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1:11

체스/국제 경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체스
1. 경기
1.1. 경기 종류
2. 경기 방식
2.1. 랭킹2.2. 타이틀2.3. 유명한 플레이어
2.3.1. 전문 체스 선수
2.3.1.1. 체스 세계 챔피언2.3.1.2. 주요 체스 선수2.3.1.3. 외국 스트리머
2.3.2. 기타 유명인

1. 경기

세계체스연맹(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s Échecs/FIDE)은 거의 모든 국가의 전국 또는 지역 규모의 체스 조직을 망라한 세계적인 기구로, 국제 체스 대회를 주관하고 경기 규칙의 개정과 해설을 담당한다. 2년마다 열리는 체스 올림피아드를 관장하는데, 참가국은 남녀 각 5명으로 구성된 선수단을 파견한다. 또한 세계선수권 대회를 비롯해 다른 여러 대회도 개최한다. 체스 대회는 세계 체스 연맹이 제정한 체스 규칙에 따라 실시한다. 이 규칙에는 체스의 기본적인 규칙은 물론, 토너먼트 경기나 그 밖의 공식적인 경기대회에서 적용하는 특수규칙도 포함한다. 토너먼트 경기의 몇몇 규칙에는 다음과 같은 조항도 있다.

1.1. 경기 종류

관련 영상

2. 경기 방식

1.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풀리그라고도 하며 한 선수/팀이 다른 모든 선수/팀과 최소 1경기씩해 가장 성적이 좋은 선수/팀이 우승하는 방식이다. 위에 상술한 도전자 결정전, 그리고 미국 체스 챔피언십과 신큐필드 컵 등이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이다.
2. 스위스 토너먼트
스위스 시스템 정해진 라운드만큼 플레이하고 승패로 계산된 점수에 따라 등수를 부여받는 방식이다.(일반적으로 승 +1점, 무 +0.5점, 패 0점으로 계산한다.) 대회 참가자가 많고 라운드가 적은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고, 다른 방식보다 더 널리 쓰인다.
3. 녹아웃 토너먼트
정해진 대진표(Bracket)안에서 이기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고 지면 탈락되는 방식이다. 선수가 몇번을 패배해야 탈락되는지에 따라 싱글 더블 트리플 일리미네이션으로 나뉜다. 녹아웃 형식은 스위스 시스템과 같이 많이 쓰이고 있으며 CCT(챔피언스 체스 투어), 글로벌 체스 챔피언십, 스피드 체스 챔피언십 등에서 사용됐다.
4. Scheveningen system
팀전을 할때 사용되며, 한 팀의 한 선수가 다른 팀의 모든 선수와 플레이해 승수가 가장 많은 팀이 이기는 방식이다. 그렇게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듣보잡?

2.1. 랭킹

체스 랭킹은 FIDE에서 관리하는 Elo 레이팅을 통해 메겨진다. 체스에서는 프로/아마추어 구분이 없으며[2] 대회 참가 기준 역시 레이팅을 기준으로 한다. FIDE 랭킹 페이지

국가별 TOP 10 플레이어, 즉 최상위 10명의 평균 ELO 레이팅으로 국가별 순위를 매길 수 있다. 러시아, 중국, 미국, 인도, 헝가리는 전통적인 체스 강국이며, 이 외에도 구소련 구성국인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까지 해서 세계 7강이 이루어진다. 특히 러시아는 16년 4월 기준 그랜드 마스터 233명을 보유해 미국(89명), 독일(89명), 우크라이나(87명)와 큰 격차가 있다. 그 외에 인터내셔널 마스터 수, 평균 레이팅, 레이팅 등록자 수 등 모든 면에서 압도적인 1위를 하고 있다. 이 외에 아르메니아, 프랑스, 영국, 독일, 폴란드, 이스라엘, 스페인, 네덜란드, 체코, 노르웨이 등의 유럽 문화권 국가들이 보통 7강 바로 다음 레벨의 강호이다.

