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1:44:09

연수구

연수신도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79c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미추홀구 CI.svg
미추홀구
파일:연수구 CI.svg
연수구
파일:남동구 CI.svg
[[인천광역시청|
시청
]] 남동구
파일:부평구 CI.svg
부평구
파일:계양구 CI.svg
계양구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
서구
자치군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옹진군
* 2026년 7월 1일 중구· 동구 폐지 예정
** 2026년 7월 1일 제물포구· 영종구· 검단구 설치 예정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1f3c9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f3c95>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청
동춘동
선학동 송도동
연수동 옥련동 청학동
}}}}}}}}} ||
인천광역시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연수구 CI.svg
연수구
延壽區
Yeonsu-gu
}}}
<colbgcolor=#1f3c95><colcolor=#fff> 구청 소재지 원인재로 115 (동춘동)
광역자치단체 인천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5[1]
면적 56.2㎢
인구 399,709명[2]
인구 밀도 7,112.25명/㎢[3]
구청장
이재호 (재선)
구의회
7석[4]

6석[5]
시의원
5석[6]
국회의원
<colbgcolor=#1f3c95><colcolor=#fff>
박찬대 (3선)

정일영 (재선)
상징 구화 진달래
구목 느티나무
구조
지역번호 03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
5.1. 구 송도5.2. 연수지구5.3. 송도국제도시5.4. 구청
6. 교통
6.1. 도로교통6.2. 철도교통
7. 상권
7.1. 주요 스팟7.2. 금융
8. 관광9. 생활문화
9.1. 교육9.2. 치안9.3. 의료기관
10. 정치
10.1. 연수구청장
11. 하위 행정구역12. 출신 인물13. 사건사고1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서남부에 위치한 구. 북쪽으로 미추홀구, 중구, 동쪽으로 남동구와 접한다. 인천광역시의 최남단에 있는 구다.

인천광역시 부촌의 상징이자 중부지방해양경찰청 학원가와 송도 학군으로 대표되는[7] 높은 교육열의 상징이기도 하다. 해외에서는 2012년 발매된 강남스타일(Gangnam Style)곡에 등장하면서 인기로 많이 알려졌다.

원래 이 지역은 농촌 갯벌지대였다. 인천에 오래 거주한 노인들은 연수동으로 조개 캐러 다녔다고 얘기한다.[8]

연수구는 구 송도(옥련-청학, 유원지와 구 도심), 연수지구(연수-동춘, 90년대 신도시), 송도국제도시가 또렷한 경계를 두고 한데 모여 하나의 구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각 지역 간의 경관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연수구청과 연수지구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 연수구에서 과거와 행정 기준으로 가장 중심지다. 구 송도-연수지구- 송도국제도시 순으로 개발되었다.

인천시 내에서 생활 수준이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연수구가 조성되기 시작한 90년대 초반부터[9] 형성된 인천의 강남 이미지가 2000년대 중반에 송도국제도시가 개발되면서 그 이미지가 굳혀졌다. 그래서 선거철 때 언론에서 소개되는 연수구의 별명은 인천의 강남이다. 대한민국에서 제일가는 부자 동네하면 두말할 것 없이 강남이기 때문에 빗대어 표현한 것. 중산층과 상류층이 두텁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도시 계획부터 도로건설과 교통정비도 잘 되어 있다.

송도국제도시의 외국계 글로벌 기업과 대학 등의 활성화로 인해 재한 외국인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주로 미국인, 옥련동 아랍인, 유럽인, 일본인, 투기 부유층 중국인 등등. 백인들을 꽤 자주 볼수있다.
연수동 함박마을에는 러시아 중앙아시아 계열 고려인 남동공단 외국인 노동자들이 유입되고있다.

2. 상징

인천광역시 연수구의 상징
파일:연수구 CI.svg
상징 마크
역동하는 청색타원의 모습은 인천의 바다를 상징하며 가운데 흰색 타원은 연수구를 상징한다. 빨간색 삼각형은 세계화를, 두 개의 녹색 삼각형은 「환경」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연수구가 인천의 중심이 되는 21세기의 미래상을 표현하고 있다.
파일:연수구 BI.svg
도시 브랜드
21세기 동북아의 물류, 항만의 중심지, 인천의 핵심인 연수구가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것으로 선진 구로서의 위상과 쾌적한 삶의 질을 상징화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인 쾌적한 연수구를 초록색의 띠와 붉은 해를 통해 표현했으며 그 안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있는 연수구민의 모습을 Y의 형태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파일:연수구 캐릭터_학.svg
캐릭터 '학'
시베리아 대륙을 횡단하는 철새로 세계를 향해 뻗어가는 연수구의 미래 지향적인 이미지를 상징화 하며, 청초한 모습과 고고한 자태는 구민의 문화수준과 깨끗한 주거환경으로서의 연수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면서 고급스러운 느낌을 동시에 살릴 수 있는 캐릭터로 살기 좋고 활기찬 느낌의 연수구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파일:external/www.yeonsu.info/11390_3705_2132.jpg
<rowcolor=#fff> 연수구청
파일:attachment/20120405_369401257.png
<rowcolor=#fff> 송도컨벤시아(Convensia)
파일:센트럴파크(송도).jpg
<rowcolor=#fff> 송도 센트럴파크

3. 역사

연수구 행정구역 변천사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인천광역시 연수구 행정구역 변천사
인천도호부 먼우금면
(仁川都護府
遠又邇面, 1460)
인천부 서면
(仁川府
西面, 1906)
부천군 문학면
(富川郡
文鶴面, 1914)
인천부
(仁川府, 1940)
인천시
남구
(仁川市 南區,
1968)
인천직할시
남구
(仁川直轄市
南區, 1981)
인천광역시
연수구
(仁川廣域市
延壽區, 1995)
인천도호부 부내면 도재
(仁川都護府
府內面, 1460)
인천부 구읍면 도장리
(仁川府
舊邑面 道章里, 1906)[10]
}}}}}}}}}

원래는 인천도호부 먼우금면(원우이면) 지역이었다가 개항 이후로 인천부 서면이 되었다.[11] 1914년에 부천군 문학면이 되었고, 1936년(옥련동), 1940년 두 차례에 걸쳐 인천부에 재편입되었다. 해방 이후 인천의 급속한 개발에 힘입어 1968년 인천광역시 남구에 속한 이후 1993년 이 일대에 아파트가 하나 둘 씩 완성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힘입어 1995년 인천광역시 남구에서 분리[12]되어 신설되기에 이른다. 인천의 구도심이 1980년대의 모습이 나타난다면 여긴 전체적으로 1990년대 분위기가 난다.

