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상상의 동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반도 | |||||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을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 ||||||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곤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교1 · 교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기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맥 · 명사 · 묘귀 · 무손수 · 무지기 · 박 · 백악 · 백택 · 봉희 · 붕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비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탐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환1 · 환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후 · 흑풍괴 | ||||||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 ||||||
몽골 | ||||||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봉 · 알마스 | ||||||
기타 | ||||||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곤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용 · 용생구자( 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신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 야간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clearfix]
1. 개요
靑너구리[1]: 너구리 요괴2. 기록
어느 마을에 힘이 매우 센 소년이 있었으며 매우 게을러서 노상 먹고 나면 반드시 잠을 잤다. 나이가 18살이 되어 총각이 되었어도 이러니 부모는 아들을 타이르면서 그 엄청난 힘을 그대로 낭비할 거냐며 얘기했다. 그러자 총각은 좁쌀 한 섬을 달라고 얘기하자 부모가 구해왔다. 총각은 한 섬짜리 주머니를 콩주머니 쥐듯 들고 달려간 다음 뒷산으로 가서 큰 나무를 뽑아 그 구덩이 안에 좁쌀을 모두 넣었다.
날마다 총각이 퇴비를 주고 물을 주며 키우자 바로 싹이 났고 그 싹들 중 가장 튼튼한 싹을 제외한 모든 싹을 솎아낸 다음 다시 열심히 키우자 튼튼한 조 싹은 어느새 크게 자라 사람들이 가까이서 보면 큰 나무라고 할 만큼 거대하게 자랐다.
총각은 그 조이삭을 뿌리째 냅다 뽑아 도리깨 없이 타작을 했다. 몇 번 탁탁 치니 엄청난 양의 좁쌀이 산더미처럼 쌓였으며 모아서 창고 안에 넣고 보니 창고 안이 그득했다. 총각은 부모에게 그동안 밥만 축내 죄송하다 사과하고 세상 구경을 나갔다 올 것이라고 얘기했다. 그리고 집을 나서기 전 광대탈을 하나 깎아서 얼굴에 쓰고 집을 나섰다. 이는 밥만 축낸 게 차마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없어서 가면을 쓴 것이라고... 이렇게 총각은 광대탈이란 이름을 쓰게 되었다.
광대탈 총각이 한참 길을 가다보니, 큰 참대통을 든 남자가 길을 서둘러 걷고 있었다. 남자는 길을 떠나는 사람이 이렇게 큰 참대통을 들고 가는 것이 운치 있다고 얘기했으며 참대통 마개를 연 순간, 그 안에는 온갖 생필품이 들어있었다. 광대탈이 이를 보고 장사라 여겨 그의 이름을 물으니, 이 남자의 이름은 참대통이라 한다.
광대탈과 참대통이 다시 길을 가다보니 버드나무가 바람에 휘말려 오르락 내리락 인사를 하는 게 아닌가. 깜짝 놀라 서둘러 달려가보니 웬 총각이 쿨쿨 잠을 자는 데 콧바람이 버드나무를 오르락내리락 인사하게 하는 것이었다. 서둘러 깨워서 얘기해보니 잠을 잘때 이렇게 콧바람을 불며 자면 매우 시원하다고 한다. 이 총각의 이름은 콧바람이었으며 셋이 길을 다시 가니 큰 갓을 쓴 남자가 길을 가고 있었는데, 갓을 자세히 보니 큰 바위였다. 놀라서 얘기하니 나그네가 길을 갈때 날려가는 갓대신 이렇게 큰 바위로 갓을 만들어 쓰면 우직하게 제 자리를 지키니 아주 편하다고 한다. 이 총각은 바위를 떡주무르듯 주물러서 갓을 만들어서 이름이 돌갓이다.
돌갓까지 동료로 들어서서 네 총각이 되었다. 이들이 하염없이 길을 가다 날이 저물었으니 하룻 밤 쉬어갈 집을 찾기로 했다.