탁구에선 중국이, 양궁에선 한국이 독식하듯이 세계 체스판에선 거의 알렉산더 알레킨 이후 소련-러시아계 선수들이 독식하고 있다. 근대 국제 체스판의 역사를 보면 초창기 19세기 말~20세기 초에는 지역적으론 슈타이니츠, 라스커 같은 중부유럽 구 오스트리아-헝가리쪽 선수들이 주름잡는 와중 카파블랑카 같은 히스패닉 선수들도 이따금 초신성 처럼 빛나곤 하다 알레킨, 보트비니크 이후로 세계챔피언은 소련, 러시아 선수들만 다 해처먹었다. 그러다 70년대 미국의 바비 피셔가 잠시 반짝했다 아나톨리 카르포프, 가리 카스파로프가 나타나 소련 강점기 시즌 2를 열고[3], 2000년대 인도의 비스와나탄 아난드 이후가 돼서야 다시 세계챔피언들의 국적이 다양해졌다. 그러다 2013년 이후 노르웨이의 망누스 칼센이란 웬 바이킹 괴물이 갑자기 튀어나와 카스파로프, 라스커 마냥 장기집권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유럽에서 하는 게임이다 보니 구소련 국가를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 중 선수의 국제 경쟁력과 인프라를 충분히 갖춘 나라는 중국, 인도, 이스라엘, 터키, 이란[4], 베트남 정도가 사실상 전부다. 이 외에 필리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미얀마, 방글라데시, 아랍에미리트, 카타르[5], 대한민국[6] 정도가 구소련 비구성국으로서 그랜드마스터를 보유한 아시아 국가들이지만, 대개 소수의 엘리트만이 고군분투하는 모양새다.

최상위 10명의 평균 ELO 레이팅이 아닌 다른 방식, 예를 들어 그랜드마스터의 숫자로 비교하면 1위부터 10위까지 러시아, 미국, 독일, 우크라이나, 세르비아, 헝가리, 프랑스, 스페인, 인도, 이스라엘 순이다. 그 외 중국 12위, 한국 87위. 전체 타이틀 보유자의 숫자는 1위~10위까지 러시아, 독일, 미국, 세르비아, 스페인, 우크라이나, 헝가리, 프랑스, 폴란드, 네덜란드 순이다.

개인별 랭킹으로는 노르웨이 망누스 칼센(Magnus Carlsen)이 1위를 하고 있다. 나이는 겨우 1990년생으로 2010년 1월에 19세 32일 만에 세계 1위를 기록했고 2011년 7월부터 2022년 현재까지도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다. 가리 카스파로프가 1999년 7월에 기록한 종전 역대 최고 기록인 2851점을 2013년 1월 경신했으며 2014년 5월 2882점으로 자신의 최고 레이팅을 기록했다. 2022년 11월 19일 기준 레이팅은 2859이다.

2.2. 타이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스/타이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세계체스연맹이 공인하는 타이틀을 얻을 수 있다. 하위 타이틀(FM, CM)은 특정 레이팅을 만족하거나 올림피아드에서 특정 성적 이상을 거두면 되지만 상위 타이틀(GM, IM)은 다른 조건들도 만족해야한다. 이 조건을 놈(Norm)이라고 한다.[7] 타이틀이 최초로 수여된 것은 1950년으로, 원래는 그 당시 살아있던 현역/은퇴 고수들에게 부여한 칭호였으나 점차 세부적으로 조건이 붙었다.

2.3. 유명한 플레이어

2.3.1. 전문 체스 선수

2.3.1.1. 체스 세계 챔피언
체스 세계 챔피언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17대
딩리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스 세계 챔피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The history of the top chess players over time (1809~2016) : 이 영상을 보면 각 시대별 TOP10 선수들을 볼 수 있다.[8]

* The Best Chess Players Over Time (1850~2019)
2.3.1.2. 주요 체스 선수
세계 체스 챔피언은 아니지만 체스사에 있어서 중요한 족적을 남긴 인물, 중요한 체스 토너먼트 경기에 참여한 전문 선수들을 여기에 서술한다.
2.3.1.3. 외국 스트리머
201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상기한 GM들을 비롯한 마스터들 중 일부가 오프라인에서의 체스 강의는 물론이고 유튜브 트위치 등의 플랫폼을 활용해 체스 해설 컨텐츠를 만들거나 체스 실황을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머로 전업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물론 xQc같은 전업 스트리머나 타이틀이 없는 일반 플레이어들이 체스 컨텐츠로 유명해지는 경우도 있다. 아래에는 나무위키 트위치 스트리머 등재 기준을 만족한 마스터들을 위주로 문서을 따로 분류하여 서술한다.