연수라는 지명은 연년익수(延年益壽, 나이를 많이 먹고 오래오래 삶)이라는 한자성어에서 유래했으며, 2002년 인천광역시사에 따르면 1940년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4. 인구

파일:연수구 CI.svg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남구 일부지역[13]연수구 설치[14]
1995년 212,632명
2000년 260,289명
2005년 263,650명
2010년 279,230명
2015년 319,052명
2020년 387,450명
2024년 10월 399,70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송도3동 48,597명
송도5동 46,184명
송도1동 38,125명
송도2동 36,839명
송도4동 34,735명
동춘1동 24,345명
청학동 22,954명
연수2동 19,869명
옥련2동 19,221명
동춘3동 17,842명
선학동 17,865명
옥련1동 17,846명
동춘2동 17,842명
연수1동 17,382명
연수3동 15,160명
2024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

2009년을 기점으로 매년 5,000~20,000명씩 연수구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 동춘동의 주택공급이 늘어나면서 인구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완만한 증가세.

송도와 송도가 아닌 지역의 인구 비율은 거의 50:50이다. 송도 일대에 20만명이 거주 중이고 연수구 본토에 19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연수구 CI.svg 옥련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옥련동(법정동) → 옥련동(행정동)
1966년 3,421명
1970년 4,605명
1975년 6,056명
1980년 7,970명
1985년 11,071명
1990년 12,500명
1995년 23,352명
2000년 47,692명
2003년 3월 1일 옥련동 → 옥련1동, 옥련2동 분동
2005년 24,482명
2010년 23,583명
2015년 22,226명
2020년 19,766명
2023년 12월 17,84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옥련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3월 1일 옥련동 → 옥련1동, 옥련2동 분동
2005년 25,575명
2008년 25,315명
2009년 24,912명
2010년 25,075명
2011년 24,628명
2012년 24,340명
2013년 23,967명
2014년 23,556명
2015년 23,241명
2016년 23,101명
2017년 23,028명
2018년 22,158명
2019년 21,521명
2020년 20,915명
2021년 20,365명
2022년 19,813명
2023년 12월 19,2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선학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7월 1일 관교·문학·선학동 일부 + 남촌·수산·도림동 일부 → 남촌·선학동 신설
1970년 2,279명
1975년 2,550명
1977년 5월 10일 남촌·선학동 → 선학동 개칭
1980년 2,685명
1985년 2,759명
1988년 1월 1일 선학동 일부 → 도림동 이관[15]
1990년 1,523명
1995년 21,442명
2000년 25,280명
2005년 24,064명
2010년 21,767명
2015년 19,804명
2020년 17,325명
2023년 12월 17,86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연수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연수동 + 청학동 → 연수·청학동 신설
1966년 3,228명
1970년 3,550명
1975년 4,465명
1977년 5월 10일 연수·청학동 → 연수동 개칭
1980년 6,879명
1985년 10,190명
1990년 9,999명
1994년 7월 1일 연수동 →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분동
1995년 3월 1일 연수1동연수1동, 연수3동 분동
1995년 30,479명
2000년 33,407명
2005년 30,952명
2010년 27,966명
2015년 25,548명
2020년 20,129명
2023년 12월 17,3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연수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4년 7월 1일 연수동 →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분동
1995년 28,895명
2000년 28,353명
2005년 26,862명
2010년 25,088명
2015년 24,140명
2020년 21,524명
2023년 12월 19,8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연수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연수1동 → 연수1동, 연수3동 분동
1995년 16,472명
2000년 25,047명
2005년 22,922명
2010년 21,372명
2015년 19,496명
2020년 16,684명
2023년 12월 15,1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청학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4년 7월 1일 연수동 →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분동
1995년 25,131명
2000년 34,420명
2005년 33,047명
2010년 31,728명
2015년 29,843명
2020년 25,283명
2023년 12월 23,14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동춘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동춘동(법정동) → 동춘동(행정동)
1966년 3,212명
1970년 3,491명
1975년 3,851명
1980년 4,473명
1985년 4,338명
1990년 4,105명
1995년 3월 1일 동춘동 → 동춘1동, 동춘2동 분동
1995년 19,488명
2000년 19,618명
2005년 18,984명
2010년 18,411명
2015년 16,281명
2020년 25,891명
2023년 10월 24,3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동춘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동춘동 → 동춘1동, 동춘2동 분동
1995년 47,373명
1996년 1월 1일 동춘2동동춘2동, 청량동 분동
2000년 24,940명
2005년 36,009명
2007년 1월 1일 동춘2동동춘2동, 송도동 분동
2010년 22,705명
2015년 21,117명
2020년 18,668명
2023년 12월 17,3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동춘3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1월 1일 동춘2동 → 동춘2동, 청량동 분동
2000년 21,532명
2003년 12월 19일 청량동 → 동춘3동 개칭
2005년 20,753명
2008년 20,978명
2009년 20,830명
2010년 20,919명
2011년 20,556명
2012년 20,517명
2013년 20,635명
2014년 20,424명
2015년 20,203명
2016년 20,176명
2017년 19,914명
2018년 19,497명
2019년 19,277명
2020년 18,860명
2021년 18,558명
2022년 18,104명
2023년 12월 17,9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송도1동 인구 추이
(2008년~현재)
2007년 1월 1일 동춘2동 → 동춘2동, 송도동 분동
2008년 26,616명
2009년 33,293명
2010년 40,616명
2011년 54,273명
2012년 1월 1일 송도동 → 송도1동, 송도2동 분동
2012년 36,234명
2013년 43,722명
2014년 9월 24일 송도1동송도1동, 송도3동 분동
2014년 35,060명
2015년 34,479명
2016년 34,797명
2017년 34,911명
2018년 34,274명
2019년 36,268명
2020년 37,487명
2021년 37,659명
2022년 37,909명
2023년 12월 37,84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송도2동 인구 추이
(2012년~현재)
2012년 1월 1일 송도동 → 송도1동, 송도2동 분동
2012년 25,374명
2013년 26,911명
2014년 30,941명
2015년 43,069명
2016년 46,634명
2017년 49,452명
2018년 57,297명
2019년 1월 1일 송도2동송도2동, 송도4동 분동
2019년 36,652명
2020년 36,653명
2021년 36,729명
2022년 36,476명
2023년 12월 36,6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7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송도3동 인구 추이
(2014년~현재)
2014년 9월 24일 송도1동 → 송도1동, 송도3동 분동
2014년 18,189명
2015년 19,605명
2016년 28,881명
2017년 36,643명
2018년 44,733명
2019년 48,105명
2020년 48,748명
2021년 49,052명
2022년 48,738명
2023년 12월 48,5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송도4동 인구 추이
(2019년~현재)
2019년 1월 1일 송도2동 → 송도2동, 송도4동 분동
2019년 1월 22,642명
2019년 7월 27,641명
2020년 1월 35,024명
2020년 7월 44,030명
2020년 10월 26일 송도4동송도4동, 송도5동 분동
2021년 1월 24,836명
2021년 7월 25,187명
2022년 1월 25,485명
2022년 7월 25,582명
2023년 1월 27,533명
2023년 7월 29,493명
2023년 12월 33,0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파일:연수구 CI.svg 송도5동 인구 추이
(2020년~현재)
2020년 10월 26일 송도4동 → 송도4동, 송도5동 분동
2020년 12월 34,697명
2021년 4월 38,471명
2021년 7월 39,358명
2021년 10월 39,762명
2021년 12월 40,016명
2022년 4월 40,012명
2022년 7월 39,961명
2022년 10월 39,782명
2022년 12월 40,004명
2023년 4월 43,935명
2023년 7월 45,586명
2023년 10월 46,212명
2023년 12월 46,1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5. 지역 특징

