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용어에 대한 내용은 혼종(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문서
, 잡종과 같은 의미인 혼종이라는 단어가 쓰이는 경우에 대한 내용은
혼종
문서
참고하십시오.1. 개요
雜種/ Hybrid이종의 교배에 의하여 생긴, 유전적으로 여러 종의 유전자가 섞인 생물을 말한다.
네이버 국어사전-잡종
2. 사람과 애완동물에서
현생 인류는 단일종으로, 서로 다른 인종이 낳은 아이는 잡종(Hybrid)이 아니라 혼혈(Mixed-blood)로 부르는 게 옳다. 다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인을 제외한 현생 인류의 대부분은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을 비롯한 인류들 사이의 교잡종이다.마찬가지로 개나 고양이 역시 단일종이기 때문에 생물학적 잡종이 아니라 견종/묘종(breed)간의 혼혈이다. 똥개 등 잡종이 띠는 부정적인 늬앙스가 있지만(특히 분양 관련), 실제로는 잡종 쪽이 더 건강한 경우가 꽤 있다. 사실 너무나 당연한 게, 순종은 대개 근친교배의 반복이기 때문에 결국 유전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만 잡종은 유전적 다양성에 의한 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1]
3. 상세
잡종은 생물학에서 두 가지 뜻으로 사용된다.첫 번째는 생물학 용어로 '다성 잡종', 서로 다른 계통 간의 교배로 태어난 동물이나 식물을 뜻한다. 같은 '속'에 속하는 다른 종 사이의 잡종을 종간잡종이라 하고, 같은 종 내의 다른 ' 아종' 사이의 잡종을 종내잡종이라고 한다.
두 번째는 동일 종 내에서 서로 다른 품종이나 재배종 사이의 교잡종을 말한다.
보통은 서로 다른 생물 종에 속하는 부모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의미한다. 같은 종임에도 불구하고 인공적으로 인간의 편의를 위해 유전공학이나 육종학을 통해 개량하여 임위적으로 차이를 두는 것은 품종이라 불린다. 영어로는 하이브리드라고 한다. 인간 혼혈한테 쓰는 경우도 있으나,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이 멸종 위기종인 산악고릴라보다 못한 단일 개체로, 인종차별로 인해 인종을 구분하던 시대의 정치적-사회적 잔재라 따지기도 전에 생물학적 관점에서 틀린 말이니 알고 쓰는 것이 좋다.[2] 분류학이 잘 관심을 받지 못하는 대한민국에서는 잡종과 품종을 혼동해 같이 부르는 경우도 많으나, 학계에서 이는 엄연히 구분되는 다른 개념이다.
생김새가 상당히 다른 동물들끼리도 교배가 되는 것은 공통 조상에서 진화하였음을 보여주는 진화의 생생한 증거다.
예를 들자면 모든 개는 늑대의 아종(亞種)으로, 서로 전부 같은 종이며, 유전적 차이가 없으며 서로 교배가 가능하다.[3] 이와 달리 현재 재배되는 밀의 품종들 중에는, 서로 다른 종끼리 번식한 결과 염색체의 수가 변형된 종도 존재한다. 물론 그럼에도 후세대에 정상적인 유성 생식이 가능한 건 덤(...) 식물이 원래 다른 생물들에 비해 교배가 쉽긴 하지만 이런것까지 가능하다는 점은 확실히 종 간의 유전적 호환성을 대변해준다고 말할 수 있다.
잡종은 자연적으로도 발생가능하지만 인위적으로 가축이나 작물의 품종을 개량하면서 만들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4] 잡종 식물은 경작에서 매우 중요하다. 얼마나 중요하냐면, 식탁 위에 올라오는 거의 90%의 식물들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잡종 혹은 품종들이다. 옥수수의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단일품종 2가지를 심은 후, 한쪽 품종에서는 암술을 다른 품종에서는 수술을 전부 제거하여 수분한 후 옥수수를 얻어내며, 이런 옥수수는 잡종강세를 보여 튼실하다.
잡종은 다양한 유전자 보유를 통해 나쁜 열성인자[5] 발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 형질을 강조하는 데에는 불리하고, 당대에 (인간의 관점에서) 좋은 형질이 발현되더라도 이를 후세에 선택적으로 물려주기 어렵다. 잡종이 당대에는 좋은 개체를 얻는 데에 유리한 점이 많지만 품종개량은 무작정 잡종을 만드는 것으로는 안 된다는 얘기.
