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제트전투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92> 1940년대
|
<colbgcolor=#EEE,#333>
일본 제국 |
<colbgcolor=#fefefe,#191919> |
1950년대
|
중국 |
J-2 파곳 | J-5 프레스코 | |
인도 |
HF-24 마루트 | ||
1960년대
|
중국 |
J-6 파머 | J-7 피쉬캔 | |
1970년대
|
일본 |
미쓰비시 F-1 | |
중국 |
|
||
이스라엘 |
내셔 | 크피르 | ||
1980년대
|
중국 |
J-8 핀백 | |
|
이스라엘 |
|
||
1990년대
|
대만 |
F-CK-1 징궈 | |
중국 |
JH-7 플라운더 | J-11 플랭커-L | ||
이란 |
아자라크쉬 | ||
이스라엘 |
|
||
2000년대
|
일본 |
F-2 "바이퍼 제로" | |
중국 |
J-10 파이어버드 | JL-9 샨잉 | ||
이란 |
사에케 | |
||
중국- 파키스탄 |
JF-17 썬더 / FC-1 샤오룽 | ||
2010년대
|
대한민국 |
FA-50 파이팅이글 | |
중국 |
J-15 플랭커-X2 | J-16 플랭커-G | J-20 페이긴 | FC-31 궈잉 | ||
인도 |
LCA 테자스 Mk.1(A) | ||
이란 |
|
||
2020년대
|
대한민국 |
KF-21 보라매 | |
중국 |
J-35 | ||
인도 |
MWF 테자스 Mk.2 |
TEDBF | |
||
2030년대
|
일본 |
F-3 | |
GCAP | |||
대만 |
|
||
인도 |
AMCA | ||
※ |
|||
}}}}}}}}} |
현대 대만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만군| 중화민국 국군 (1947~현재) ]]'''
中華民國國軍 |
||
<colbgcolor=#000096> 회전익기 |
<colbgcolor=#000096> '''[[무장헬기| 경헬기 ]]'''
|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 OH-6A 카유스■ | S-51 | |
''' 다목적 헬기 '''
|
EC225 슈퍼 퓨마 | S-70(C-1/C-6) 슈퍼 블루 호크 | UH-60M 블랙 호크■ | UH-1(B/H) 휴이■ | UH-34D 초크토우■ | ||
수송헬기 | CH-47SD 치누크■ | ||
공격헬기 | AH-64E 아파치■ | AH-1W 슈퍼 코브라■ | ||
대잠헬기 | S-70C(M)-1/2 썬더호크■ | 500MD ASW■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P-51(B/C/D/K) 머스탱 | P-47(D/N) 썬더볼트 | P-40(E/K/N) 워호크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F-84G 썬더제트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5(A/B) 프리덤 파이터 | F-104(A/B/C/D/G/J) 스타파이터 | F-100A 슈퍼 세이버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5E/F 중정호 | ||
4(.5)세대 |
F-16(A/B) 블록 20 → F-16(C/D) 블록 70 파이팅 팰콘 |
미라주 2000-5(Ei/Di) |
F-CK-1(A/B) 경국 | |
||
공격기 |
|
||
폭격기 | B-26(B/C) 머로더 | B-25(C/D/J) 미첼 | B-24M 리버레이터 | 모스키토 FB.26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16A | RF-5E 타이거아이 | RB-69A | RB-57(D/F) 캔버라 | RF-104 | RF-101A 부두 | RF-100A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 |
전술 | C-130H 허큘리스 | C-54(D/G)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 C-119(G/L) 플라잉 박스카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
다목적기 | C-45 익스퍼다이터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2K 호크아이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3C 오라이언 | S-2(A/E/G/T) 트래커 | P-2 넵튠 | PB4Y-2 프라이버티어 | ||
전자전기 | C-130HE | ||
''' 연락기 '''
|
O-1버드 도그■ | L-5 센티넬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홍작미-(1/2)형■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예연■■클래스 3 - MALE급
등운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34C 터보 멘토 | T-CH-1 중흥호 | T-28A 트로젼 | AT-11 캔전 | AT-6 · T-6 텍산 | PL-1(A/B) 개수호■■ | |
제트 | T-BE-5A 용응 | AT-3 자강 | T-38A 탈론 | TF-104G · F-104DJ | T-33A 슈팅스타 | ||
헬기 | TH-67A 크릭■ | TH-55A 오세이지■ | ||
VIP 탑승기 | B737-8AR | 포커 50 | 비치 B1900C | B727-109 | B720-051B | VC-118 | VC-47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 |
|
|
AIDC F-CK-1 Ching-kuo, 經國 (jing guo, 징궈,경국) |
1. 개요
IDF(Indigenous Defence Fighter)국산 방위 전투기(自製防禦戰機)
대만에서 제작된 대만산 전투기. 징궈라고도 불리며, 이 이름은 대만의 6, 7대 총통 장징궈(蔣經國(장경국))를 기념하는 의미로 명명된 것이다.