연수구 일대는 구 송도유원지 일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이 1990년대 이후에 지어진 신도시로, 신도시 특성상 외지인이 많고 평균 소득수준이 높기 때문에 90년대부터 인천의 강남이라고 불리는 지역이었다. 동막역 이북의 연수지구가 1기 신도시 사업 당시 같이 발표가 되어 조성되었고, 이후 남서쪽 바다를 매립하여 만든 송도국제도시가 조성되어 인천의 부촌 이미지를 굳히게 되었다. 또한 한때 부촌이었던 도원역 일대를 계승했다. 덕분에 송도와 모서리가 겨우 닿아있는 남동구 중구, 남구가 서로 송도7공구와 9공구, 10공구를 달라고 계속 싸워댔다. 일단 고수익 기반의 사업 유치가 쉬워지고 그로 인한 세수증가가 장난이 아니기 때문. 근데 애초에 송도국제도시의 지명의 원천인 '송도'가 연수구 관내에 있으므로 인천광역시는 연수구의 편을 들어줬다. 근데 결국 남구 중구, 남동구가 헌법소원까지 내버려 결국 송도국제도시의 모든 구역은 연수구 관할'이라고 확정이 났고, 연수구청은 그걸 엄청 홍보하는 중이다.

5.1. 구 송도

송도라는 지명의 유래가 된 과거 송도유원지가 있던 옥련동 일대. 과거 협궤철도 시절 수인선과 현재 수인분당선 송도역이 이 지역에 있다.[16] 연수구가 미추홀구(당시 남구)에서 분구되기 전 연수구 일대의 중심지였다.[17] 주요시설로는 인천시립박물관이 있다.[18]

미니 신도시 개발사업인 송도역세권개발사업이 진행중이다

5.2. 연수지구

파일:attachment/14_2.jpg 파일:attachment/1369113320.jpg
1기 신도시 발표 당시 연수지구의 배치도.

위 사진의 현재 아파트 명칭은 아래와 같다.
<rowcolor=#fff> 구역 단지명 세대수 입주 건설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1 효정 312 1993년 12월 효정개발(주)
2 성일 414 1994년 10월 성일건설(주)
3 동남 420 1994년 2월 동남기업(주)
4 인향, 우주, 태경 220, 230,220 1992년 6월 인향건설, 우주건설, 태경건설
5 문남마을 400 1994년 12월 풍창건설(주)
6 연수대명 108 1993년 7월 대명주택
7 연수유천 788 1993년 9월 유천건설(주)
8 태산 420 1993년 12월 태산도시산업(주)
9 영남 622 1992년 12월 영남주택
10 세경 567 1997년 8월 세경산업
11 연수주공3단지 1,170 1993년 10월 한성(주)
12 대우 390 1992년 6월 (주)대우
13 연수주공1단지 1,654 1992년 7월 성지건설
연수주공2단지 960 1992년 6월
14 대림 640 1993년 5월 대림산업(주)
경남 620 경남기업(주)
15 연수풍림1차 769 1992년 3월 풍림산업
16 연수시영1차 370 1992년 5월 코오롱건설(주)
솔밭마을(구.연수시영2차) 1200 1993년 5월 한보철강건설
17 우성2차 2,044 1995년 2월 (주)우성건설
18 대동 768 1993년 11월 대동주택종합건설(주)
19 우성1차 1,088 1994년 9월 (주)우성건설
20 한양1차 1,020 1994년 12월 (주)한양
21 대우삼환 1,776 1994년 5월 (주)대우, 삼환기업(주)
22 현대1차 1,040 1993년 1월 현대산업개발(주), 현대건설(주)
23 연수풍림2차 1,200 1993년 6월 풍림산업(주)
24 무지개마을 1,068 1995년 8월 태화건설(주)
25 동남 1,350 1994년 12월 동남주택산업(주)
26 아주 348 1994년 4월 (주)아주건설
27 대동 336 1994년 5월 (주)대동건설
28 한양2차 1,440 1994년 6월 (주)한양
29 대림3차 408 1993년 7월 대림산업(주)
30 건영 970 1994년 4월 (주) 건영
31 태평1차 192 1992년 12월 태평주택건설
32 삼성.럭키 1,080 1993년 8월 삼성건설(주), 럭키개발(주)
33 현대2차,대림2차 700 대림산업(주), 현대산업개발(주)
34 연수타운(금호,동아) 1,056 1993년 4월 동아, 금호건설
35 동춘마을 930 1994년 7월 한보철강공업(주)
36 연수대우3차 344 1993년 12월 대우(주)
37 연수2차하나타운 264 1994년 9월 (주)한국공영
38 인천연수풍림3차 440 1993년 12월 풍림산업(주)
39 조흥 97 1997년 2월 조흥건설산업
40 롯데 320 1993년 8월 롯데건설(주)
41 연수하나1차 724 1995년 3월 (주)한국공영
42 용담마을 500 1994년 9월 한주개발(주)
43 시대 916 1994년 10월 시대종합건설(주)
44 연수서해 294 1993년 6월 (주)서해종합건설
45 성호 488 1993년 11월 성호건설(주)
46 삼용 300 1994년 3월 삼용종합건설산업(주)
태평2차 198 1995년 11월 (주)태평주택
}}}}}}}}} ||