위에 언급으로 '그럼 교잡종은 나쁜 게 아니네?'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문제가 있는 교잡들도 있다. 사실 거의 대부분의 교잡이 다 그렇다.
아래는 '아종간 잡종'의 예.
아종간 잡종은 위에서 서술했지만 아종간에 일어난 교잡을 말한다. 아종간 잡종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아종들은 종이 각자 환경에 맞추어 적합하게 분화된 산물이라는 것이다.
2. 생물학에서 나누는 최소 단위에서 정의 되지못하니 이 개체들은 종까지 밖에 정의되지 못한다.
3. (사례가 적긴 하지만) 유전적 이상을 초래해 당장 태어난 교잡 개체의 생존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아종간 잡종'의 사례로는 동물원의 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와 벵골호랑이의 교잡)나 애완용 왕사슴벌레(중국산 호페이왕사슴벌레와 한국/일본 왕사슴벌레의 교잡) 등이 있다.[6] 호랑이는 동물원에서 백호 등 희귀 품종이나 개체수 증식을 위한 목적으로, 왕사슴벌레는 매니아들이 극태(굵은 턱) 등 혈통 중심의 브리딩의 목적으로 교잡화되었으며, 순혈 아종이나 야생 개체와 교잡될 경우 유전자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더 자세한 설명은 이 글과 이 글로 이동할 것.
이해하기 쉽게 호랑이로 설명하자면, 더운 지역에 살기 좋게 짧은 털과 비교적 얇은 지방층을 가진 벵골호랑이나 수마트라호랑이 등과 눈 내리는 추운 지역에 사는 긴 털과 두터운 지방층을 가진 시베리아호랑이를 교잡시킨다고 생각해보자. 형질을 선택적으로 물려줄 수는 없기 때문에 형질이 섞이거나 일부는 발현되지 않는데 이렇게 되면 부모 중 어느쪽의 환경에서도 살기 힘들다. 그리고 이러한 교잡이 계속 반복되어 교잡의 수가 두 아종의 수보다 많아지면 아예 두 아종을 지구상에서 없애버릴 수도 있다. 두 아종간의 경계가 희미해지기 때문. #[7]
현재 이런 교잡 개체들은 대부분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동물원에 있다. 왜냐면 인간들이 과거 이들의 아종적 구분을 생각하지 못하고 멋대로 섞어버렸기 때문이다.[8]
그렇다고 지금 동물원에 있는 교잡 개체들을 차별하라는게 아니다. 원종을 확보&유지하도록 하는 야생생물보전 원칙을 품종지상주의의 논리와 겹쳐 보면 안된다. 이 둘은 취지부터 다르다.
4. 실존하는 잡종
4.1. 동물
대다수의 동물들은 약간씩 다른 종 간의 교배를 통해 여러 종으로 분화되기도 했고, 사람에 의해 인공적으로 품종 개량되면서 여러 품종이 섞인 잡종이 되기도 했다.참고로 후술하는 생식능력이 있는 종과 없는 종의 차이는 근연도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 예를 들어 염색체 수가 2n=64개인 말과 2n=62개인 당나귀 사이에 태어나는 잡종인 노새는 말로부터는 n=32개, 당나귀로부터는 n=31개의 염색체를 받기 때문에 염색체 수가 2n=63개, 즉 상동염색체의 짝이 안 맞아 생식을 위한 감수분열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생식 능력이 없지만, 염색체의 수가 같은 종들끼리 낳는 잡종은 그런 문제가 없어서 생식 능력이 있는 것.
송사리와 대륙 송사리의 잡종의 경우 송사리로부터 n=48개, 대륙송사리부터 n=46개의 염색체를 받아 염색체 수가 2n=47로 상동염색체의 짝이 맞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감수분열을 일으켜 같은 잡종끼리도 생식능력이 있다. 다만 잡종 1세대들은 모두 2n=47인 반면 2세대 잡종들은 46,47,48로 개체마다 염색체 수가 다르다.