2. 제원
종류 | 쌍발 터보팬 경전투기 |
전폭 | 9.0m |
전장 | 14.21m |
자체 중량 | 6,486kg |
최대이륙중량 | 12,247kg |
최고 속도 | 2,220 km/h 마하 1.8 |
실용상승한도 | 16.8km 55,000ft |
항속거리 | 1,100km (660mi, 600nm) |
레이더 | 천룡 53형 X밴드 도플러 레이더(GD-53) |
엔진 | 하니웰/ITEC F125-GA-100 터보팬 엔진 2기[1] |
무장 | 20mm M61A1 벌컨 기관포 1문 |
톈첸 7형 공대공 미사일 | |
슝펑 2형 공대함 미사일 |
3. 개발 역사
1980년대 초 대만은 노후화된 70여 대의 록히드 F-104 스타파이터와 360여 대의 노스롭 F-5 프리덤 파이터(타이거2)를 대체할 계획을 세웠다. 미국의 노스롭 F-20 타이거샤크나 제네럴 다이내믹스 F-16 파이팅 팰콘 등이 물망에 올랐다. 그러나 예나 지금이나 제3국의 대만으로의 무기판매를 견제해온 중국의 방해로 인해 F-16이나 F-20의 도입은 무산되었다.[2][3] 이후 대만의 국영기업인 AIDC(한국의 국방과학연구소에 해당)가 주축이 되어 1982년 매양계획이라는 국산 전투기 독자 개발사업, IDF 사업을 발표했다. 경국, 즉 징궈를 IDF 전투기라고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당시 징궈의 개발은 대만이 비밀리에 진행 중이던 핵무기 개발 계획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다시 말해 유사시 대만이 개발한 핵무기를 중국에 사용하기 위한 탑재, 운용 수단의 역할을 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던 것. 그러나 1988년 초 대만의 핵개발이 관련 인사의 미국 망명으로 폭로되면서, 이는 무산되었다.
다양한 설계안을 거쳐 최종 확정된 안건이 1985년 경 프로토타입으로 제작되었다. F-104의 확대형에서 F-16XL과 흡사한 주익을 지닌 설계도 있었다. 관련 자료를 볼 수 있는 사이트
(1989년 거행된 징궈의 롤아웃 기념 행사. 가운데 인물은 리덩후이 당시 총통)
이후 1989년 첫 양산기가 롤아웃되어 실전배치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듬해인 1990년 조지 H. W. 부시 행정부가 F-16A 블록 20의 150대 수출을 결정하고, 프랑스도 미라주 2000-5 60대를 대만에 판매했다. 그래서 애초 계획된 250대에서 절반 가까이 줄어든 130대가 생산되어, 배치가 완료된 상태다.
대만 공군은 유사시 공대공 임무에 특화된 미라주 2000을 대만 영토에서 최대한 떨어진 대만해협 상공에서의 고고도 요격 임무에 우선 동원한다. F-16이 그 뒤를 이어 대만 영토 주변 상공을 대상으로, 중고도 요격과 대지 화력지원 임무를 담당하도록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리고 징궈는 대만 영토 상공에서 저고도 방공 임무를 수행하면서, 대함 공격 임무도 병행하도록 운용된다.
