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02:52:00

인대

사람의 신체 부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191919> 인체 · 신체
상체 <colbgcolor=#f5f5f5,#1f2023> 머리 두피 머리카락 · 정수리 · 뒤통수
얼굴 이마 · 눈썹 · · 속눈썹 · · · 입술 · · · · 관자놀이 · 미간 · 인중 · 중안부
내부 두개골 · 광대뼈 · · 비강 · 치아 · 잇몸 · · 설소대 · 입천장 · 목젖 · 침샘 · 편도선 · 인두
경추 · 식도 · 경동맥 · 성대 · 울대뼈 · 후두 · 기도(기관) · 갑상샘 · 목덜미
어깨 겨드랑이 · 쇄골 · 견갑골 · 어깨세모근
위팔 위팔두갈래근 · 위팔세갈래근 · 위팔뼈
팔꿈치 오금
아래팔 아래팔근 · 노뼈 · 자뼈
손목 · 손등 · 손바닥 · 손가락 · 손톱
가슴 외부 유방 · 유두 · 유륜 · 명치
내부 심장 · · 큰가슴근 · 횡격막 · 갈비뼈 · 복장뼈
복부 외부 옆구리 · 배꼽
내부 · 위장 · 쓸개 · 비장 · 췌장 · 콩팥 · 작은창자( 샘창자) · 큰창자( 직장 · 맹장 · 결장) · 복강 · 복막 · 복벽
척추 · 넓은등근 · 척추기립근 · 척수
허리
하체 사타구니 골반 · 방광 · 회음부
성기 남성 음경 · 고환
여성 음문 ·
볼기 엉덩이 · 궁둥이 · 항문 · 꼬리뼈
다리 넓적다리 허벅지 · 대퇴사두근 · 대퇴골
무릎 오금
정강이 정강뼈
종아리 종아리뼈 · 아킬레스건
발목 · 발꿈치 · 발바닥 · 발가락 · 발톱
기타 틀:사람의 뼈 · 골수 · 인대
근육 틀:근육 · 힘줄
혈관 동맥 · 정맥 · 모세혈관
소화계 위액 · 장액 · 융털
수염 · 코털 · 구레나룻 · 가슴털 · 겨드랑이 털 · 팔털 · 배털 · 음모 · 항문주위털 · 다리털 · 모낭
분비물 · · 눈물 · 피지 · 콧물 · 가래 · 쿠퍼액 · 정액 · 애액 · · 고름
노폐물 각질 · 눈곱 · · 귀지 · 코딱지 · 비듬 · 좆밥
배출물 소변 · 대변 · 트림 · 방귀
이물질 결석증 · 편도결석 · 담석 · 요로결석 · 위석 · 치태 · 설태
기타 피부 · 점막 · 신경 · 틀:포유동물의 기관계 }}}}}}}}}


영어: ligament
한자어:

1. 개요2. 다쳤을 때3. 기타4. 관련

1. 개요

뼈, 관절, 장기를 제자리에 있도록 하는 강한 섬유 조직.[1] 뭔가 이어 주는 강한 섬유조직이란 점에서 힘줄과 헷갈릴 수 있는데, 힘줄은 근육과 뼈가 붙는 곳에 있는 섬유조직이지만, 인대는 뼈와 뼈를 잇는 섬유조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 다쳤을 때

다쳤을 때 증상으로는 당연하게도 그 인대가 담당하는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 예를 들자면 발가락 인대 쪽을 다쳤다면 굽히지도 못하고 또 복사뼈 쪽에 존재하는 인대를 다치면 무게 지탱이 어려워져 제대로 걷기도 힘들어진다.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그쪽이 부어 오르거나 피멍[2]이 든다. 손가락관절 인대파열의 경우 육안으로 손을 쫙 펼쳤을 때 보이는 굵은 선이 환부만 안 보이는 걸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혹은 환부가 있는 손가락만 놔두고 주먹을 쥐었을 때 혹 같은 것이 올라오거나 굵은 선이 옆으로 빠지는 것도 일종의 확인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인대 및 힘줄 질환은 뼈처럼 단단한 조직이 아니라 연한 조직인데다 작은 크기에 비해 움직일 때 가해지는 힘이 커서 재발 위험이 높다. 따라서 치료보다 관리가 더 중요하다. 다쳤을 때는 발목·손목 등 다친 부위에 한동안 테이핑을 하거나 보호대를 차는 것이 좋다. 손상된 인대는 완전히 외상 전 처럼 돌아오는 것은 힘드나, 실제 생활을 함에 있어 문제가 느껴질 정도로 후유증이 남는 경우 역시 드물다. # #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3]에서는 다치고 3일 이내에는 얼음찜질을 해주면 좋고 그 후론 온찜질을 해주면 좋다고 한다. 왜냐하면 다치고 얼마 안 됐을 때는 부어오르는 현상이 있는데 차가운 찜질을 해주면 신진대사가 느려져서 부기가 가라앉고 근육을 안정시켜주며 혈관을 축소시켜줘서 내부출혈을 막아준다고 한다. 온찜질을 해주는 이유는 반대로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해서 상처 부위의 치료를 빠르게 해준다고 한다. 붓기가 있을 때, 다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에 온찜질을 해주면 내부출혈 등이 있을 수 있다니까 주의.