연수지구는 1990년대 분당, 일산 5개 신도시가 발표될 때 대전의 둔산신도시와 같이 발표된 택지지구로써, 형성된 시기가 같기 때문에 분당, 일산과 유사한 느낌이 많이 난다. 다만 국가에서 밀어준 1기의 다섯 메인 신도시에 비해서 상업지구나 유흥거리가 적다 보니 베드타운의 성격이 더 강하다.

이 연수지구는 연수구청을 끼고 있고, 연수구의 주요 시설이 몰려있는 연수구의 중심지이다. 최근 송도국제도시의 개발로 위상이 예전보다 많이 떨어졌다고는 하나, 송도의 특성상 땅이 기존 연수구만한데, 아직까지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지역이 많기 때문에 아직까지 연수구에서 연수지구를 빼놓고 이야기 할수는 없다. 하지만 송도는 인천 뿐만 아니라 외지에서도 부유층이 많이 유입이 되고 있기 때문에 점점 집값의 차이가 많이 나고 있어 향후 연수구의 중심지가 송도로 넘어갈 가능성 역시 다분하다.[19] 부동산 시장에서는 연수지구는 인천의 잠실, 송도국제도시는 인천의 강남이라 비유하고 있다. 실제로 아파트 광고 등 부동산 업계쪽에서 인천 논현을 송파, 송도를 강남, 연수지구를 잠실로 비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

동춘역 주위의 대우삼환아파트 밑으로 동막역 끝자락까지는 전부 엘리베이터도 없는 단층 아파트들인데, 연수구가 생길 당시엔 군부대 및 미사일기지 때문에 고도제한이 있었기 때문이다. 허나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인천국제공항이 생기든 말든 고도제한따윈 다 풀려버렸고, 1999년 이후에 미사일기지도 옮겨버려, 연수구가 재개발 하면 인천 전체가 요동친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다. 그리고 슬슬 하나 둘씩 재개발 떡밥들이 자라나고 있다. 연수지구에서 제일 오래된 아파트가 1992년에 지어진 단지들인데, 1995년 전에 지어진 아파트는 25년+(준공연도-1990)이 재개발 조합설립 연한이기 때문에 2020년이면 재개발 추진 조합 설립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안전성 조사의 통과가 관건이겠지만 인천이 인구 수에 비해 학교수가 매우 많은 편임에도 계속 짓고 있는 중인데, 추후 연수구 재개발 시를 대비한 것이란 설이 있다. 실제로 15층 이상의 고층 단지 비율보다 중저층 단지 비율이 매우 많아 재개발을 하게되면 인구 수용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기 때문. 이 얘기는 상대적으로 저층 아파트가 많은 지역은 당연한 얘기이나, 고도제한이 있는 성남시를 제외하면 저층 아파트 비율이 이렇게 많은 지역은 찾기 힘들다.

그리고 빌라단지인 연수동 연수1동 함박마을의 연수4단지 지역[20], 옥련1동 송도역 부근, 동춘1동 청량산, 범좌산 북쪽의 소암마을이 연수구에서 개발이 안되고 남아있던 지역인데, 소암마을과 동춘1동 지역은 동춘1, 2구역 도시개발지구로 개발 중이지만, 구 송도유원지와 대우자판 부지에 건설하려 했던 '송도 파인 시티' 는 몇 년 동안 삽도 파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또한 승기하수처리장도 시설 노후화로 인해 이전하고 그 일대 부지를 개발할 예정이다.

구청사 건물은 2000년 초반에 지어진 터라 시청보다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인천시청보다 크다. 다만 인천시청은 1985년에 신축된지라 비교 대상이 아니긴 하다. 주변이 아파트 단지이기 때문에 공무원들이 근무하기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어서 인천시 공무원들이 가장 근무하고 싶어하는 지자체이기도 하다. 인천시 공무원의 경우 퇴직 전에 도서지역을 한번이라도 3년간 갔다와야 하기 때문에 그런 성향이 강한 편인데, 도서지역에 갔다 온 후에는 연수구쪽으로 배치해주는 경우가 많다. 이전의 구청은 청학동, 정확히 말하면 현재 고가교 바로 옆에 있는 연수구 선거관리위원회 건너편 자리가 옛 연수구청 자리다.

인천에서 공원이 잘 조성되어 있는 곳 중 하나로, 청학, 청량, 능허대, 솔안, 용담, 구민체육, 대학, 동남, 양지, 동막근린(한양), 동춘근린(건영), 부수지근린(삼환), 풍림, 하나공원 등은 각종 분수, 해시계(!!), 축구장, 풋살장, 호수, 어린이 놀이시설 들은 모두 기본으로 갖추고 있는 지라 여름에 저녁만 되면 사람이 많다. 용담공원의 경우 호수, 축구장, 씨름장, 벚꽂길까지 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 송도국제도시 공원들과 비교하기는 그렇지만, 연수지구는 1기 신도시가 발표될 때 함께 계획된 곳이라 공원이 잘 되어 있고, 산책하기엔 좋은 곳이다. 승기천 공원은 얼핏 보면 연수구 관내로 보일수도 있으나 남동구 관할인데, 남동인더스파크는 주거단지가 아니므로 주로 연수구 주민들이 이용한다. 남동구 예산으로 연수구민들이 득을 보고 있는 것이다. 공단에 닿아있는 공원치고 관리를 잘 했는데 여름만 되면 모기 때문에 난감하다.

5.3. 송도국제도시

연수구임에도 기존 연수지구와 다른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신도시 국제도시인데다 크기가 무려 부천 면적 수준이라서 영종구 제물포구 검단구처럼 미래 분구 가능성도 있다.