그런데 마을이 없는 외진 곳이니 찾는 데 애로사항이 엄청났고 그나마 겨우 발견한 집에는 한 처녀가 난처한 얼굴로 이 집은 하룻밤 잘만한 곳이 못 되니 어서 돌아가라고 얘기한다. 왜 그러는지 물어보니, 이 집은 원래 상당히 큰 집이었고 사람들도 많이 살던 곳이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집안 노비들이 차레차례 사라지고 오빠들과 부모님까지 사라져 남은 사람은 자신 하나뿐이라고 한다.
광대탈 일행은 처녀의 말을 듣고 자신들이 도와주겠다고 얘기했다. 그렇게 처녀의 허락을 받고 집안으로 들어서서 일단 상황을 지켜보기위해 참대통은 현관에, 콧바람은 사랑채 근처, 돌갓은 안채 근처, 광대탈은 안채 안에 숨어 있고 처녀는 안채 안의 다락방에 숨어 있게 했다.
그렇게 한밤중이 되자 눈에 빛이 흐르는 거대한 짐승이 나타났다. 보아하니 수백년을 살아온 청너구리 요괴였으며 현관에 들어서자 참대통이 가지고 있던 참대통을 휘둘러 놈을 기절시킨 뒤 참대통 안에 쓸어담았다.
그런데 그 순간 또 다른 청너구리가 들어오는 게 아닌가? 자세히 보니 처음 잡은 놈은 300년을 묵은 어린 요괴이고 이번 놈은 500년을 묵은 제법 큰 요괴이다. 참대통은 분전했지만 결국 패하고 놈에게 산 채로 삼켜졌다.500년 묵은 놈이 사랑채 근처로 들어서자 콧바람은 콧심을 이용해 큰 바람을 일으켜 놈이 나동그라지게 한 뒤, 다시 콧심으로 놈을 얼려버렸다.
하지만 이번에 들어선 700년 묵은 청너구리는 콧바람도 고전하다 삼켜졌다. 아무리 콧심으로 큰 바람을 일으켜도 놈이 몇 번 휘청거린 뒤 바로 달려들었기 때문. 그리고 이번에 온 700년 묵은 놈도 돌갓 앞에서는 바로 기절했으며 돌갓의 한 방에 맞아 기절하고 돌갓이 냉큼 놈을 돌갓으로 눌러놓았다.
결국에는 보낸 부하들이 돌아오지 않자 불안해진 두목 청너구리가 나섰다. 이번 놈은 무려 1000년을 묵은 엄청난 크기의 청너구리로 돌갓까지 고전하다 결국 버티지 못하고 삼켜졌다. 돌갓을 삼킨 놈이 어슬렁거리며 안채로 들어섰을 때 광대탈이 한 번 미소를 짓더니 앉았다 일어서서 조화를 부렸다. 그러더니 분신 네 명이 나타나 오광대로 늘어났다.
청너구리 두목은 한 순간에 오광대가 자신에게 달려들자 당황해 휘청거리다 광대탈의 반격에 크게 당해 주저앉았다. 광대탈은 이 기회를 타서 밧줄로 두목 너구리를 꽁꽁 묶고 놈의 등짝을 냅다 후려쳤다. 그러자 돌갓이 튀어나왔다.
살아나온 돌갓이 돌갓에 눌러놓은 둘째 너구리를 주자 광대탈은 냅다 둘째의 등을 후려쳐서 콧바람을 꺼냈고 살아서 나온 콧바람이 얼린 셋째놈에게서 참대통을 꺼낸뒤 살아서 나온 참대통이 자신이 잡아놓은 300년 묵은 청너구리를 건네주고 광대탈이 놈들을 하나로 묶어놓았다. 그리고 불을 지펴서 청너구리 요괴 4인방을 산 채로 불태워 죽였다.
처녀는 부모님과 오빠들의 원수인 청너구리를 잡아준 총각들에게 고마워하면서 어차피 자신은 일가족도 모두 잃은 이상 광대탈의 아내가 되겠다고 얘기했다. 광대탈과 총각들은 흔쾌히 승낙했고 길을 떠났다. 그 뒤 의형제들과 아내와 함께 고향마을로 돌아와서 이제 노인이 된 부모와 재회해 같이 행복하게 살았다.
