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체스 선수 순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
순위 | 이름 | 레이팅 |
1위 | 망누스 칼센 | 2831 | |
2위 | 파비아노 카루아나 | 2805 | |
3위 | 히카루 나카무라 | 2802 | |
4위 | 아르준 에리가이시 | 2799 | |
5위 | 구케시 디 | 2783 | |
6위 | 노디르벡 압두사토로프 | 2777 | |
7위 | 알리레자 피로우자 | 2763 | |
8위 | 이안 네폼니아치 | 2755 | |
9위 | 웨이이 | 2753 | |
10위 | 비스와나탄 아난드 | 2750 | |
11위 | 웨슬리 소 | 2747 | |
12위 | 레니에 도밍게즈 | 2741 | |
13위 | 얀-크리스토프 두다 | 2740 | |
14위 | 레본 아로니안 | 2739 | |
레꽝리엠 | 2739 | ||
비딧 구주라티 | 2739 | ||
17위 | 셰흐리야르 멤메디아로프 | 2738 | |
18위 | 프라그나난다 | 2737 | |
막심 바시에-라그라브 | 2737 | ||
20위 | 한스 니먼 | 2734 | |
21위 | 아니시 기리 | 2733 | |
빈센트 카이머 | 2733 | ||
23위 | 딩리런 | 2728 | |
24위 | 위양이 | 2724 | |
25위 | 리처드 라포트 | 2721 | |
26위 | 베셀린 토팔로프 | 2717 | |
27위 | 파르함 마그수들루 | 2712 | |
블라디미르 페도세예프 | 2712 | ||
29위 | 아라빈드 치탐바람 | 2706 | |
30위 | 왕하오 | 2703 | |
31위 | 블라디슬라프 아르테미예프 | 2701 | |
32위 | 레이 롭슨 | 2700 | |
2024년 11월 기준. |
Fabiano Luigi Caruana 파비아노 루이지 카루아나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 1992년 7월 30일([age(1992-07-30)]세) |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타이틀 | GM (2007) |
Elo 레이팅 |
2805 (2024년 11월 기준) 2844 (최대 레이팅) |
[clearfix]
1. 개요
파비아노 카루아나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체스 선수이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는 이탈리아 연맹 소속이었지만, 이후로는 미국 체스 연맹으로 소속을 옮겼다.망누스 칼센, 가리 카스파로프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높은 스탠다드 레이팅을 보유한 선수 타이틀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2. 상세
2007년 생후 14세 11개월 20일에 GM 타이틀을 취득하여 당시 기준 미국과 이탈리아 체스 역사상 최연소 그랜드 마스터가 되었다.카루아나의 주목할만한 기록은 2014년 싱큐필드 컵 우승이다. 이 대회는 참가자 6인의 평균 레이팅이 2801점으로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토너먼트로 기록되었는데[1], 여기에서 카루아나는 7라운드까지 7연승을 거두며 시작했고, 나머지 세 경기는 비기며 최종 8.5점의 점수로 우승했다.[2] 이때 기록된 카루아나의 대회 퍼포먼스 레이팅은 3080점으로 이는 체스 역사상 가장 높은 퍼포먼스 레이팅이다 [3]. 바비 피셔의 71년 20연승과도 비견되는 역대 최고 기록이었다.
2016년에는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비스와나탄 아난드, 세르게이 카리야킨, 히카루 나카무라, 베셀린 토팔로프, 아니쉬 기리 등 쟁쟁한 라인업에도 카리야킨과 함께 공동 1등을 유지했다. 14라운드 카리야킨과의 대국에서는 타이브레이크 승수에 밀려 무조건 이겨야 했으나, 흑을 잡고 무승부를 해 우승에는 실패했다.
2018년 세계 체스 챔피언십에 도전하여 챔피언 망누스 칼센과 타이틀전을 벌였다. 12경기의 스탠다드 체스에서 모두 무승부를 기록하고 래피드 경기로 넘어갔으나, 래피드에서 3경기 모두 패배하여 챔피언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2021년 FIDE 그랜드 스위스에서 우승해서 2022 도전자 토너먼트에도 진출했다. 초반 7경기에서는 3승 4무로 이안 네폼니아치와 쌍두마차 경쟁 구도를 형성하나 싶었지만 8라운드 히카루 나카무라에게 패배를 당한 것을 필두로 후반 7경기에서 3무 4패로 와르르 무너지면서 부진했다. 결국 토너먼트를 8명 중 5위로 마쳤다. 이 때문에 컨디션에 난조가 생긴 것인지 이후 2022 체스 올림피아드나 체스닷컴 글로벌 챔피언십 등에서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23년 피데 체스 월드컵에서는 준결승에서 인도의 프라그나난다에게 타이브레이크에서 패한 뒤 3-4위 결정전에서 니잣 아바소브를 상대로 승리, 동메달을 받았다. 이 대회로 2024년 도전자 결정전에 참가할 권리를 얻었고, 레이팅 역시 세계 2위로 다시 상승하였다.