5.4. 구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수구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교통

6.1. 도로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79c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9c1> }}}
{{{#!wiki style="color: #0079c1;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강화대로 경명대로 경원대로 경인항대로 계양대로
국제대로 국제항만대로 남동대로 능허대로 미추홀대로
봉수대로 봉오대로 부평대로 비류대로 서해대로
송내대로 송도국제대로 송도바이오대로 아암대로 아트센터대로
영종대로 원당대로 이음대로 인주대로 인천대로
인천신항대로 인천타워대로 자연대로 제2터미널대로 중봉대로
청라대로 첨단대로 청능대로 축항대로 컨벤시아대로
하늘대로
인천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1f3c9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f3c95>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1f3c95> <colbgcolor=#ffffff,#191919> 갯벌로 · 계림로
넘말로 · 능허대로
대암로 · 독배로 · 동곡재로
랜드마크로
매소홀로 · 먼우금로
벚꽃로 · 벤처로 · 봉재산로
새말로 · 샘말로 · 선학로 · 센트럴로 · 솔밭로 · 솔샘로 · 송도과학로 · 송도교육로 · 송도문화로 · 송도미래로 · 수인선길 · 신송로
아카데미로 · 앵고개로 · 연구단지로 · 연남로 · 예술로 · 옥골로 · 옥련로 · 용담로 · 원인재로 · 인권로
지식기반로
청능말로 · 청량로 · 청룡로 · 청명로 · 청솔로 · 청솔안로 · 청학로 · 청학안로
테크노파크로
하모니로 · 학나래로 · 한나루로 · 한진로 · 함박로 · 함박뫼로 · 함박안로 · 해돋이로 · 해송로
인천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인천대교가 완공되면서 이제 제2경인고속도로도 이 구를 경유한다. 하지만 새로 생긴 IC 두 개( 옥련IC, 송도IC)가 전부 인천대교 방향으로만 진입 가능. 인천대교 완공으로 인천국제공항으로의 접근성이 매우 높아진 상태. 기존은 영종대교까지 가야 했으므로 상당히 오래 걸렸었다. 그 덕에 송도에 U-복합환승센터가 생겨, 전국 각지로 가는 공항버스가 여기에 정차하기도 한다. 송도국제도시 주민들과 연수구 남부 주민들은 많이 편해졌다.

자가용으로 서울 방면으로 가려면 남동구의 남동IC나, 문학터널을 거쳐서 가는 미추홀구 문학IC를 이용한다. 아니면 용현동 쪽으로 진출하여 경인고속도로를 타거나, 논현동과 인천대공원을 지나 장수 나들목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타는 방법, 아암대로 남쪽에서 제3경인고속화도로를 타는 방법 등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각자 자신들이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루트를 타는 쪽을 원하는 듯 하다.

버스교통의 경우는, 송도동에 송도공영차고지, 동춘동, 옥련동에 개별 회사 차고지가 있다. 인천 버스 특유의 그 택배근성을 가진 노선이 꽤 많다. 동춘동과 송도동은 공영차고지와 개별 회사 차고지가 있어 버스교통이 별로 불편하지 않고, 연수동의 경우는 동춘동 종점에서 출발한 많은 버스들이 연수동을 거쳐가기에 버스교통이 그다지 불편하지 않다. 선학동의 경우는 선학역에 수많은 버스들이 정차하기에 별 문제가 없는 상황.

다만 옥련동의 경우 버스교통이 꽤 불편하다. 다른 연수구 지역에 비해 다니는 버스의 숫자도 적고, 이로 인해 갈 수 있는 곳이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동춘동의 경우, 유난히 인천 시내를 순환하는 순환형 시내버스가 다니던 동네이다. 동춘역 동막역에서는 인천 버스 6, 인천 버스 6-1 을 탈 수 있다. 6번은 동막역 1번 출구 기준으로 청학동과 선학동을 들르고, 6-1번은 연수구청과 남동공단, 논현, 서창지구를 들른다.

6.2. 철도교통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tablebordercolor=#1f3c9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f3c9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SBLine_icon.svg 연수(K266)[미개통(경강)], 송도(K267)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파일:Incheonmetro1_icon.svg 문학경기장(I127), 선학(I128), 신연수(I129), 동춘(I131), 동막(I132), 캠퍼스타운(I133), 테크노파크(I134), 지식정보단지(I135), 인천대입구(I136), 센트럴파크(I137), 국제업무지구(I138), 송도달빛축제공원(I139)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인천대입구[미개통(GTX-B)]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KTX BI_White, Red.svg 송도[미개통(KTX)]
파일:삼태극.svg 원인재(K265, I130)[미개통(경강)]
수인·분당선, 인천 1호선

[미개통(경강)] 2028년 개통 예정 [미개통(GTX-B)] 2030년 개통 예정 [미개통(KTX)] 2025년 개통 예정 [미개통(경강)] 2028년 개통 예정
}}}}}}}}}


주요 지하철 노선으로는 이 구 동쪽에서 남북으로 달리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문학경기장역부터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운행하고 있다.[2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총 13개 역으로,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 도시철도 1호선(13개역)와, 한 구(區) 안의 단일 노선에 역 소재 공동 1위이다. 다만 연수구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역들을 보면 선학역 주변은 그나마 좀 나은 편이나, 다른 역들의 경우는 남동인더스파크와의 연계성까지 함께 고려한 덕분에 역 위치가 아파트 단지 끄트머리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연수구민들은 버스를 이용해서 지하철역까지 간 다음 지하철을 이용한다.

수도권 전철 수인선드디어 2012년 6월 30일에 표준궤 복선전철로 부활하였다. 연수구 구간에는 원인재역(환승역) - 연수역 - 송도역이 있다.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개통으로 인해 연수구의 전철역 개수는 총 14개역.[22][23] 그리고 2016년 2월 27일에 인천역까지 연장되고, 2020년 9월 12일에 수원역까지 연장 및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으로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인천의 숙원 사업이었던 인천발 KTX가 연수구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송도역에서 착발하는 방안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2020년 7월 현재 기본 설계를 시행중에 있다. 2020년이나 말이나 못해도 2021년 초에는 착공 후에, 2025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다만, 오해의 여지가 있는것이 수인선 송도역은 우리가 잘 아는 그 도시에 위치해있지는 않고, 지금의 송도국제도시 토지가 매립되기 전에 존재하던 송도유원지 인근에 위치하던 옛 수인선 협궤철도 시절 송도역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기에, 옛 송도 지역에 위치한 것이 지금의 송도역이다.