4.1.1. 생식능력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근연종에 해당할 경우 생식능력을 보존하는 경우가 많다. 정말 드물지만 이렇게 생식 능력을 보유한 후손이 나름대로의 개체군을 형성, 새로운 종으로 자리잡는 경우도 있다.포유류
- 현생 인류 - 호모 사피엔스 + † 네안데르탈인
- 침팬지 + 보노보
- 칵테일오랑우탄 - 보르네오오랑우탄 + 수마트라오랑우탄
- 피즐리 베어 - 북극곰 + 회색곰
- 날루가 - 일각고래 + 흰돌고래
- 모티[9] - 수컷 아프리카코끼리 + 암컷 아시아코끼리
- †제퍼슨매머드 - † 털매머드 + † 컬럼비아매머드
- 교잡 기린 - 그물무늬기린 + 마사이기린 + 북부기린
- 카마 - 수컷 단봉낙타 + 암컷 라마[10]
- 단봉낙타 + 쌍봉낙타
- 홀핀 - 수컷 흑범고래 + 암컷 큰돌고래
- 비팔로 - 수컷 소 + 암컷 아메리카들소
- 자파라바디 버팔로 - 아프리카물소 + 아시아물소
- Artibeus schwartzi - A. jamaicensis + A. planirostris + 불명[11]
- 개과
- 고양이과
조류
- 금은계 - 금계 + 은계
- 슈누후(Schnuhu) - 암컷 수리부엉이 + 수컷 흰올빼미
- 카탈리나금강앵무 - 금강앵무 + 청금강앵무
- 청둥오리 + 흰뺨검둥오리
- 할리퀸금강앵무 - 청금강앵무 + 홍금강앵무
- 매속 종들의 인공적 교잡
파충류
- 가비노 바이퍼 - 가봉북살무사 + 코뿔소살무사
- 뱃이터 - 그물무늬비단뱀 + 버마비단뱀
- 캣이터 - 아프리카비단뱀 + 버마비단뱀
- 정글 레티큘레이티드 파이톤 - 그물무늬비단뱀 + 뱃이터
- 범볼파이톤 - 공비단뱀 + 버마비단뱀
- 슈퍼볼파이톤 - 블러드 파이톤 + 공비단뱀
- 앵그리 볼파이톤 - 앙골라비단뱀 + 공비단뱀
- 카펠파이톤 - 융단비단뱀 + 공비단뱀
- 카폰드로 파이톤 - 초록나무비단뱀 + 융단비단뱀
- 보아콘다 - 보아 + 아나콘다
- 정글콘스네이크 - 옥수수뱀 + 캘리포니아왕뱀
- 하이브리드 이구아나 - 바다이구아나 + 육지이구아나
- 운큐(ウンキュウ) - 남생이 + 일본돌거북
- 샴바다악어[15] - 샴악어 + 바다악어
양서류
- 판타지팩맨 - 차코뿔개구리 + 수리남뿔개구리
어류
- 베스터(bester) 철갑상어 - 큰철갑상어 + 스텔렛철갑상어
- 플라워혼
- 미니 패럿 - 혈앵무[16] + 컨빅트시클리드
- 송사리 + 대륙송사리[17]
- 아마존 몰리(Poecilia formosa) - P. mexicana + 세일핀 몰리(Poecilia latipinna).[18]
- 일렉트릭 블루 아카라 - 라미레지 + 블루아카라
- 컷보우 송어 - 무지개송어 + 컷스로트송어[19]
- 혼앵무 - 혈앵무 + 플라워혼[20]
4.1.2. 생식능력이 없거나 제한적인 경우
염색체 개수가 다르거나 근연종이 아닐 경우 생식 능력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단,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암컷이 제한적으로 생식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기프 또는 쇼트 - 숫염소 + 암양
- 꿩닭 - 꿩 + 닭
- 닭 + 인도공작
- 노새 - 수탕나귀 + 암말
- 왕애사슴벌레 - 왕사슴벌레 + 애사슴벌레[21]
- 머피 - 구피 + 몰리
- 혈앵무 - 시클리드 미다스 + 레드헤드 시클리드
- 타이거 송어 - 갈색송어 + 강송어[22]
- 타이거 강늉치고기 - 강늉치고기 + 북부민물꼬치고기
- 스터들피쉬 - 아메리카주걱철갑상어 + 철갑상어[23]
- 크로커다일가아 - 엘리게이터가아 + 점박이가아, 플로리다가아, 긴코가아
- 버새- 수말 + 암탕나귀
- 살인벌 - 이탈리아꿀벌 + 이베리아꿀벌 + 아프리카꿀벌[24]