4. 상세
아시아의 라팔이라는 평도 있지만 징궈는 F-5를 대체할 목적의 경량급 전투기이니 정확한 비교는 아니다. 이런 평가는 해외판매 실적도 없고 자국 공군도 도입수량을 줄인 상황을 비꼬는 인상도 있다. 그러나 국제외교관계에서 대만이 자국산 무기, 그것도 전투기를 외국에 팔기는 불가능하다. 또한 전적으로 신형 고성능 전투기의 구매가 어려워지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자국군용으로 개발한 전투기가 징궈이다.원래 대만 공군이 도입하려던 전투기는 F-20으로 노스롭사가 대만을 믿고 자사비용으로 개발했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대만에 판매를 금지하면서 그 대안으로 대만이 자체개발한 (미국 회사들의 기술지원이 있었지만) 전투기이다. 제원 역시 딱 F-20급이다.
징궈의 외형은 F-16과 흡사한 모습의 블렌디드 윙 바디를 지니고 있다. 플라이-바이-와이어 시스템이나 앞전 플랩 등을 채택해서 비행성능을 확보한 것 역시 F-16과 같다. 레이더의 화기관제체계(FCS)는 F-20용으로 개발된 APG-67(V)을 개량해 록 다운/슛 다운 성능을 갖춘 천룡 53형을 사용한다. 대략 150Km 정도의 탐지능력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불명.
문제는 엔진에 있다. 미국 정부의 압력 때문에 대만은 엔진 개발이 어려웠다. 제너럴 다이너믹스 등의 기업은 민간차원에서 협력했고, 미국 정부는 아무런 지원도 하지 않았다
본래 대만은 F100/ F110 엔진[4]이나 F404 엔진[5]을 구매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중국을 고려하여 미국이 이를 거절하였으며 J85[6], J79[7] 같은 구형 엔진 판매만 허용했다. 결국 대만은 '민간적 차원'에서 미국의 제트 엔진 업체인 가레트(Garrett)와 협력했다.
가레트는 TFE-731이라는 비즈니스 제트기 등에 쓰는 민수용 엔진[8]을 개발한 업체였다. 이들은 이미 1978년에 스웨덴의 볼보와 함께 TFE-731 엔진을 기반으로 한 전투기용 엔진인 TFE-1042를 개발하고 있었다. 대만의 AIDC는 곧 이 TFE-1042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여기에 이탈리아 업체인 피아지오[9]도 끼어 들었다. 대만은 징궈 전투기에 이 엔진을 달고자 하였으며 볼보는 후에 JAS 39 그리펜이 된 스웨덴의 신형 전투기에, 피아지오는 AMX 경공격기/고등훈련기나 F-5의 성능 업그레이드에도 쓸 생각이었다. 이에 따라 가레트, 볼보, AIDC, 피아지오는 경공격/고등훈련용으로 애프터버너가 없는 TFE-1042-6과 전투기에 쓸, 애프터버너를 장착한 TFE-1042-7 엔진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JAS 39를 단발로 개발할지, 쌍발로 개발할지 고민하던 스웨덴은 곧 F404를 자기네 입맛에 맞게 약간 개량한 모델인 RM12를 쓰기로 하여 볼보는 TFE-1042 사업에서 발을 빼버렸다. 게다가 피아지오 역시 자금상의 이유로 사업에서 발을 빼버림에 따라 결국 남은 가레트와 AIDC는 1982년에 ITEC(Inernational Turbine Engine Coporation)이란 업체를 새로 세워 여기서 신형 엔진의 개발을 계속 진행했다.
그리고 1982년 말엽에 징궈의 주 임무가 고속 요격기에서 격투전을 중시하는 전투기로 변환되어서 엔진의 요구사양 역시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초음속 비행성능보다는 아음속에서의 효율을 중시). 곧 TFE-1042-7은 새로운 요구조건에 맞춰서 재설계되었으며, 이것이 현재 징궈 전투기에 들어간 TFE-1042-70A이다. 현재는 가레트가 Honeywell에 인수되며 엔진 이름을 Honeywell/ITEC F125-GA-100 로 변경되었다.