현재 만종-강릉 판교-여주 구간만 개통되어있는 경강선 월곶역까지 완전 개통된다면 연수역에 주박기지가 들어서며, 경강선 일반 전동차와 급행 개념의 일반열차( KTX-이음)가 각각 연수역 송도역에서 시종착할 예정이다.

2024년 GTX-B 인천대입구역이 착공해 2030년 완공 예정이다. 한편 송도트램 등 여러 노선이 계획 중이다.

7. 상권

상권은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아니 워낙에 구월동상권과 부평상권이 너무 이유도 있지만, 일반 주거단지 내부의 상권,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파일:external/www.sptoday.com/29byc_copy.jpg
연수구의 상권은 연수고가 근처의 청학동와 연수2동, 동춘3동사이에 있는 통칭 "BYC빌딩" 혹은 "대동월드쪽"이라 불리는 상권, 동춘2동에 있는 "한화마트 상권", 송도지역에 있는 "오피스텔 상권"이다. 송도국제도시 지역은 예전에는 지하철이 개통되지 않아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서서히 유동인구가 오르는 중. 가장 큰 문제는 자체 유동 인구는 많아도 타 지역 유입 유동 인구가 거의 없는 편이다. 물론, 송도에 좋은 공원이 많이 생긴 걸 아는 사람들은 데이트 코스로도 하나 둘씩 유명해진 상태다.

"한화마트 상권"은 가장 오래된 상권으로 과거 연수구지역 상권의 대표가 되었던 곳이다. 한화마트는 지금은 롯데슈퍼로 바뀐 중대형 할인점으로 과거엔 로얄백화점, 로얄아울렛으로 불리어 한화마트로 있던 기간이 제일 긴 덕분에 아직도 한화마트쪽이라 불린다. 지금은 과거에 있던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다 떠나고(맥도날드, 파파이스가 있었지만, 지금은 모두 없다.롯데리아는 아직 남아있다) 학원촌으로 바뀌었는데 인천, 경기지역에서 학원 프랜차이즈를 형성한 정문학원 산하의 동부정문학원이 주변 학원 중에선 가장 크다. 최근엔 상권이 아예 죽어버리다시피 해서 학원촌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가, 나사렛국제병원이 생겨 상권부활의 희망을 갖고 있기도 하다.

또한 옥련동은 과거에 옛 수인선 송도역을 중심으로 시장이 생겨나는 등 상권이 발달했으나 현재 큰 상권은 없고, 우리은행 사거리와 옥련시장을 중심으로 작게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수인선 개통이 다가오면서 연수역 주변이 연수구 개발 완료 근 15년만에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수역 주변에 있던 연수구 성립 이전에 생겼던 빌딩들이 헐리고 그 자리에 초고층 아파트가 건설 중이며 망했다 하더라도 인천에서 제일 밀어주는 지역인건 변함없다.

타 상권의 영향은 동별로 차이가 매우 큰 편. 동춘2동, 동춘3동은 58번, 63번, 81번 버스등으로 주안에 진출 할 수 있지만, 인천 버스 특유의 '택배 근성'으로 인해 부평 쪽으로의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다. 더 가까운 동인천 가려면 112번 버스로 40분은 가야하는데, 부평은 25분이면 간다. 서쪽의 BYC빌딩쪽의 동춘3동 지역은 버스를 이용한 동인천 쪽으로의 유동인구가 다소 있다. 청학동과 옥련동의 경우 112번, 9번, 16번 버스등을 통해 동인천 쪽으로의 유동인구가 대부분. 이 인천 도시철도와 지리적으로 먼 위치 때문에 생긴 일이다. 선학동과 연수2동의 경우 지리적으로는 부평에 16분 밖에 걸리지 않지만, 버스를 통한 주안으로의 유동인구도 꽤 많은편. 이렇게 유동인구가 많은 덕분에 연수구 구내 상권은 이동 비율이 낮은 비교적으로 나이 많은 인구가 주 소비층이었지만 스퀘어원의 개장으로 다시 동춘동과 연수동에는 유동인구가 늘고 있다.

전국에서 매출 3위 안에 드는 이마트 연수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매장은 동춘역과 연결되어 있다. 덕분에 아파트단지 이용객과 이마트 이용객이 합쳐저서 이용률은 꽤 높은편. 그러나 논현동에 홈플러스와 뉴코아가 생기면서 위협받고 있다. 후술하듯이, 이마트가 워낙 크고 쾌적하기에 연수지구와 송도, 논현동까지 흡수해서 전국 2,3위의 이마트가 된 것. 사실 연수구 내에서는 롯데마트 연수점에 대한 평판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연수구 주민들이 선호한다. 지금은 멀지 않은 위치에 홈플러스 인천송도점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이 크고 아름답게 생겨나면서 약간이나마 분산된 상태. 그래도 아직 이마트 연수점이나 스퀘어원, 홈플러스 인천연수점을 가려는 차가 주말마다 줄을 슨다.

연수구에 있는 영화관은 동춘역 근처 스퀘어원에 있는 CGV 인천연수, 테크노파크역 근처 메가박스 송도, 연수역 근처에 있는 CGV 연수역 세 곳(지금은 5곳)이다. 곳이다. 과거에 있던 IMC9은 롯데시네마에 인수되었지만 2010년 11월 25일 이후로 롯데시네마마저 폐점했고 씨너스는 메가박스로 새로 시작했다가 CGV로 바뀌었다. 대신 송도 트리플스트리트 메가박스 송도가 새로 입점했다. 2020년 12월 인천대입구역 근처에 CGV 송도타임스페이스가 새로 생겼다.

유명 프랜차이즈 패밀리 레스토랑으로는 스퀘어원에 입점한 VIPS, 애슐리가 있다. 씨푸드 뷔페로 유명한 드마리스가 논현동에 있어 연수동에서도 찾는 사람들이 많다. 다른 뷔페로는 송도 미추홀호텔에 피에스타, 구 송도 라마다호텔에 벨뷰, 메가박스에 갈라드7이 있다. 과거 동춘동에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가 있었다가 송도동으로 이전했다.

