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
ㅣ | |||||||||||||||||||||||||||||||||||||||
ㅣ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건무문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ㅣ | ||||||||||||||||||||||||||||||||||||||||
ㅣ | ㅣ | ||||||||||||||||||||||||||||||||||||||||
ㅣ | 청의정 | 태극정 | 농산정 |
|
|||||||||||||||||||||||||||||||||||||
ㅣ | 농포 | ㅣ | |||||||||||||||||||||||||||||||||||||||
ㅣ | 소요암 옥류천 | ㅣ |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소요정 |
|
||||||||||||||||||||||||||||||
ㅣ | ㅣ | 취한정 | ㅣ | ||||||||||||||||||||||||||||||||||||||
ㅣ | 수복방 | 신선원전 진설청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ㅡ | ㅡ | ㅣ | ㅣ | ||||||||||||||||||||||||||||||||||||
ㅣ | 괘궁정 | ㅣ | 취규정 | ㅣ | |||||||||||||||||||||||||||||||||||||
ㅣ | 재실 | ┏ | ㅡ | ㄱ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능허정 | ㅣ | ||||||||||||||||||||||||||||||||||||
ㅣ | 의효전 | ㅣ |
|
청심정 |
|
ㅣ | |||||||||||||||||||||||||||||||||||
ㅣ | 몽답정 | ㅡ | ㅡ | ㅡ | ㅣ |
|
ㅣ | ||||||||||||||||||||||||||||||||||
ㅣ | ㅣ |
|
ㅣ | ||||||||||||||||||||||||||||||||||||||
ㅣ | ㅣ |
|
|
ㅣ | |||||||||||||||||||||||||||||||||||||
ㅣ | ㅣ |
|
ㅣ | ||||||||||||||||||||||||||||||||||||||
ㅣ | ㅣ | 존덕정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외삼문 | ㅡ | ㅓ | 폄우사 |
관람정 |
ㅣ | |||||||||||||||||||||||||||||
ㅣ |
|
반도지 | ㅣ | ||||||||||||||||||||||||||||||||||||||
ㅣ | ┏ | ┛ | |||||||||||||||||||||||||||||||||||||||
ㅣ | 승재정 | ㅣ | |||||||||||||||||||||||||||||||||||||||
ㅣ |
|
ㅣ | |||||||||||||||||||||||||||||||||||||||
ㅣ | ┏ | ㅡ | ㄱ | ㅣ | |||||||||||||||||||||||||||||||||||||
ㅣ | ㅣ | 반빗간 | ㅏ | ㅡ | 태일문 | ㅡ | ㄱ | ㅣ | |||||||||||||||||||||||||||||||||
ㅣ | ㅏ | 통벽문 | 우신문 | 농수정 | ㅣ | ㅣ | |||||||||||||||||||||||||||||||||||
ㅣ | ㅣ | 연경당 | 선향재 | ㅣ | ㅣ | ||||||||||||||||||||||||||||||||||||
ㅣ | ㅣ | ┏ | ㅡ | ㅡ | ┛ | ㅣ | |||||||||||||||||||||||||||||||||||
ㅣ |
|
ㄴ | 수인문 | 장양문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장락문 | ┛ | ㅣ | |||||||||||||||||||||||||||||||||||||
ㅣ | 창덕궁 애련정 |
|
ㅣ | ||||||||||||||||||||||||||||||||||||||
ㅣ |
|
애련지 | ㅣ | ||||||||||||||||||||||||||||||||||||||
ㅣ | 불로문 | ㅣ | |||||||||||||||||||||||||||||||||||||||
ㅣ | 석거문 | 금마문 | 영춘문 | ||||||||||||||||||||||||||||||||||||||