- 지브로이드 - 얼룩말 + 말, 조랑말, 당나귀[25]
- 조스(Zorse) - 수컷 얼룩말 + 암컷 말
- 조니(Zony) - 수컷 얼룩말 + 암컷 조랑말
- 제틀랜드(Zetland) - 수컷 얼룩말 + 암컷 셰틀랜드 포니
- 제동크(Zedonk) 또는 제브라스(Zebrass) - 수컷 얼룩말 + 암컷 당나귀
- 제브레트(Zebret) 또는 제브리니(Zebrinny) - 암컷 얼룩말 + 수컷 당나귀
- 헤브라(Hebra) - 암컷 얼룩말 + 수컷 말
- 쿤가 - 당나귀 + † 시리아야생당나귀
- 뮬라드/도반 - 청둥오리 + 대만오리
- Dogxim[26] - 개 + 팜파스여우[27]
- 이름 불명 - 흰코뿔소 + 검은코뿔소
4.2. 식물
- 왕벚나무
- 제주왕벚나무 - 올벚나무 + 산벚나무
- 소메이요시노벚나무 - 올벚나무 + 오오시마벚나무
- 우장춘의 삼각형
- 플럼코트 - 자두 + 살구
- 귤속 - 귤속의 잡종은 여기에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다. 심지어 족보가 너무 다양해서 정리도 제대로 안 되어 있다.
- 쪽파 - 대파 + 샬롯
5. 서브컬처에서
5.1. 해리 포터 시리즈의 잡종
혈통 문서의 머드블러드 문단으로.5.2.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
해당 시리즈의 주 등장 종족인 저그와 프로토스의 장점만을 인위적으로 결합한 혼종이 등장한다. 공식 번역이 등장하기 이전까지는 이쪽 역시 잡종이라는 명칭으로 불렸다.사족으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 Hybrid의 번역명이 혼종으로 정해지고 나서 '2개 이상의 생명체를 혼합하였으나 단점도 섞여서 영 좋지 않은, 부정적 뉘앙스로 부르는 것' 을 잡종이라고 칭하게 되었고, 반대로 '두 종족들의 장점들의 특성이 잘 결합하여 성공적으로 강렬한 능력을 가지게 되는, 긍정적 뉘앙스로 부르는 것' 을 혼종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를테면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도 유전자 조합 공룡종을 혼종이라고 번안했다. 부정적인 의미를 담은 잡종을 대체할 만한 용어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와는 관계없는 대중매체에서도 점점 자리잡고 있는 추세.
5.3. 기타
6. 관련 문서
- 혼혈
- 잡종견
- 하이브리드
- 키메라 생물
- 혼종
- 끔찍한 혼종
- 길가메쉬(Fate 시리즈) - 잡종이란 말을 입에 달고 사는데, 말 그대로가 아니라 잡 것, 천한 것이라는 의미로 쓴다. 그런데 하필 고른 단어가 저거라서 신과 인간의 피가 반씩 섞인 너부터 잡종이 아니냐며 한일 양국 모두 놀림거리로 쓰기도 한다.
- 모티 - 아프리카코끼리와 아시아코끼리 사이에서 태어난 딱 한마리 있었던 코끼리이다.
- 모크나탈
-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 뭐만 하면 혼종을 만들어 판매를 하고 이거로 이벤트까지 한다.
[1]
유전적 다양성 자체는 잡종에 의해서가 아니라
돌연변이에 의해 생겨나지만 한 집단 내에서 계속 번식하면 당연히
유전자 풀이 그만큼 좁을 수 밖에 없다.
[2]
아이러니하게도 고작 몇만년 전까지만 해도 인간류는 현생 인류 외에도
아종
들이 존재했다. 하지만 모종의 이유로 한때 거의
절멸하여, 현재는 유전자풀이 굉장히 좁다.
[3]
개들간의 유전적 차이는
한국의
한민족과
중국의
한족보다 적다. 그럼에도 서로 굉장히 달라 보이는 이유는 유전형 변의(Genotype)가 아닌, 표현형 변의(Phenotype)의 발현이기 때문이다.
[4]
이를 칭할 때는 품종과는 다른, True Hybrid, 종간 잡종을 칭한다.
