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8:05:33

최훈재

최훈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조호 (1) {{{#!folding (12명) {{{#!folding (8명) {{{#!folding (9명) {{{#!folding (7명)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노찬엽
정태관
김영직
이국성
이용철
김상호
김기범
최훈재
나웅
김동수
이병훈
송구홍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임선동 이상훈 유지현 심재학 이정길
{{{#!folding (고졸)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이병규
{{{#!folding (고졸)
조인성
{{{#!folding (고졸)
김상태
{{{#!folding (고졸)
최경환 이동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김광희 박경수 장진용 박병호 김기표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1) 2011년 (1)
봉중근
김유선
이형종 오지환 신정락 (1) 임찬규 (1)
2012년 (1) 2013년 (1) 2014년 2015년 2016년
조윤준 (1) 강승호 (1) 임지섭 김재성 김대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고우석 김영준 이정용 이민호 강효종
2022년 2023년 (1) 2024년 (1) 2025년 (1) 2026년 (1)
조원태 김범석 (1) 지명권 양도 김영우
(1) 전면 드래프트 시행연도
(2) 지명 후 미입단
}}}}}}}}}

최훈재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G 트윈스 우승 엠블럼 V2.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9.svg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3.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1994 1997 2001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0> 1982~1983 1984 1985~1986 1987 1988
이종도
이해창 김재박 이광은 신언호
1989 <rowcolor=#fff> 1990~1991 1992~1993 1994~1995 1996
이광은 김상훈
김동재 노찬엽
최훈재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노찬엽
김동수
송유석 김선진 김정민
양준혁 (오프시즌 기간 주장)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서용빈 유지현
이상훈 이병규 조인성 서용빈
<rowcolor=#fff> 2007~2008 2009 2010~2011 2012~2013 2014~2015
이종열 조인성 박용택 이병규 이진영
<rowcolor=#fff> 2016~2017 2018 2019~2021 2022~2023 2024
류제국 박용택 김현수 오지환
김민성 (임시 주장)
오지환 김현수
<rowcolor=#fff> 2025~
박해민 }}}}}}}}}

{{{#fff [[LG 트윈스|LG 트윈스]] 등번호 8번}}}
김인식
(1989)
최훈재
(1990~1996)
허문회
(1997~2001)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10번
장성호
(1996)
최훈재
(1997~1998)
양준혁
(1999)
두산 베어스 등번호 16번
권명철
(1998~2001)
최훈재
(1999~2001)
이재영
(2002~2005)
두산 베어스 등번호 76번
우경하
(1999~2002)
최훈재
(2003~2010)
장원진
(2011~2020)
NC 다이노스 등번호 75번
팀 창단 최훈재
(2012~2016)
이대환
(2017)
{{{#fff [[kt wiz|kt wiz]] 등번호 75번}}}
박재현
(2014~2016)
최훈재
(2017~2020)
채종국
(2021)
}}} ||
}}} ||
파일:external/ncdinos.firstmall.kr/70_1395910781_27175914_profile.jpg
최훈재
崔勳載 | Choi Hun-Jae
출생 1967년 1월 21일 ([age(1967-01-21)]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영일초 - 중앙중 - 중앙고 - 단국대[1]
포지션 우익수, 1루수, 지명타자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89년 1차 지명 ( MBC)
소속팀 MBC 청룡- LG 트윈스 (1989~1996)
해태 타이거즈 (1997~1998)
두산 베어스 (1999~2001)
지도자 두산 베어스 2군 타격코치 (2003)
두산 베어스 1군 타격코치 (2004~2006)
두산 베어스 2군 타격코치 (2007~2010)
NC 다이노스 타격코치 (2012)
NC 다이노스 1군 타격코치 (2013)
NC 다이노스 2군 타격코치 (2014)
NC 다이노스 1군 타격보조코치 (2015)
NC 다이노스 2군 타격코치 (2016)
kt wiz 1군 외야수비·주루코치 (2017~2018)[2]
kt wiz 2군 타격코치 (2018)[3]
kt wiz 잔류군 타격코치 (2019~2020)
서울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1)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 (2007)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여담5. 연도별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前 프로야구 선수이자 프로야구 코치.

2. 선수 경력

서울영일초, 중앙중, 중앙고 시절 1983년 13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마산고를 상대로 3점 홈런을 기록한 적이 있으며, 단국대(1985학번) 시절 1988년 국가대표로 1988 서울 올림픽에 참가했다. 1989년 MBC 청룡에 1차 2순위로 입단했다. 주 포지션은 1루수였지만, 팀의 1루 자리는 최훈재의 입단 전해인 1988년 타격왕을 차지하기도 했던 정상급 교타자인 김상훈이 차지하고 있었기에 주전 자리가 쉽게 나지 않았다.