2.3.2. 기타 유명인


[1] 2024 기준으로는 최근 챔피언십 패자, 전년도 FIDE 월드컵 1-3위, FIDE 그랜드 스위스 우승자와 준우승자, 앞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사람들 중 FIDE 서킷 포인트 최다 획득자와 최고 레이팅 보유자가 진출했다. [2] 창작물에서 변호사 겸 체스 고수라거나 컴퓨터 덕후 체스 플레이어 등이 자주 등장하는 이유. 물론 현실의 최상위권은 밥 먹고 체스만 두지만, 최상위권이 아니라 GM~CM 정도면 본업이 따로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제학자 케네스 로고프는 하버드 교수 겸 체스 그랜드마스터이다. [3] 이후 카스파로프는 블라디미르 푸틴에게 암살 협박을 받아 크로아티아로 이주하게 된다. [4] 이곳도 인도 못지 않게 체스의 역사가 오래되었다. [5] 카타르는 중국계 등 귀화 선수가 많다. [6] 김 알렉세이. 소속연합은 대한민국이지만, 우즈베키스탄 국적을 가진 고려인이다.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 중에선 아직 그랜드마스터가 없고, 안홍진, 이준혁 정도가 IM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다. [7] 일정 규모 이상 대회에 나가서 일정한 성적 이상을 거둬야 한다. 상대들의 국적, 타이틀 보유 여부, 상대의 레이팅 평균 등 복잡한 조건을 따진다. [8] ELO는 인플레이션이 심한 이유로 21세기 이전 선수들은 CMR과 EDO로 계산됐다. 점수는 동일시대 선수들의 실력차이를 측정하는데 적합하지만, 평균 체스실력이 꾸준히 증가해온 걸 감안하면 과거의 선수와 현재의 선수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Stockfish 엔진을 이용해 Markovian modeling을 실행한 논문에 의하면, 19세기 말 세계 챔피언이었던 슈타이니츠는 21세기 세계 챔피언 망누스 칼센을 상대로 20% 미만의 승률을 가질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이는 무려 ~250 포인트 점수차이를 의미한다. 입지전을 비롯한 현대 체스이론들이 개발되기 전인 18세기 초중반 선수들은 잘해봤자 2400~2500대 ELO수준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a] 헝가리인이므로 성이 앞에 오고 이름이 뒤에 오는 것이 맞으나, 영어식 표기가 대중적으로 더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괄호 안에 병기한다. [10] 셰익스피어 문학 전공이었다. [11] 그의 선수 시절 동안 그는 2대 챔피언인 라스커부터 현재 칼센까지의 챔피언들을 쭉 봤다. [12] 체스닷컴 한국 채널에서는 노디르벡 압둘사토로프로 표기된다. [13] 그보다 연하이면서 랭킹이 더 높은 사람은 인도의 구케시 D(2006년생)뿐이다. [14] 그러나 결승에서 망누스 칼센에게 그것도 퀸 희생 체크메이트를 당해 진 것으로 유명하다. [15] 챔피언십 도전자 토너먼트의 대타로 중국의 GM 딩리런이 출전했는데, 챔피언 망누스 칼센이 챔피언십 타이틀 방어를 포기하면서 2등인 딩까지 2023 월드 챔피언십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딩 리런이 2023 월드 챔피언십을 우승하게 되면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체스 세계 챔피언의 계보에 영향을 준, 그야말로 나비 효과의 대표적인 예시가 되었다. [16] 당시 1등이 탈이었는데, 그가 케레스를 제칠 수 있었던 건 케레스와의 전적(1:3)이 좋아서가 아니라 16세의 바비 피셔를 4:0으로 완승하는 등 다른 선수들을 압도했기 때문이었다. [17] 1962, 1968, 1971, 1974, 1977, 1980, 1983, 1985, 1988, 1991. [18] 만 60세 이상 [a] [20] 그래서 2수만에 퀸을 전개하는 오프닝에 나폴레옹 어택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21] 당연히 컴퓨터나 인공지능이 그 시대에 있었을 리 없고 그냥 사람이 안에 들어가서 조종하는 인형 같은 장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2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2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