이렇게 비지니스 제트기에 들어간 엔진을 기초로 개발했기 때문에 징궈는 '엔진 힘이 약하다.'라는 소문이 퍼져있지만, 사실 기종체급과 비교하면 엔진힘이 약하지는 않다. 징궈는 크기나 중량면에서 F-20, JAS 39, T-50과 거의 유사한데 이들은 모두 F404 계열의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TFE-1042-70을 두개 합치면 F404보다 약간 강한 추력을 내게 되며, 쌍발 엔진 사용에 따른 무게중량을 감안하면 사실 F404 하나만를 사용하는 것이나, TFE-1042-70을 2개 사용하는 것이나 거기서 거기인 셈. 실제로 앞서 언급한대로 JAS 39도 이 엔진을 쌍발로 탑재하는 방안이 고려된바 있으며 T-50도 이 엔진의 미국 생산형인 F124 엔진을 쌍발로 탑재하는 방안이 고려된 바 있다.
'징궈는 민간용 엔진을 쓴 전투기라 성능이 나쁘다.'란 소문의 원흉은 사실 미국. 중국이 자꾸 태클을 걸려고 하자 미국이 이런 식으로 중국을 달랜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징궈가 미국 탓에 고생을 할 뻔 하기도 했다. 미국이 엔진 제어 소프트웨어(FADEC)에 제한을 걸어서 최대추력을 낼 수 없게 해놓았던 것. 이 제한은 1990년에나 풀렸는데 징궈가 대만 공군에 인도되기 시작한 때는 1994년이므로 최대추력의 제한이 실제 징궈의 운용상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물론 징궈 정도의 소형 전투기라면 단발 엔진이 가격이나 중량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성능 면에서 징궈는 딱히 엔진 자체의 추력부족 때문에 큰 고생을 하지는 않았다. TFE-1042-70의 미국 생산형인 F124는 현재 미국의 하니웰에서 제작한다. 대만의 경국호 뿐 아니라 차세대 훈련기인 T-5 Brave Eagle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추력이 28 kN 가량인데 이 정도 추력 범위의 터보팬 엔진이 그리 많지 않아 여러 중소형 군용기의 엔진으로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이것은 X-45 무인 전투기 시범기와 체코의 L-159 경전투기에 쓰이고 이탈리아의 M-346 훈련기에 쓰이고 있다.
덕분에 외국부품을 많은 곳에서 끌어다 쓴 결과로 대만에서 쓰는 전투기치고는 국산화율이 낮은 편이었다. 징궈 1호기가 출고된 시점 당시의 국산화율은 약 3%로[10] 상당히 낮지만 대신에 국산 무장 플랫폼이 생겼다는 점에서 대만군은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듯 하였다. 그러나 이후 징궈 전투기를 기반으로 80% 넘게 새로운 부품과 복합재료를 사용한 T-5 Brave Eagle 훈련기의 국산화율이 55% 수준으로 진척된 점으로 보아 징궈 전투기에 들어가는 항공 부품 역시 국산화가 순차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AIDC는 개량형(전자장비 개량 및 연료탑재량 증가)인 F-CK-1C/D의 프로토타입 2대를 제작했지만 군에서는 별 관심이 없는 듯 하다. 그러나 일부 개량은 이루어졌다. 미화 5억 7천만 달러를 투자하여 징궈 전투기 130대 중 71대를 대만의 타이중시에서 개량하는 사업이 2011년부터 진행 중에 있다. 개량사업의 중점은 글래스 칵핏의 적용같은 항공전자장비, 탑재되어 있는 기계식 레이더의 성능 향상이 중점이며 더 좋은 기계식 레이더나 AESA 레이더, 엔진 교체를 고려하지는 않기에 징궈의 성능 향상에는 제한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만 공군은 징궈 전투기를 개발하면서 이를 비밀리에 개발하고 있었던 핵무기를 투발하는 데 쓰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88년에 폭로되면서 수포로 돌아갔고, 징궈에 핵무기가 탑재되는 일은 없었다.