1990년 1월 MBC 청룡이 럭키금성그룹에 인수되어 LG 트윈스로 바뀐 후에도 그의 입지는 나아지지 않았고, 1993년에는 끝내기 만루홈런을 쳤었다. 1994년 시즌을 앞두고 김상훈 해태 타이거즈 트레이드되자[4] 기회를 잡나 했지만, 서용빈이라는 스타 신인이 갑툭튀하면서 결국 외야로 밀려나게 된다. 1994년 성적은 1군 90경기를 뛰면서 타율 0.324 6홈런 29타점으로 제법 괜찮았고, 이 해 우승의 기쁨을 맛보기도 했다.

하지만 외야에서도 심재학 김재현(1975)에게 밀려 주전 자리를 차지할 수 없었다. 결국 1996 시즌이 끝나고 LG는 해태로부터 동봉철, 최향남, 송유석[5]을 받고, 최훈재와 조현을 내주는 트레이드를 단행한다.

좌타자에 목말라 있었던 해태 타이거즈 김응용 감독은 그를 중용했고, 그에 보답하듯이 이적하자마자 0.292(팀 내 2위), 12홈런(팀 내 4위) 70타점(팀 내 3위)으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며, 시즌 내내 붙박이 3번타자로서 1997년 해태 타이거즈의 9번째 우승인 1997년 한국시리즈에 큰 공헌을 한다. 김성한 최해식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최훈재의 합류가 우승에 도움이 됐다고 술회했다.[6] 당시 최훈재의 분전으로 인해 94년부터 96년까지 이종범의 출루와 홍현우의 적시타의 득점루트가 아니면 별다른 효과가 없던 해태 타이거즈의 공격진에 새로운 공격 루트를 만들어 주었다. 그러나 1998년 시즌은 개막전 광주 OB전 첫 타석에서 김상진을 상대로 그림같은 솔로홈런을 치며 쾌조의 출발을 보인 기세가 무색하게 .264 9홈런 49타점에 그치면서 그다지 좋은 모습을 보여 주지 못했고,[7] 더욱이 자신의 주요 포지션이던 1루와 좌익수의 자리에서 성장세가 두드러진 장성호 이호준에게 밀리게 되면서 시즌이 끝나고 권명철을 상대로 이재만과 함께 두산 베어스 트레이드됐다.[8] 그 후에 같은 10번을 단 양준혁이 해태를 오고가면서 많은 잡음을 일으킨 전력이 있어서[9], 똑같은 좌타자지만 올드 타이거즈 팬에 있어서는 양준혁보다 최훈재가 이미지가 좋게 남아 있다.

두산 베어스에서는 나름 지명타자나 좌타 대타로 기용되면서 괜찮은 활약을 보여 주었고, 2001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이로써 3개 구단에서 모두 우승 반지를 껴 본 선수가 되었다.

통산 성적은 0.260 677안타 62홈런 368타점.

3. 지도자 경력

은퇴 이후 2003년부터 현역 마지막 팀이었던 두산 베어스의 코치로 영입되면서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두산에서는 2006년까지 1군 타격코치를 맡았고,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2군 타격코치를 맡다가 2010년 시즌 후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후 1년 간의 휴식기를 가진 후 신생 팀 NC 다이노스의 타격코치로 영입되었다. 정황상 김경문 감독의 부름을 받은 듯. NC 창단 첫 해인 2013년에는 김광림과 함께 1군 타격코치를 맡았고, 2014년부터는 2군 타격코치로 옮겼다.

2016 시즌 후 NC 다이노스에서 사임했다.

2017년 초 스프링캠프 기사를 통해 kt wiz의 코치로 영입되었다는 게 발표되었다. 보직은 1군 1루 주루코치. 2018년 시즌 도중 코칭스태프 보직변경을 거쳐 2군 타격코치로 내려갔고, 이강철 감독 부임 이후인 2019년부터는 잔류군 타격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다.

2020년 시즌 종료 후 재계약에 실패하며 kt를 떠나게 되었다. 2021년 서울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합류했다.

2022 KBO 찾아가는 티볼 교실, 전국 초·중 134개 학교를 순회하여 지도자로 활동했다.

4. 여담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성공
도루
실패
볼넷 장타율 출루율
1989 MBC 58 152 .289 44 12 2 0 14 16 5 6 20 .395 .376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성공
도루
실패
볼넷 장타율 출루율
1990 LG 30 44 .250 9 3 1 5 6 0 0 0 8 .472 .386
1991 95 200 .240 48 11 2 10 31 30 0 2 21 .465 .308
1992 7 7 .000 0 0 0 0 0 0 0 0 9 .000 .000
1993 92 222 .207 41 9 1 3 27 19 0 5 22 .308 .285
1994 90 271 .324 77 14 5
(3위)
6 29 34 1 1 27 .500 .400
1995 64 138 .221 27 8 1 2 20 9 1 0 9 .352 .285
1996 108 322 .230 62 15 1 8 37 37 0 5 38 .383 .329
년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성공
도루
실패
볼넷 장타율 출루율
1997 해태 112 394 .292 100 23 1 12 70 56 3 7 34 .469 .359
1998 111 424 .264 98 13 1 9 49 41 1 0 36 .377 .333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성공
도루
실패
볼넷 장타율 출루율
1999 두산 121 433 .279 108 24 3 8 58 52 7 1 40 .419 .344
2000 76 124 .191 22 4 1 3 10 9 0 0 7 .322 .242
2001 90 196 .244 41 12 0 0 18 18 4 0 23 .315 .339
KBO 통산
(13시즌)
1054 2606 .260 677 148 19 62 368 327 23 24 285 .403 .335