ㅣ | 운경거 | 의두합 | ㅣ | ||||||||||||||||||||||||||||||||||||||
ㅣ | ㅣ | ||||||||||||||||||||||||||||||||||||||||
ㅣ | 희우정 | 천석정 | ㅣ | ||||||||||||||||||||||||||||||||||||||
ㅣ | 서향각 | 주합루 | ㅣ | ||||||||||||||||||||||||||||||||||||||
ㅣ | 어수문 | ㅣ | |||||||||||||||||||||||||||||||||||||||
ㅣ | 사정기비각 | 부용지 | 영화당 |
춘당대 |
ㅣ | ||||||||||||||||||||||||||||||||||||
ㅣ | 부용정 | ㅣ | |||||||||||||||||||||||||||||||||||||||
ㅣ | ㅣ | ||||||||||||||||||||||||||||||||||||||||
요금문 |
|
|
|
ㅣ | |||||||||||||||||||||||||||||||||||||
ㅣ | ┏ | ┛ | |||||||||||||||||||||||||||||||||||||||
ㅣ | ㅣ | ||||||||||||||||||||||||||||||||||||||||
┏ | ㅡ | ┛ |
|
|
ㅣ | ||||||||||||||||||||||||||||||||||||
ㅣ |
|
|
|
ㅣ | |||||||||||||||||||||||||||||||||||||
ㅣ |
|
ㅣ | |||||||||||||||||||||||||||||||||||||||
ㅣ |
|
|
경훈각 |
┏ | 함원전 | ㅣ | |||||||||||||||||||||||||||||||||||
ㅣ |
|
ㅣ | ㅣ | ㅣ | 청향각 | ㅣ | |||||||||||||||||||||||||||||||||||
ㅣ |
|
의풍각 | ┏ | ㅗ | ㅡ | 융경헌 | 대조전 | 흥복헌 | ┛ | ㅣ | |||||||||||||||||||||||||||||||
ㅣ | ㅣ | 수랏간 | 관리합 | ㅣ | → | ||||||||||||||||||||||||||||||||||||
ㅣ |
|
|
|
|
ㄴ | ㅡ | 요휘문 | 경극문 | ㅣ | 창경궁 | |||||||||||||||||||||||||||||||
경추문 |
|
|
ㅏ | 선평문 | ㅜ |
|
여춘문 |
|
|||||||||||||||||||||||||||||||||
ㅣ | ㅣ | ㅣ | ㅣ | 함양문 | ㄱ | ||||||||||||||||||||||||||||||||||||
ㅣ |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
만수문 | ┏ | ㅡ | 건중문 | ㅡ | ㅡ | ㅗ | ㅡ | ㅓ | 희정당 | ㅣ |
|
|
|||||||||||||||||||||||||||
ㅣ | 양지당 | 만안문 |
|
ㅓ | 선정전 | ㅣ | ㅣ | ㅣ | ┏ |
|
|
||||||||||||||||||||||||||||||
ㅣ | 책고 | 인정전 | ㅣ | ㅣ | ㅣ | ㄴ | ㅡ | ┛ | 관물헌 |
|
|
ㄱ | |||||||||||||||||||||||||||||
ㅣ | 봉모당 | 억석루 | 연경문 | 만복문 | 향실 | ㅏ | ㅡ | 선정문 | ㅡ | ㅓ | 성정각 보춘정 |
|
|
칠분서 |
|
|
|
ㄱ | |||||||||||||||||||||||
ㅣ | 운한문 | 영의사 | 예문관 |
|
ㅣ | ㅣ |
|
|
자시문 | 삼삼와 | 승화루 | 한정당 | ㄴ |
|
ㄱ | ||||||||||||||||||||||||||
ㅣ | 숭범문 | ㅏ |
|
ㅡ |
|
┛ | 영현문 | 전의사 | 취운정 | ㄴ |
|
ㄱ | |||||||||||||||||||||||||||||
|
이문원 | 검서청 | 약방 |
|
광범문 |
|
|
┏ | 낙선재 | ㅜ | 석복헌 | ㅣ | |||||||||||||||||||||||||||||
|
ㅡ | ㅡ | ㅡ | ㄱ | 홍문관 | ㅣ | ㅏ |
|
|
|
|
|
ㅣ | ㅏ | ㅗ | 수강재 | ㄱ | ㅣ | |||||||||||||||||||||||
|
ㄴ | ㅡ |
|
ㅓ |
|
|
|
|
ㅓ |
|
|
ㄴ | 장락문 | ㅓ | ㅣ |
|
|||||||||||||||||||||||||
|
ㅏ | ㅡ | 인정문 | ㅡ | + |
|
┛ |
|
|
ㄴ | ㅡ | ㅡ | ┛ |
|
|||||||||||||||||||||||||||
|
금천교 | 진선문 | 숙장문 |
|