3. 기풍
스탠다드 체스에 강하며 속기인 래피드, 블리츠는 비교적 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이건 스탠다드와 비교해서, 또는 속기 스페셜리스트인 망누스 칼센이나 히카루 나카무라와 비교해서 약하다는 것이고, 래피드와 블리츠 레이팅 모두 세계 20위 안에 드는 실력을 가지고 있다. 스탠다드에서의 기력은 역대 최강의 선수인 망누스 칼센과 거의 비등하다고 여겨지며, 실제로 2018년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둘은 스탠다드 12경기를 모두 비겼다![4] 단순히 승점이 같은 게 아니라 12번의 무승부였다. 망누스 칼센도 스탠다드에서는 자신에 비견될 만한 유일한 선수라고 인정한 선수.1.e4를 주력으로 두며 1.d4에 비해 유의미하게 픽률과 승률이 높다. 현대 그랜드마스터 레벨에서 오프닝 준비가 가장 철저한 사람으로 뽑히며, 이는 큰 대회일수록 두드러진다. 이제껏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수를 들고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수를 둘 땐 지체 없이 둬서 상대에게 티를 팍팍 내는 편(...) 오프닝 준비뿐 아니라 굉장한 노력가로, 수많은 게임을 분석하고 상대방의 기풍을 파악해서 대비한다고 한다.
뛰어난 계산력과 오프닝 이론으로 기계와 같은 체스를 둔다. 별명이 "The Machine"일 정도. 이 뛰어난 계산력으로 어릴 때는 공격적이고 전술적인 체스를 주로 뒀으나, 지금은 다 잘하는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됐다는 평. 다만 이 계산력은 슈퍼 GM들과 비교해도 뛰어나서 특이한 포지션에서 수많은 수를 계산한 후에 묘수를 찾아내나, 오히려 단순한 포지션에서는 계산보다는 포지션에 대한 직관이 중요하므로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이 스타일을 이해하면 카루아나가 왜 래피드와 블리츠에서는 스탠다드보다 약한지 이해할 수 있는데, 래피드나 블리츠는 모든 라인을 다 계산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기에 직관에 의존해서 둬야 할 때가 많은데, 이것이 카루아나의 스타일과 반대되기 때문. 다만 시간이 풍부한 스탠다드에서는 언뜻 보면 악수로 보이는 수까지 꼼꼼히 계산을 하고 모든 라인을 찾아보기에 묘수를 찾아내는 것.
4. 둘러보기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 ||||||
{{{#!folding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tablebgcolor=#fff>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886 | 미국 | 빌헬름 슈타이니츠 | 10 | 5 | 요하네스 주커토르트 | |
1889 | 아바나 | 빌헬름 슈타이니츠 | 10½ | 6½ | 미하일 치고린 | |
1890 | 뉴욕시 | 빌헬름 슈타이니츠 | 10½ | 8½ | 이시도어 건즈버그 | |
1892 | 아바나 | 빌헬름 슈타이니츠 | 12½ | 10½ | 미하일 치고린 | |
1894 |
미국 몬트리올 |
빌헬름 슈타이니츠 | 7 | 12 | 엠마누엘 라스커 | |
1896 | 모스크바 | 엠마누엘 라스커 | 12½ | 4½ | 빌헬름 슈타이니츠 | |
1907 | 미국 | 엠마누엘 라스커 | 10½ | 5½ | 프랭크 J. 마셜 | |
1908 |
뒤셀도르프 뮌헨 |
엠마누엘 라스커 | 10½ | 5½ | 지그베르트 타라시 | |
1910 | 베를린 | 엠마누엘 라스커 | 9½ | 1½ | 다비드 야노프스키 | |
1921 | 아바나 | 엠마누엘 라스커 | 5 | 9 |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 | |
1927 | 부에노스아이레스 |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 | 3 | 6 | 알렉산더 알레킨 | |
1929 |
독일 네덜란드 |
알렉산더 알레킨 | 15½ | 10½ | 에핌 보골류보프 | |
1934 | 독일 | 알렉산더 알레킨 | 15½ | 10½ | 에핌 보골류보프 | |
1935 | 네덜란드 | 알렉산더 알레킨 | 14½ | 15½ | 막스 오이베 | |
1937 | 네덜란드 | 막스 오이베 | 9½ | 15½ | 알렉산더 알레킨 |
