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4:16:12

창덕궁 영화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 승정원)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양사( 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북신문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영화당
昌德宮 暎花堂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608년 이전 (창건)
1692년 (중수)
파일:창덕궁 영화당.jpg
<colbgcolor=#bf1400> 영화당
1. 개요2. 역사3. 활용4. 구조5. 여담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 건물이다. 주합루의 동남쪽, 부용정의 동북쪽에 있다.

'영화(暎花)' 뜻은[1] '꽃(花)과 어우러진다(暎)'이다. 주변에 아름다운 꽃이 많이 피어 지은 이름인 듯하다. '暎(영)'은 '비치다'는 의미지만 에서는 '어우러진다'는 뜻으로 많이 쓴다. #

현판 글씨 영조가 1754년(영조 30년)에 직접 썼다.

2. 역사

파일:동궐도 영화당.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영화당
언제 처음 지었는지 모른다. 공식 기록에는 《 광해군일기》에 영화당 건설 중지를 언급하는 내용으로 처음 나온다. 그런데 기존에 있던 건물을 중건한 건지, 아니면 창건한 건지 역시 명확하지 않다. 다만 확실한 것은 광해군 때부터는 존재했다는 것이다. 1692년( 숙종 18년)에 고쳐지어 오늘에 이른다.

《궁궐지》에 따르면, 영화당에 선조, 효종, 현종, 숙종이 쓴 편액이 걸려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영조가 쓴 영화당 현판을 뺀 나머지는 현재 없다.
파일:조선고적도보 영화당.png
<colbgcolor=#bf1400> 《조선고적도보》 영화당

3. 활용

영화당의 앞쪽에는 넓은 마당 '춘당대(春塘臺)'가 있었다. 창덕궁 창경궁의 경계에 있어 지금은 구역을 담으로 나누었지만, 조선 시대에는 구분이 없었다.

들은 영화당과 춘당대를 함께 묶어 활용했다. 이곳에서 잔치를 베풀고 신하들에게 음식을 내려주었으며 활을 쏘는 곳으로 사용했다. 또한 과거 시험도 여기서 열었다. 과거에도 단계가 있는데, 각 지방에서 예비 과거 시험인 초시에 합격한 응시자들이 보는 최종 시험장이 이곳이었다. 그래서 《 춘향전》에서 이몽룡이 과거를 본 곳으로 나왔다.
파일:영화당친림사선도.jpg
<colbgcolor=#bf1400> 《영화당친림사선도(暎花堂親臨賜膳圖)》
1760년(영조 36년)에는 청계천 준설 공사를 마친 후 여기서 공로를 치하했다. 그 때의 모습을 담은 그림이 《 영화당친림사선도(暎花堂親臨賜膳圖)》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보관한다.

영조 이후 왕들이 대보단이나 문묘[2]에 참배하기 전에 하룻밤 묵는 곳으로도 사용했다. # # # # 그리고 주변에 연못 부용지 및 우물들이 있어 습했기 때문에 기우제를 지내거나 작은 을 만들어 농사를 살피는 장소로도 사용했다. #

4. 구조

5. 여담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거문고 연주를 들을 수 있다.
}}} ||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홍보 영상.
시기는 2016년 가을이다.
2010년부터 문화재청에서 매년 가을에 여는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장소로 사용한다. 정자 내부에 책을 비치해두어 시민들이 후원의 경치를 보며 독서할 수 있게 한다.[5] 행사 기간은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4월 중순 ~ 5월 중순(봄), 10월 중순 ~ 11월 중순(가을)이다. 창덕궁 후원 입장료만 내면 별도로 들어가는 은 없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진행하지 않았다.

[1] Movie를 뜻하는 영화 한자는 '映畵'이다. [2] 文廟. 공자의 사당. 성균관에 있다. [3]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 [4] 나머지는 '관풍춘경(觀豊春耕: 관풍각에서의 봄갈이)', '망춘문앵(望春聞鶯: 망춘정에서 꾀꼬리 소리듣기)', '천향춘만(天香春晩: 천향각의 늦봄 경치)', '어수범주(魚水泛舟: 어수당)', '소요유상(逍遙流觴: 소요정 물굽이에서 술잔 띄우고 마시기)', '희우상련(喜雨賞蓮: 희우정에서의 연꽃 구경)', '청심제월(淸心霽月: 청심정에서 보는 개인 날의 맑은 달)', '관덕풍림(觀德楓林: 관덕정의 단풍)', '능허모설(凌虛暮雪: 능허정의 저녁 눈)'이다. [5] 존덕정, 폄우사, 취규정도 장소로 활용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