼미류, 부엉이류(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24. 기러기류( 개리, 흑기러기)
1.#326 검은머리물떼새
  1. 원앙
  2. 하늘다람쥐
  3. 반달가슴곰
  4. 수달
  5. 점박이물범
  6.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
  7.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8.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9.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0. 독도 천연보호구역
  11.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
  12.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3.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14.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15.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
  16.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17.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18.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19. 통영 추도 후박나무
  20.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21. 제주의 제주마
  22.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23. 영월 청령포 관음송
  24. 명주 삼산리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1.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2. 제주 천제연 난대림
  3. 제주 천지연 난대림
  4.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5. 이천 도립리 반룡송
  6.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7. 괴산 적석리 소나무
  8. 제주 당처물동굴
  9.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10.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11.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12.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13.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14.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5.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1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17.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
  18.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19.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20.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21. 장수 장수리 의암송
  22.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23. 영양 답곡리 만지송
  24.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2. 성주 경산리 성밖숲
  3.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4. 의성 사촌리 가로숲
  5.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6.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7.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8.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9. 거창 당산리 당송
  10.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11.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12.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13.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14.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15. 태백 장성 전기고생대 화석 산지
  16.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17.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18.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19.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20.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
  21.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22.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23. 지리산 천년송
  24. 문경 존도리의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2.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3.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4.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5.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7.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8. 정선 산호동굴
  9. 평창 섭동굴
  10.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11.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12.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13. 영덕 도천리 도천숲
  14.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15.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16. 제주 물장오리 오름
  17.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18. 영양 무창리 산돌배
  19. 강릉 방동리 무궁화
  20.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21.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22.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23.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24.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1. 의성 빙계리 얼음골
  2. 이밀양 만어산 암괴류
  3.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4.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5.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6.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7.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8.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9.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10.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11.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12. 독도 사철나무
  13.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14. 경주개 동경이
  15.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16. 평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17.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18. 제주 강정동 담팔수
  19.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
  20. 제주 흑우
  21.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22.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23. 정선 용소동굴
  24. 제주 흑돼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문화재청 홈페이지 : 화성 뿔공룡(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골격 화석 (華城 뿔恐龍(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骨格 化石)
한반도에서는 첫 발견된 각룡류 공룡(일명 “뿔공룡”)화석으로 중생대 전기 백악기(약 1억2천만년 전)에 각룡류 공룡이 한반도에 살았음을 알 수 있음.

살아있을 때의 이 공룡의 전체 길이는 약 2.3미터로 추정되며, 계통발생학적 연구 결과 이족보행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각룡류의 걸음걸이 진화(이족보행에서 사족보행으로 진화)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어 초기(원시적인) 각룡류의 보행특성을 이해하는 중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한반도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각룡류 화석으로 국제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Koreaceratops hwaseongensis)(“화성에서 발견된 한국 각룡류 공룡”이란 뜻)로 명명됨.

문화재청에서 2022년 10월 7일에 위의 세 가지 근거를 들어 모식종의 골격 화석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국내의 화석 중 최초로 등재된 골격 화석이다.

5. 등장 매체

다큐멘터리에서는 MBC 공룡의 땅에서 출연. 방영 당시에는 아직 정식으로 명명되기 전이라 극중에서는 '공룡 X'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초반부에 발견되는 장면이 나오고 이후 이융남 박사가 그 화석을 연구실로 가져와 해체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후에는 몽골 탐사 파트에서 이융남 박사가 동행한 학자들에게 보여주는 사진자료로 등장.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에 등장하는 동물들을 공개할 당시에는 정작 이 공룡과 코레아노사우루스가 없었으나, 2014년 1월 27일과 2월 3일에 MBC의 다큐멘터리인 1억년 뿔공룡의 비밀의 2부 주제로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심지어 이 공룡의 애니매트로닉스도 만들어졌다.



화성시의 적극적인 푸시에 힘입어 현재는 코리요라는 마스코트 캐릭터로서 화성시의 상징으로 등극했다. 화성시가 운영하는 여러 공공장소에 방문해보면 이 녀석의 동상을 쉽게 볼수 있으며 화성시 곳곳에 코리요의 동상이 있다. H버스 도색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영화 다이노X 탐험대가 이 공룡에 대해 다룬다.

2021년 8월 16일 출시된 스팀의 인디게임 The Depths: Prehistoric Survival에서 등장 확정되었다.
그치만 해당게임이 현재까지도 출시가 되고있지않아서 사실상 무산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듯.


[1] 코레아케라톱스라고 하기도 한다. [2] 고래처럼 수직으로 꼬리를 저을 수 없어 수영에 적합하지 않다는 얘기가 있지만 이는 적절한 반박의 근거가 될 수 없는 것이, 당장 악어나 물고기들이 헤엄칠 때 어떻게 꼬리를 사용하는지 생각해보면 답은 나온다. [3] 이쪽 업계에서는 꽤 흔한 일로 특히 공룡대탐험 이후로 각종 매체에서 등장하는 고생물을 복원할 때 이쪽 복원도를 수렴하는 일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마이너한 속이었다가 하루아침에 인지도가 급상승한 리오플레우로돈 같은 경우가 대표적.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