며칠 지나니까 걸을 만하다고 병원에 가지 않는 사람들이 꽤 많은데, 조금만 잘못해도 습관성이 되기 쉬우며,

근육은 부상당해도 길지 않은 시일 내에 회복이 되는 것과 달리 인대는 조직에 혈관이 별로 없어 혈액을 통해 재생인자 공급이 잘 안 되면서 한 번 다치면 회복이 잘 되지 않는다. 혈액 공급이 잘되는 근육은 손상되면 회복 기간이 최소 4주지만, 인대와 힘줄은 회복 기간이 최소 12주나 된다. 한 번 손상되면 기능이 100% 회복되지 않는 것도 문제다. #

인대는 성인이 되어 다 자란 이후부터는 뼈, 신장처럼 소모적인 신체 기관이다. 나이가 들어 인대와 힘줄을 오래 사용하면서 미세 손상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인대·힘줄이 두꺼워지는 퇴행성 변화 때문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통증 유발 동작을 피하고, 조직 재생치료를 해야 한다. 문제가 생겼을 때 계속 방치하다가는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생기는 정도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육과 인대의 해부학적 차이를 먼저 알아야한다. 근육섬유들의 다발로 이루어진 근육(muscle)은 수많은 모세혈관이 근다발 내부에 깊숙히 자리하고 있어 적색을 띠며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혈중 단백질과 호르몬 및 면역세포들이 혈류를 타고 해당 부위로 빠르게 이동하여 수복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충분한 휴식과 영양공급만 보장된다면 48~72시간 내에 완전히 복구될 뿐만 아니라 근밀도와 근단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손상 전보다 더 강해진다. 이것이 근력 운동의 기본 원리다.

그러나 인대에는 모세혈관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수술사진을 검색해보면 창백할 정도로 흰색을 띤다. 즉 근육과 달리 인대는 구조적으로 혈액을 통한 자연회복이 어렵다. 이때에는 해당 부위에서 염증반응을 통해 체액이 고이게 함으로써 섬유아세포가 콜라겐섬유로 분화할 수 있도록 복구를 시도하는데 이 과정이 손상정도에 따라 기본 4주부터 10주 이상 소요될 정도로 느리며 이 과정에서 손상부위를 제대로 고정하지 않으면 손상이 확대되고 기껏 복구되던 콜라겐 섬유가 불규칙한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장력이 감소하여 흔히 말하는 인대가 늘어나버렸다가 되는 것이다.

인대가 늘어나게 되어 불안정성이 심해지면 그 다음으로는 관절염으로 이행하게 된다. 쉽게 말해 뼈와 뼈 사이를 잇던 인대가 영구적으로 늘어나 뼈가 고정이 안 되니 마찰로 인해 연골이 더 빨리 닳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인대는 자연치유가 잘 되지 않기에 ' 투수의 팔은 쓰면 쓸수록 강해진다'는 해부학적으로 틀린 말이다. 애초에 1970년대 인대의 해부학적 지식이 널리 퍼지고 토미 존 수술의 개발 이후 이 이론은 스포츠 과학의 관점에서는 완전히 사장되었으나, 메이저리그에서 에이스 투수를 굴리면 안 된다는 개념은 1980-1990년대 이후로 확산되었고 현대야구가 덜 퍼진 KBO에서는 여전히 잘만 굴리고 있다. 오히려 최근에는 근력 운동이나 유연성 운동을 통하여 구속을 늘리되 동시에 인대를 보호하는 방식의 트레이닝이 메이저리그에서는 대세이다.

3. 기타

이 부분이 손상된 것을 염좌[4]라고 하며 일부분 손상이 아닌 전체에 피해가 가면 파열이라고 한다. 힘줄은 근육과 뼈를 연결해서 근육의 수축을 전해주는 역할이지만 인대는 뼈와 뼈를 이어주는데, 한번 심하게 다치면 다음에 더 쉽게 다칠 수 있으니까 운동 전엔 스트레칭을 해주고 다쳤을 때 꼭 최대한 빨리 수습을 해서 피해를 줄이도록 하자. 파열됐을 때는 인대재건술을 받는다.

4. 관련



[1] 뼈와 근육을 이어주는 조직은 힘줄(tendon)이라 한다. [2] 주로 삐었을 때 혈관이 터져서 멍이 동반되는 경우가 잦다. [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3670&cid=51003&categoryId=51020 [4] "삐었다."와 다르지 않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