{{{#!folding FIDE 타이틀 (1948~1993) [ 펼치기 · 접기 ]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48* |
헤이그 모스크바 |
14 | 미하일 보트비닉 | |||
1951 | 모스크바 | 미하일 보트비닉 | 12 | 12 | 다비트 브론슈타인 | |
1954 | 모스크바 | 미하일 보트비닉 | 12 | 12 | 바실리 스미슬로프 | |
1957 | 모스크바 | 미하일 보트비닉 | 9½ | 12½ | 바실리 스미슬로프 | |
1958 | 모스크바 | 바실리 스미슬로프 | 10½ | 12½ | 미하일 보트비닉 | |
1960 | 모스크바 | 미하일 보트비닉 | 8½ | 12½ | 미하일 탈 | |
1961 | 모스크바 | 미하일 탈 | 8 | 13 | 미하일 보트비닉 | |
1963 | 모스크바 | 미하일 보트비닉 | 9½ | 12½ | 티그란 페트로시안 | |
1966 | 모스크바 | 티그란 페트로시안 | 12½ | 11½ | 보리스 스파스키 | |
1969 | 모스크바 | 티그란 페트로시안 | 10½ | 12½ | 보리스 스파스키 | |
1972 | 레이캬비크 | 보리스 스파스키 | 8½ | 12½ | 바비 피셔 | |
|
- |
|
아나톨리 카르포프 | |||
1978 | 바기오 | 아나톨리 카르포프 | 6 | 5 | 빅토르 코르치노이 | |
1981 | 메라노 | 아나톨리 카르포프 | 6 | 2 | 빅토르 코르치노이 | |
1984*** | 모스크바 | 아나톨리 카르포프 | 5 | 3 | 가리 카스파로프 | |
1985 | 모스크바 | 아나톨리 카르포프 | 11 | 13 | 가리 카스파로프 | |
1986 |
런던 레닌그라드 |
가리 카스파로프 | 12½ | 11½ | 아나톨리 카르포프 | |
1987 | 세비야 | 가리 카스파로프 | 12 | 12 | 아나톨리 카르포프 | |
1990 | 리옹 | 가리 카스파로프 | 12½ | 11½ | 아나톨리 카르포프 | |
*: 챔피언의 사망으로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5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졌다. **: 타이틀 방어 포기 ***: 중단 |
{{{#!folding PCA 타이틀 (1993~2006)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93 | 런던 | 가리 카스파로프 | 12½ | 7½ | 나이젤 쇼트 | |
1995 | 뉴욕시 | 가리 카스파로프 | 10½ | 7½ | 비스와나탄 아난드 | |
2000 | 런던 | 가리 카스파로프 | 6½ | 8½ | 블라디미르 크램닉 | |
2004 | 브리사고 | 블라디미르 크램닉 | 7 | 7 | 페테르 레코 |
{{{#!folding 통합 타이틀 (2006~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2006 | 멕시코시티 | 블라디미르 크램닉 | 6 [2½] | 6 [1½] |
베셀린 토팔로프 (FIDE 챔피언) |
|
2007* | 멕시코시티 | 블라디미르 크램닉 | 8 | 9 | 비스와나탄 아난드 | |
2008 | 본 | 비스와나탄 아난드 | 6½ | 4½ | 블라디미르 크램닉 | |
2010 | 소피아 | 비스와나탄 아난드 | 6½ | 5½ | 베셀린 토팔로프 | |
2012 | 모스크바 | 비스와나탄 아난드 | 6 [2½] | 6 [1½] | 보리스 겔판드 | |
2013 | 첸나이 | 비스와나탄 아난드 | 3½ | 6½ | 망누스 칼센 | |
2014 | 소치 | 망누스 칼센 | 6½ | 4½ | 비스와나탄 아난드 | |
2016 | 뉴욕시 | 망누스 칼센 | 6 [3] | 6 [1] | 세르게이 카리야킨 | |
2018 | 런던 | 망누스 칼센 | 6 [3] | 6 [0] | 파비아노 카루아나 | |
2021 | 두바이 | 망누스 칼센 | 7½ | 3½ | 이안 네폼니아치 | |
2023** | 아스타나 |
이안 네폼니아치 |
7 [1½] | 7 [2½] | 딩리런 | |
2024 | 싱가포르 | 딩리런 | 구케시 디 | |||
2026 | ||||||
*: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8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개최했다. **: 챔피언의 타이틀 방어 포기로 도전자 결정전 1, 2위가 대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