나중에 천계 신들이 그들을 천계로 불러 신으로 좌정했으며, 광대탈과 그의 아내는 해와 달의 신으로 좌정되고, 참대통은 구름과 비의 신, 콧바람은 바람의 신, 돌갓은 번개의 신으로 좌정되었다.
광대탈과 삼형제
날마다 총각이 퇴비를 주고 물을 주며 키우자 바로 싹이 났고 그 싹들 중 가장 튼튼한 싹을 제외한 모든 싹을 솎아낸 다음 다시 열심히 키우자 튼튼한 조 싹은 어느새 크게 자라 사람들이 가까이서 보면 큰 나무라고 할 만큼 거대하게 자랐다.
총각은 그 조이삭을 뿌리째 냅다 뽑아 도리깨 없이 타작을 했다. 몇 번 탁탁 치니 엄청난 양의 좁쌀이 산더미처럼 쌓였으며 모아서 창고 안에 넣고 보니 창고 안이 그득했다. 총각은 부모에게 그동안 밥만 축내 죄송하다 사과하고 세상 구경을 나갔다 올 것이라고 얘기했다. 그리고 집을 나서기 전 광대탈을 하나 깎아서 얼굴에 쓰고 집을 나섰다. 이는 밥만 축낸 게 차마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없어서 가면을 쓴 것이라고... 이렇게 총각은 광대탈이란 이름을 쓰게 되었다.
광대탈 총각이 한참 길을 가다보니, 큰 참대통을 든 남자가 길을 서둘러 걷고 있었다. 남자는 길을 떠나는 사람이 이렇게 큰 참대통을 들고 가는 것이 운치 있다고 얘기했으며 참대통 마개를 연 순간, 그 안에는 온갖 생필품이 들어있었다. 광대탈이 이를 보고 장사라 여겨 그의 이름을 물으니, 이 남자의 이름은 참대통이라 한다.
광대탈과 참대통이 다시 길을 가다보니 버드나무가 바람에 휘말려 오르락 내리락 인사를 하는 게 아닌가. 깜짝 놀라 서둘러 달려가보니 웬 총각이 쿨쿨 잠을 자는 데 콧바람이 버드나무를 오르락내리락 인사하게 하는 것이었다. 서둘러 깨워서 얘기해보니 잠을 잘때 이렇게 콧바람을 불며 자면 매우 시원하다고 한다. 이 총각의 이름은 콧바람이었으며 셋이 길을 다시 가니 큰 갓을 쓴 남자가 길을 가고 있었는데, 갓을 자세히 보니 큰 바위였다. 놀라서 얘기하니 나그네가 길을 갈때 날려가는 갓대신 이렇게 큰 바위로 갓을 만들어 쓰면 우직하게 제 자리를 지키니 아주 편하다고 한다. 이 총각은 바위를 떡주무르듯 주물러서 갓을 만들어서 이름이 돌갓이다.
돌갓까지 동료로 들어서서 네 총각이 되었다. 이들이 하염없이 길을 가다 날이 저물었으니 하룻 밤 쉬어갈 집을 찾기로 했다.
그런데 마을이 없는 외진 곳이니 찾는 데 애로사항이 엄청났고 그나마 겨우 발견한 집에는 한 처녀가 난처한 얼굴로 이 집은 하룻밤 잘만한 곳이 못 되니 어서 돌아가라고 얘기한다. 왜 그러는지 물어보니, 이 집은 원래 상당히 큰 집이었고 사람들도 많이 살던 곳이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집안 노비들이 차레차례 사라지고 오빠들과 부모님까지 사라져 남은 사람은 자신 하나뿐이라고 한다.
광대탈 일행은 처녀의 말을 듣고 자신들이 도와주겠다고 얘기했다. 그렇게 처녀의 허락을 받고 집안으로 들어서서 일단 상황을 지켜보기위해 참대통은 현관에, 콧바람은 사랑채 근처, 돌갓은 안채 근처, 광대탈은 안채 안에 숨어 있고 처녀는 안채 안의 다락방에 숨어 있게 했다.