패스트푸드 업체는 과거 동춘동 상권이 잘나가던 시절에 맥도날드, 롯데리아, 파파이스가 같이 있었기도 했으나 스퀘어원과 이마트가 생기기 전에 다들 폭싹 망해버려 다 사라지기도 했다.[24] 2016년 1월 기준으로 송도를 제외한 연수구 지역에는 KFC가 한 곳, 롯데리아는 세 곳, 맥도날드는 네 곳이 있으며, 맘스터치는 두 곳, 버거킹 두 곳이 있다. 송도국제도시 지역에는 맥도날드가 한 곳, 롯데리아가 다섯 곳, 버거킹과 맘스터치가 두곳씩 있다. 맥도날드 배달이 안되는 지역이 많다. 또한 맥도널드 딜리버리 앱에서는 배달이 불가능하다고 나오나 배달의민족 등 배달앱에서는 배달주문이 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선학동에는 맥도날드, 롯데리아, KFC, 버거킹, 맘스터치, 파파이스등 국내 패스트푸드 업체가 한 1곳도 존재 하지 않는다.

커피전문점의 경우 스타벅스가 8개, 커피빈이 1개, 카페베네가 8개, 탐앤탐스가 3개, 투썸플레이스가 5개, 할리스가 2개, 자바시티가 1개, 카페 티아모가 1개, 이디야가 1개,엔젤리너스가 4개 등이 있으며, 인천에서 카페가 제일 많다. 주 분포지역은 대동월드, BYC, 동춘동, 스퀘어원, 송도 신도시 쪽이다. 그리고 스퀘어원과 트리플스트리트에 스무디킹이 들어섰으니 모든 메이저 커피 및 음료 프랜차이즈 전문점들이 연수구에 다 있다. 연수구 주 상권지역인 청학동과 대동월드 근방엔 로스팅 카페나 개인 소규모 카페가 곳곳에 있어 찾아보기도 쉽다. 송도국제도시를 제외하면 베드타운 성격이 짙은 곳에 카페가 이리 많은 건 상술하였듯 치맛바람이 센 지역이라는 특성에 기인한다. 아이들 학교나 학원에 보내놓고 학부모들이 모임을 가지면서 자녀교육에 대해 이야기할 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7.1. 주요 스팟

7.2. 금융

인천 연수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인천우체국 (5)[27]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5)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 (6)
시중은행
신한은행 (7) 우리은행 (7)
SC제일은행 (2) 하나은행 (5)
국민은행 (6)
지방은행
광주은행 (1) 전북은행 (2)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남인천농협 (9) 인천축산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인천수협 (5) 경인북부수협 (1)
새마을금고
연수새마을금고 (5) 송도새마을금고 (2) 관교문학동새마을금고 (1)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인천송도신용협동조합 (4) 휴니드신용협동조합 (1)

8. 관광

파일:원인재.jpg
인천 이씨 중시조인 이허겸의 사당 겸 묘명인 원인재이다. 원래는 사당만 원인재에 해당되었고 연수구 아파트단지 한복판에 있었으나, 아파트 공사로 인해 현재의 위치인 이허겸의 묘명 근처로 옮겨왔다.[29] 원인재에선 연수구 문화인사들이 주최하는 문화행사를 종종 한다.

이 이름을 딴 지하철역인 원인재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기때문에 타 지역에서도 비교적 쉽게 찾아갈 수 있다.
파일:external/commondatastorage.googleapis.com/10082029.jpg
능허대는 백제가 중국 동진과 통교를 시작한 근초고왕 27년부터 옹진으로 도읍을 옮긴 개로왕 21년(475년)까지 사신들이 중국을 왕래할 때 출발했던 나루터가 있던 곳이다. 지금은 바다 주변이 모두 매립되어 과거에 나루터였다는 사실이 믿기지가 않는 공원 형태로 되어있다. 위치는 옥련동.
파일:인천상륙작전기념관.jpg
옥련동 송도유원지 근처에 1984년 개관한 곳이다. 6.25 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기 위해 5공 시절 전두환 전 대통령이 만든 곳이다. 높은 언덕과 함께 학생들의 현장체험학습으로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다만 실제 상륙작전이 이뤄진 곳은 이 근처가 아닌, 차량으로 10분정도 거리에 있는 용현동 부근.
파일:인천시립박물관.jpg
원래는 1946년 중구 송학동에 있었으나, 1990년 지금의 위치에 개관하였다. 위치는 송도유원지 근처. 상륙작전 기념관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 비교적 최근인 2006년에 박물관 리모델링을 끝내고 재개관하기도 하였다.
가천대학교의 재단의 부설 박물관이다. 위치는 송도유원지 근처. 앞서 나온 상륙작전 기념관과 시립박물관과도 멀지 않은 곳에 있다. 가천박물관은 한국의료생활사에 나타나는 문화사를 조명하기 위해 건립되었다고 한다.

9. 생활문화

9.1.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수구/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연수구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연수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인천능허대초등학교 인천동막초등학교 인천동춘초등학교 인천먼우금초등학교
인천명선초등학교 인천문남초등학교 인천미송초등학교 인천박문초등학교
인천새봄초등학교 인천서면초등학교 인천선학초등학교 인천송담초등학교
인천송도초등학교 인천송명초등학교 인천송원초등학교 인천송일초등학교
인천신송초등학교 인천신정초등학교 인천연성초등학교 인천연송초등학교
인천연수초등학교 인천연화초등학교 인천예송초등학교 인천옥련초등학교
인천은송초등학교 인천중앙초등학교 인천첨단초등학교 인천청량초등학교
인천청학초등학교 인천축현초등학교 인천함박초등학교 인천해송초등학교
인천현송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연수구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연수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능허대중학교 박문중학교 선학중학교 신송중학교
연성중학교 연수중학교 연화중학교 옥련중학교
인송중학교 인천미송중학교 인천신정중학교 인천여자중학교
인천예송중학교 인천중학교 인천해송중학교 인천현송중학교
청량중학교 청학중학교 함박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연수구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연수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colbgcolor=#ffcbcb,#340000> 박문여자고등학교 송도고등학교 신송고등학교 연수고등학교
연수여자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옥련여자고등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대건고등학교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 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인천연송고등학교
인천여자고등학교 인천포스코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인천해송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1f3c9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f3c9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천광역시 시립도서관 송도국제중앙도서관 송도워터프론트도서관
인천광역시교육청 직속 도서관 인천광역시교육청연수도서관
연수구 구립도서관 연수청학도서관 송도국제어린이도서관 동춘나래도서관 해돋이도서관
선학별빛도서관 연수어린이도서관 함박비류도서관
구립 작은도서관 송도2동 작은도서관 송도3동 작은도서관 송도4동 스마트도서관 송도5동 스마트도서관
옥련1동 작은도서관 옥련2동 어린이작은도서관 연수1동 작은도서관 연수2동 작은도서관 }}}}}}}}}}}}

9.2. 치안

인천연수경찰서가 연수구 전체의 치안을 담당하고 있으며, 인천송도경찰서가 개서 추진 중이다.