|
||||||||||||||||||||||||||||||||||||
금호문 |
|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
|
|
|
|
|
|
|
|
|
|
ㅣ | ||||||||||||||||||||||||||||
|
|
빈청 (어차고) |
|
|
|
ㅣ | |||||||||||||||||||||||||||||||||||
|
돈화문 |
|
ㄱ |
|
상의원 | 치미각 |
|
|
|
|
|||||||||||||||||||||||||||||||
ㅣ | 원역처소 |
|
|
|
|
|
|
|
|||||||||||||||||||||||||||||||||
ㄴ | ㅡ | ㅡ | ㅡ | ㅗ | 단봉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 | 종묘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북신문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한정당 昌德宮 閒靜堂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 |
건축시기 | 1910년 이후 (창건) |
|
<colbgcolor=#bf1400> 한정당[1] |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
[clearfix]
1. 개요
창덕궁 낙선재 구역에 있는 건물이다. 석복헌 뒤편에 있다. 한정당의 위치는 취운정과 더불어 낙선재 권역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비공개 구역이라 일반 관람객들은 가까이서 볼 수 없다.
2. 이름
'한정(閒靜)' 뜻은 '한가롭고(閒) 고요하다(靜)'이다.3. 역사
순종 재위기에 그린 《동궐도형》에도 보이지 않는 것을 보아, 일제강점기에 건립한 듯 하다. 현재 대부분 궁궐 자료에서는 1917년 이후에 지은 것으로 소개한다. #4. 구조
- 남향(南向)한 1층[2] 목조 건물로 1고주 5량가 구조이다. 장대석 2단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둥과 주춧돌은 사각이다. 기단 앞에는 두 단 짜리 계단을 두 벌 놓았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 공포없는 민도리집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용두, 잡상, 취두를 올리지 않았으며, 단청도 칠하지 않았다. 합각은 벽돌로 마감했으며 가운데에는 '쌍희 희(囍)'자를 역시 벽돌로 만들어 설치해두었다.
-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보는 사람 기준) 오른쪽 칸은 누마루이고, 누마루가 북쪽으로 조금 더 나와있는 형태이다. 누마루 겉면에는 문상방을 두고 아래는 창, 위에는 벽을 설치했다. 온돌방 앞의 툇간은 밖으로 통해있으며, 가운데 칸을 통해 실내로 출입할 수 있다. 온돌방 정면 외벽은 문선을 두고 그 안에 창(제일 왼쪽 칸)과 문(가운데 칸)을 둔 모습이다.
<colbgcolor=#bf1400> 한정당 내부 구조 |
- 창호 살은, 온돌방 바깥쪽은 띠살, 온돌방 안쪽 미닫이문 및 나머지는 모두 '아(亞)' 자살이다.
- 남면을 제외한 나머지 칸 바깥에 전부 쪽마루를 두었다. 쪽마루 서북쪽에는 계단이 있어 마루로 오르내릴 수 있게 했다. 쪽마루 가장자리에는 난간을 설치했다. 난간은 '아(亞)'자 형 교란으로, 그 위에 하엽동자 형태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colbgcolor=#bf1400> 한정당 마당에 있는 괴석분과 정료대[4] |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창덕궁_낙선재 권역 2》.
[2]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3]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창덕궁_낙선재 권역 2》.
[4]
사진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수석(壽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