[5]
열성인자가 나쁘다는 뜻이 아니라 열성인자 중 발현되면 개체에 불리한 것을 가리킨다.
[6]
시베리아호랑이와 왕사슴벌레를 각각 벵골호랑이와 호페이왕사슴벌레로 아종을 통합하여 보는 경우도 있으나 역시 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같은 아종이라도 생김새와 서식지가 다르기 때문에 교잡은 위험하다.
[7]
자연에서 극히 드물게 교잡이 일어날 수 있으나 중요한건 그 교잡 개체가 자연에서 생존할 수 있느냐다. 한 종이 지구상에서 제대로 된 개체군을 유지하기 위해선 그 종의 수를 한 500마리 정도는 보유하고 있어야 된다. 그런데 그 개체가 만약 적응하지 못하면 번식은커녕 그 개체 하나의 생존부터 생각해야 한다.
[8]
그렇다고 해서 지금 모든 동물원에 있는 동물들이 교잡인 건 아니다. 최근에는 종보전을 위해 국제 협회에 가입해 순종 동물을 관리하는 동물원도 있다. (예를 들자면 우리나라의
서울동물원이 있다.) 그리고 순종 동물을 데리고 있진 않지만 교잡 개체들의 번식을 시키지 않는 동물원도 있다.
[9]
사례가 한 번 밖에 없었기 때문에 잡종 전반이 아닌 개체의 이름이다.
[10]
수컷 라마와 암컷 단봉낙타의 교배는 성공사례가 없다.
[11]
세 종의 과일박쥐가 교잡되어 새로운 종으로 분화된 사례. 미토콘드리아 DNA는 아직 어떤 종에게 물려받았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12]
늑대와 개는 생물학적으로 같은 종에 속하며 아종만 갈릴 뿐이라 종간 잡종은 아니지만 편의상 본 항목에 서술.
[A]
1세대(F1)는 번식능력이 제한적이지만, 고양이 품종으로 등록되는 4세대(F4)부터는 제한이 실질적으로 사라진다.
[A]
[15]
통용되는 명칭이 없으며 영미권에서는 Siamese/Saltwater Crocodile 정도로 표기된다.
[16]
혈앵무 역시 잡종이다
[17]
서로 염색체 수가 다른데도 불구하고 그 자식들도 생식 능력을 보존하고 있다. 다만 3세대부터는 생존률이 크게 떨어진다.
[18]
10~20만 년 전 몰리 두 종이 교잡되는 과정에서 우연히 탄생한 종으로 단성생식을 통해 번식한다.
[19]
이게 무지개공어의 외래종 도입으로 인해 야생에서 자주 일어나서, 여러 컷스로트송어 개체군을 파괴하기까지 한다.
[20]
플라워론 자체 역시 잡종이다
[21]
애왕사슴벌레는 따로 있는 종이라서 왕애사슴벌레라고 불린다.
[22]
이들은 아예 속 단위에서부터 송어속과 곤들매기속으로 다르다. 게다가 이 둘은 양쪽 모두가악명 높은 생태계교란 생물이면서 동시에 외래종에게 큰 피해를 보고 있는 종이며, 서로의 원서식지에 유입되어 본서식지에서는 밀려나면서도 새로 침범한 생태계에서는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23]
분자생물학 연구에 따르면 쥐라기 때 공통조상에서 갈라졌다. 목까지만 같고 과부터 다른데도 서로 번식이 가능한 게 놀라울 따름. 인간으로 치면 인간이 유인원뿐만 아니라 다른 원숭이하고도 번식이 가능한 수준이다! 게다가 인간과 원숭이의 공통조상이 갈라진 시점을 고려하면 그야말로 상상 이상.
[24]
늑대개의 사례처럼 이 세 꿀벌 모두 같은 종인 유럽꿀벌의 각각 다른 아종간 교잡이지만 생식 능력이 제한적이다.
[25]
지브로이드는 얼룩말과 다른 말을 교배한 새끼를 통틀어 일컷는 이름이다.
[26]
생식 능력이 있는지는 불분명.
[27]
남미여우속에 속하며, 우리가 흔히 아는 여우와는 유전적으로 다르다. 얘네와
안데스여우 등을 포함한 남미여우속은 늑대, 코요테 등처럼 개족에 속하므로 여우족과는 거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