행정안전부의 최근 4년간 지역안전지수에 따르면, 가장 최근인 2018년에 범죄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아, 인천 치안 1위 타이틀을 받았다. 예전부터 계양구와 함께 1등급과 2등급을 받던 곳이어서 치안이 나쁜 수준은 아니었기에, 2등급을 받은 계양구와 함께 인천에서 치안이 좋은 편에 속한다.

9.3. 의료기관

1차의료기관인 의원급들은 신도시이니만큼 충분히 많이 있다. 종합병원은 나사렛국제병원(252병상)과 인천적십자병원(122병상)이 있으며, 나사렛국제병원은 상가 블록의 한 건물로 있다보니 다소 뜬금없다는 느낌이 든다. 이외 경인권역재활병원이 있다.

그 외 필요한 상위 의료서비스는 길병원이나 인하대병원으로 나가는 편.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수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 연수구청장

파일:연수구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연수구청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백승철
제2-3대
신원철
제4대
정구운
제5대
남무교
제6대
고남석
제7대
이재호
제8대
고남석
제9대
이재호
파일:logo_인천연수구.gif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수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수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출신 인물

13. 사건사고

항목 있는 유명 사건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14. 관련 문서


[1] 6개 법정동, 15개 행정동 [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3] 2024년 7월 기준 [4] 연수구 가선거구 (옥련2동, 연수1동, 청학동): 박현주
연수구 나선거구 (선학동, 연수2동, 연수3동, 동춘3동): 한성민
연수구 다선거구 (옥련1동, 동춘1동, 동춘2동): 박정수
연수구 라선거구 (송도1동, 송도3동): 이형은
연수구 마선거구 (송도2동, 송도4동, 송도5동): 박민협, 편용대
연수구 비례대표: 김영임
[5] 연수구 가선거구 (옥련2동, 연수1동, 청학동): 김국환
연수구 나선거구 (선학동, 연수2동, 연수3동, 동춘3동): 최숙경
연수구 다선거구 (옥련1동, 동춘1동, 동춘2동): 장현희
연수구 라선거구 (송도1동, 송도3동): 기형서
연수구 마선거구 (송도2동, 송도4동, 송도5동): 윤혜영
연수구 비례대표: 정보현
[6] 연수구 제1선거구 (옥련2동, 연수1동, 청학동): 정해권 (초선)
연수구 제2선거구 (선학동, 연수2동, 연수3동, 동춘3동): 김용희 (초선)
연수구 제3선거구 (옥련1동, 동춘1동, 동춘2동): 유승분 (초선)
연수구 제4선거구 (송도1동, 송도3동): 조현영 (초선)
연수구 제5선거구 (송도2동, 송도4동, 송도5동): 이강구 (초선)
[7] 송도 개발전에도 연수구청 일대(BYC거리)에 학원가가 몰려있어 인천내에서 교육열이 높기로 유명했다. [8] 동춘1동 주민센터에는 갯벌에서 조개캐는 그림이 있다. [9] 분당신도시, 일산신도시도 비슷한 시기에 개발이 시작됐다. [10] 지금의 선학동 [11] 다만 선학동은 미추홀구 학익동/관교동/문학동/주안동 일부와 함께 인천도호부 부내면→인천부 구읍면에 속했다. [12] 대체로 문학산 이남 지역에 해당된다. [13] 옥련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동춘동 [14] 설치와 동시에 연수3동, 동춘1·2동 설치 [15] 남동구 분구로 선학동 관할이던 법정동 남촌동이 남동구에 편입됨. [16] 때문에 외지인들이 송도국제도시로 가기 위해 송도역으로 왔다가 낭패를 본 사례가 꽤 있다. [17] 나머지 여타지역은 개요부분에서 서술한 것처럼 90년대 초까지 갯벌만 있던 동네였다. [18] 그리고 박물관 뒷길로 들어가다 보면 드라마에서 볼법한 재벌가들의 단독주택들이 즐비해 있는데 그 일대가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과 가천길재단 이길여 회장 등이 거주하는 서울로 치면 평창동, 성북동, 한남동과 같은 인천의 전통 로열부촌이다. [19] 다만 이는 연수지구의 집값이 떨어진 것이 아니라 정체중이기 때문이다. 송도는 집값이 계속 오르는 중. [20] 인근에 위치한 가천대학교 학생들과 남동인더스파크가 있는데 이 지역에서 유독 토막살인사건을 비롯한 범죄가 자주 발생했고, 연수구 지역 탈선 청소년들이 대부분 이 지역에 모이기 때문에 연수구의 할렘가로 불리며 많은 연수구민들의 기피 장소가 되었다. [21] 문학경기장역은 이름만 보면 미추홀구 소속으로 착각할 수 있으나, 역무실 주소는 연수구로 되어있다. [22] 총 개수는 강남구의 26개역이나 중구, 종로구 근방의 역 개수보다는 현저히 적으나, 연수구('19.07월 주민등록인구 357,244명)에 14개역은 지나치게 많은 편인건 사실이다. 인구가 더 많은 부평구('19.07월 주민등록인구 517,029명)가 11개역, 남동구('19.07월 주민등록인구 534,871명)가 8개인데 비해 산술적으로도 많다. 수원의 경우 지금 짓고 있는 노선을 다 지어도 인구 120만을 목전에 둔 도시에 총 10개 역 밖에 안된다. [23] 그런데 인천 1호선의 송도-신흥동 연장과, 송도-주안지선, 인천 순환선 계획이 전부 연수구를 다 지나간다. 실행이 돼야 일어날 이야기겠지만... [24] 참고로 지금까지 언급된 패스트푸드 업체는 전부 동춘동 한화마트 상권 내에 있었다. 물론 2013년 현재는 모두 사라졌다는게 함정이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7] 인천 중구, 동구와 백령면과 대청면을 제외한 나머지 옹진군의 관할 우체국의 업무도 담당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9] 그래서 아파트단지 한복판에 있는 연수구청의 신 주소가 원인재로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