5. 파생형
5.1. F-CK-1 A/B 經國 Ching-kuo
최초로 만들어진 형식으로 1989년 단좌형인 A형이 성공적으로 시험비행을 마쳤고 복좌형인 B형은 1990년에 첫 시험비행을 실시했다. 대만 자체개발 공대공 미사일인 천검 II의 발사는 1992년에 성공하였다. 이후 256대의 주문을 받았지만, F-16과 미라주 2000의 도입으로 생산 라인을 감축했다.5.2. F-CK-1 C/D 雄鷹 Hsiang Sheng
2001년에 대만 국방부가 징궈의 업그레이드 계획을 발표하였다. 업그레이드 내용은 천검2(TC-2) BVR용 공대공 미사일 탑재능력을 2발에서 4발로 확대, 천검2A(TC-2A) 대레이더 미사일 장착능력을 위한 통합작업, CFT(Conformal Fuel Tank) 장착으로 작전거리 확대, 771Kg 연료 확대, 미션 컴퓨터 교체, ECM, EW, 능동형 피아식별장치(AIFF), 지형참조 레이더 업그레이드(SAR 기능), 랜딩기어 강화 등이 있다. 2009년부터 71대의 전투기에 업그레이드가 시작되었고 남은 56대의 전투기도 2015-2016년에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5.3. T-BE5A 勇鷹 Brave Eagle
대만 공군의 차기 고등훈련기로, 징궈 기반의 개조 항공기를 개발, 양산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당초 대만은 한국의 T-50, 이탈리아의 M-346 등을 원했지만, 역시나 중국의 외교적 압력을 고려할 때 실현 가능성이 없다보니 자체 개발로 방향을 선회한 것.
2016년 4월 파란 까치를 뜻하는 란췌(藍鵲)라고 명명된 차세대 고등훈련기 XT-5의 시안이 공개됐는데 당시 대만산 전투기 경국호(經國號·IDF)와 모양이 거의 비슷해 '경국호 축소판'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대만 국방부는 총 686억여 대만달러(약 2조7천440억원)의 예산을 편성, 2022년부터 2026년까지 모두 66대 차세대 초음속 훈련용 전투기를 생산할 계획이다. 대당 약 7억 3천만 대만달러(약 292억원)가 들어가는 셈이다. 이를 위해 300여명이 연구개발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더 나아가 징궈의 양산이 종료된 뒤 끊길 뻔 했던 대만의 전술기 제조역량을 이어가는데 성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2019년 9월 24일 첫 번째 프로토타입의 출시 행사가 있었다. 이 행사에서 정식 명칭이 T-5 Brave Eagle (융잉(勇鷹):용맹한 독수리)로 확정되었다.
2020년 6월에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60여대를 생산해서 기존의 AT-3 훈련기와 F-5 등을 대체할 계획이다.
중요 부품들은 3D 프린트로 사용한다. #
새로 개발 되었다고 하지만 엔진 구성도 경국호와 동일하고 크기도 경국호보다 약간 큰 정도로 최대이륙중량도 별 차이가 없고 T-50과 유사한 12.2 톤 정도이다. 경국호의 축소판이라기 보다는 경국호의 현대개량판. 다만 훈련기용으로 2인승으로 확장하고 최고속도를 1,000 kmh 정도의 아음속으로 낮추고 기체를 경량 탄소섬유 등 사용을 늘이고 날개를 두텁게 해 연료적재량과 저속안정성을 높였다. 그외 전자장비들을 보다 현대화하고 국산화 비율을 55%로 높인 정도이다. AESA 레이더 창작도 준비하는 등 원본 전투기인 경국호보다 오히려 더 고성능의 고등훈련기로 개발되었다. 대만도 앞으로 훈련기 뿐 아니라 공대공 미사일등 무장을 추가해서 중국전투기의 방공식별구역 침입 등에 대항하는 대응 출격 등 요격기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2021년 11월 29일. 첫 실전배치되었다. #
6. 탑재 무기
아래에서 설명하는 징궈의 주요 무기들은 모두 대만의 독자 개발 무기들이며, 역시 대만 공군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제 F-16과 프랑스제 미라주 2000에서는 탑재, 운용되지 않는다.6.1. 공대공: 톈첸(天劍)
▲단거리 버전인 톈첸 1호. 외형이나 사거리 등에서 미국제 AIM-9 사이드와인더와 비슷.
▲중거리 버전인 톈첸 2호. 외형이나 사거리 등에서 미국제 AIM-120 AMRAAM과 비슷.