6. 관련 문서



[1] 85학번 [2] ~6월 17일 [3] 6월 18일~ [4] 김상훈의 트레이드 맞상대가 바로 한대화였다. 거기에 해태가 2차 1픽을 했던 허문회도 함께 LG로 이적했다. [5] 전설의 타이거즈 송유석-정회열 편에서 송유석은 해태 타이거즈 하와이 항명사건의 보복으로 인해 LG로 떠날 수 밖에 없었다고 술회했다. [6] 해태는 유난히 LG의 트레이드에서 많이 손해를 보았다. 팀 분위기가 자유분방하던 LG에서 뛰던 선수들이 강압적이고 군대같기로 악명 높았던 해태로 트레이드되었으니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다. 훗날 손혁이 괜히 해태로의 트레이드를 거부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최훈재는 비교적 고참급으로서 해태에서 그보다 고참급 선수가 이순철, 김정수, 백인수, 조계현 정도였고 이강철과는 동기였다. 그 덕분인지 최훈재는 LG에서 해태로 트레이드된 선수들 중 그나마 가장 해태에서의 적응에 성공한 선수였다. 그러면 고참이 딸랑 김성한 하나였던 김상훈은? 그 후 해태가 KIA로 바뀐 이후 LG에서 KIA로 트레이드된 이용규 김상현이 대박터져 이 둘이 2009년 한국시리즈 우승의 주역이 된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하다. [7] 특히 장타율이 3할대까지 떨어지면서 1루와 좌익수에게 기대되는 공격력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을 보여주었다. [8] 하지만 최훈재의 트레이드 맞상대였던 권명철은 이듬해인 1999 시범경기에서 발목 부상을 당해 그대로 시즌아웃되었고 2000 시즌을 앞두고 신생팀 SK 와이번스로 재이적했다. [9] 해태로 트레이드되었을 때 대놓고 트레이드를 거부했고, 우여곡절 끝에 1년간 해태에서 뛴 후에는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창설을 주동하였다. [10] 대표적인 경우로 박용택, 손시헌, 이종욱 등이 있다. [11] 3개 이상 팀에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기록해본 선수는 최훈재를 포함해 박종호(1994 LG / 1998, 2000, 2003 현대 / 2005, 2006 삼성), 심정수(1995 OB / 2003, 2004 현대 / 2005, 2006 삼성), 허도환(2018 SK / 2021 kt / 2023 LG) 4명밖에 없는 희귀한 기록이다. [12] 케이블TV가 활성화되기 전이다 보니 TV 중계가 많이 없었고, 라디오 중계가 대부분이거나 스포츠신문을 통해 경기결과를 확인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13] 다만 이 때는 주중 경기임에도 불구하고 3연전 모두 매진을 기록할 정도로 팀의 인기는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였다. [14] 이 때 1루주자 김현종 홈을 밟지 않고 동료들 옆에 서서 구본혁을 환영했는데, KT 측에서 이를 보고 어필했다면 구본혁의 만루홈런이 쓰리런 홈런으로 바뀔 뻔했다. [15] 최훈재=말 그대로 밥 먹냐 질문, 나머지 3명=너네 설마 연습 안하고 밥 먹는거냐? 로 해석한 것. [16] 반대로 최훈재가 처음 뛰었던 LG 트윈스는 이미 90년대부터 자율야구를 모토로 하여 해태와 정반대로 팀 분위기가 매우 자유분방한 편에 속했다. 그래서 해태 출신인 한대화 송유석이 LG 트윈스에 가서 해태와 다른 모습에 충격을 받고 군기반장 역할을 자처하며 분위기를 다 잡았다. [17] 참고로 LG 트윈스에서 이적해 온 송구홍, 이병훈 비슷한 일화를 이야기한 적이 있고, 삼성 라이온즈에 있다가 해태로 트레이드된 양준혁도 광주에 집을 계약하고 이삿짐을 풀러 갔는데 후배 들이 이사를 도와주기 위해 양준혁의 광주 집 앞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었다고 한다. [18] 둘은 같은 67년생이지만 최훈재가 빠른 67년생이라 김태형 감독보다 1년 선배다. 그리고 이 둘은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두산 베어스에서 1년 선후배 사이로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