그렇게 한밤중이 되자 눈에 빛이 흐르는 거대한 짐승이 나타났다. 보아하니 수백년을 살아온 청너구리 요괴였으며 현관에 들어서자 참대통이 가지고 있던 참대통을 휘둘러 놈을 기절시킨 뒤 참대통 안에 쓸어담았다.
그런데 그 순간 또 다른 청너구리가 들어오는 게 아닌가? 자세히 보니 처음 잡은 놈은 300년을 묵은 어린 요괴이고 이번 놈은 500년을 묵은 제법 큰 요괴이다. 참대통은 분전했지만 결국 패하고 놈에게 산 채로 삼켜졌다.500년 묵은 놈이 사랑채 근처로 들어서자 콧바람은 콧심을 이용해 큰 바람을 일으켜 놈이 나동그라지게 한 뒤, 다시 콧심으로 놈을 얼려버렸다.
하지만 이번에 들어선 700년 묵은 청너구리는 콧바람도 고전하다 삼켜졌다. 아무리 콧심으로 큰 바람을 일으켜도 놈이 몇 번 휘청거린 뒤 바로 달려들었기 때문. 그리고 이번에 온 700년 묵은 놈도 돌갓 앞에서는 바로 기절했으며 돌갓의 한 방에 맞아 기절하고 돌갓이 냉큼 놈을 돌갓으로 눌러놓았다.
결국에는 보낸 부하들이 돌아오지 않자 불안해진 두목 청너구리가 나섰다. 이번 놈은 무려 1000년을 묵은 엄청난 크기의 청너구리로 돌갓까지 고전하다 결국 버티지 못하고 삼켜졌다. 돌갓을 삼킨 놈이 어슬렁거리며 안채로 들어섰을 때 광대탈이 한 번 미소를 짓더니 앉았다 일어서서 조화를 부렸다. 그러더니 분신 네 명이 나타나 오광대로 늘어났다.
청너구리 두목은 한 순간에 오광대가 자신에게 달려들자 당황해 휘청거리다 광대탈의 반격에 크게 당해 주저앉았다. 광대탈은 이 기회를 타서 밧줄로 두목 너구리를 꽁꽁 묶고 놈의 등짝을 냅다 후려쳤다. 그러자 돌갓이 튀어나왔다.
살아나온 돌갓이 돌갓에 눌러놓은 둘째 너구리를 주자 광대탈은 냅다 둘째의 등을 후려쳐서 콧바람을 꺼냈고 살아서 나온 콧바람이 얼린 셋째놈에게서 참대통을 꺼낸뒤 살아서 나온 참대통이 자신이 잡아놓은 300년 묵은 청너구리를 건네주고 광대탈이 놈들을 하나로 묶어놓았다. 그리고 불을 지펴서 청너구리 요괴 4인방을 산 채로 불태워 죽였다.
처녀는 부모님과 오빠들의 원수인 청너구리를 잡아준 총각들에게 고마워하면서 어차피 자신은 일가족도 모두 잃은 이상 광대탈의 아내가 되겠다고 얘기했다. 광대탈과 총각들은 흔쾌히 승낙했고 길을 떠났다. 그 뒤 의형제들과 아내와 함께 고향마을로 돌아와서 이제 노인이 된 부모와 재회해 같이 행복하게 살았다.
나중에 천계 신들이 그들을 천계로 불러 신으로 좌정했으며, 광대탈과 그의 아내는 해와 달의 신으로 좌정되고, 참대통은 구름과 비의 신, 콧바람은 바람의 신, 돌갓은 번개의 신으로 좌정되었다.
광대탈과 삼형제
2.1. 기원
3. 특징
눈에서 빛을 띄며, 나이를 먹을수록 힘이 강해진다. 불에 타면 죽을 수도 있다.4. 매체
5. 관련 항목
6. 기타
[1]
털이 푸른 지 눈빛이 푸른 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