현재 대만은 단거리인 톈첸 1호를 차량 탑재형 단거리 지대공, 혹은 해군 수상전투함 탑재용, 중거리인 톈첸 2호는 AGM-88 HARM과 유사한 대레이더 제압용 미사일로 응용, 개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8년 3월, 대만 공군은 톈첸 2호를 기반으로 개발된 대레이더 제압용 미사일을 전력화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징궈 전투기를 중국 지상 방공전력 제압 임무에 동원할 수 있게 되었다.
6.2. 공대함: 슝펑(雄風)
전투기에서 탑재, 발사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해군에서 운용하는 슝펑 대함 미사일과 큰 차이는 없다.
6.3. 공대지: 완첸(萬劍)
사거리 300km로 미국제 AGM-154 JSOW(Joint Standoff Weapon), 프랑스의 아파치 순항 미사일과 유사한 성격의 무기. 수많은 자탄을 살포하여 적 공군 기지의 활주로, 방공 레이더를 무력화하는데 효과적이다.[11]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각 27 kN/42.1 kN (6,100/9,500파운드)
[2]
F-20은 애당초
노스롭사가 대만 시장을 주 고객으로 상정하고 개발한 F-5의
업그레이드기종이었으나, 중국의 반대가 극심하여 미국 정부가 대만 판매금지 처분을 내렸다. 그 후 여기저기 팔아보려고 시범비행을 하다가 3대의 시제기 중 2대가 차례로 추락사고를 일으켰는데, 그 중 한번이 1984년 한국에서의 시범비행 중에 발생했다. 징궈 개발계획은 1982년에 시작되었으니, 추락 사고 때문에 대만 공군이 F-20를 구매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아니다.
[3]
70년대 말-80년대 초는 양국이 막 수교한 시점이라 특히 대만 문제에 관련해서는 미국이 중국에 숙이고 들어가는 상황이었다. 당시 육군에서도 비슷한 이유로
M48 패튼을 대체할
M1 에이브람스 도입 시도가 불발되었고, 한동안 기존
M60 전차를 개량하거나 M48을 마개조한
CM-11 용호전차를 제작하는 등 필사적인 돌려막기를 해야 했었다. 대만의 에이브람스 도입은 미중관계가 악화된 2019년에 들어서야 가능하게 되었다.
[4]
F-15,
F-16에 채용된 엔진이다.
[5]
단발로는
F-20,
T-50 골든이글 등에도 사용된 엔진이며 쌍발의 경우
F/A-18 A/B/C/D에 채용되었다.
[6]
F-5에 채용된 엔진이다.
[7]
F-4 팬텀 II에 채용된 엔진이다.
[8]
해당 엔진은 비지니스 제트기 이외에도 대만제 AT-3 중등/고등훈련기, 스페인의 CASA C-101 중등 훈련기나 아르헨티나의 IA63 고등훈련기,중국 JL-8 중등훈련기의 엔진으로도 채용된 바 있다.
[9]
Vespa 스쿠터로 많이 알려진 Piaggio 그룹에서 분리된 이탈리아 항공기 업체
링크
[10]
징궈(경국) 전투기 전체 46만5000개의 부품 중 1만7000개의 부품 국산화. 참고로 한국의 경우
T-50 골든이글의 1호기가 출고되었을 당시 기준으로 국산화율이 48%였다가 순차적으로 국산화하여 55%이상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KF-21 보라매의 경우 1호기의 국산화율은 65%으로 시작하여 추후 국산화가 더 진척될 예정이다.
[11]
활주로는 사소한 아스팔트 조각이나 작은 구멍만 있어도 항공기 이착륙이 불가능하다. 복구하는데에는 1~2시간만 있으면 되나, 그 시간동안 공군의 작전을 지연시키니 전략적으로 충분히 가치는 있다. 그리고 공군 정비사들의 주요 임무 중 하나가 활주로의 아스팔트 조각을 줍는 것이다. 적 공군기지 활주로 공격으로 해당 방면의 적 공군이 출격할수 없게되면 해당 상공의 제공권을 아공군이 일시적으로 가져갈수 있게 되며, 이 제공권을 계속 유지할수만 있다면 어차피 적 공군기지는 이론상 활주로에 지속적으로 아공군의 폭격을 받게 되므로 제공권을 탈환하지 않는 한 공군기지로서 기능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