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10:59:16

엄상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496><tablebgcolor=#005496>
대한민국
{{{+1 [[대법원장|{{{#FFFFFF 대법원장}}}]] 및 [[대법관|{{{#FFFFFF 대법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000000"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706647032436_q8ls4o_2_0.jpg
선관위원장 겸임
법원행정처장 겸임
대법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직 대법원장
조희대
윤석열 대통령 임명
현직 대법관 목록
김선수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문재인 대통령 임명
이동원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문재인 대통령 임명
노정희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문재인 대통령 임명
김상환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문재인 대통령 임명
노태악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문재인 대통령 임명
이흥구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문재인 대통령 임명
천대엽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문재인 대통령 임명
오경미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문재인 대통령 임명
오석준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윤석열 대통령 임명
서경환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윤석열 대통령 임명
권영준
김명수 대법원장 제청, 윤석열 대통령 임명
엄상필
조희대 대법원장 제청, 윤석열 대통령 임명
신숙희
조희대 대법원장 제청, 윤석열 대통령 임명
역대 대한민국 대법관 목록 보기
}}}}}}}}}}}} ||
대한민국 대법관
엄상필
嚴相弼 | Um Sang-pil
파일:1709636589209_ga2hsg_2_0.jpg
<colbgcolor=#005596><colcolor=#fff> 출생 1968년 12월 1일 ([age(1968-12-01)]세)
경상남도 진주시
현직 대법관
재임기간 대법관 ( 조희대 대법원장 제청 / 윤석열 대통령 임명)
2024년 2월 29일 ~ 현직[대법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596><colcolor=#fff> 가족 배우자, 슬하 2남[2]
학력 진주동명고등학교 (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 법학 / 학사)
병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만기전역 ( 군법무관)
( 1994년 ~ 1997년 2월 26일)
약력 제33회 사법시험 합격
제23기 사법연수원 수료
서울지방법원 판사
서울가정법원 판사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판사
서울고등법원 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창원지방법원 부장판사
사법연수원 교수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가정법원 부장판사
부산고등법원 창원재판부 부장판사
수원고등법원 부장판사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

1. 개요2. 생애3. 대법관 재임 중4. 경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법조인이자, 대법관.

2. 생애

1968년 12월 1일,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태어났다. 진주동명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제33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23기.

1994년 연수원 수료 후, 3년 간 육군 군법무관으로 복무한 뒤 대위로 만기전역했다. 1997년 서울지방법원에서 첫 임관, 서울가정법원,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서울고등법원 등 일선 판사로서 여러 재판을 담당했다.

2005년에 "피해여성이 술에 취해 ‘필름’이 끊겨 성관계 했더라도 적극 저항하지 않았다면 준강간 아니다."라는 황당한 판결을 했다고 하여 구설수에 오른 일이 있다. #

2006년 2월 ~ 2008년 2월까지 대법원 재판연구관으로 파견돼, 상고심을 보조했고 후인 2010년에는 사법연수원 교수로 임명돼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 출강하기도 했다. 대법원 연구관과 연수원 교수 시절을 제외하면 일선법원에서 줄곧 사실심 재판을 담당한 정통 법관이다.

2013년 2월 ~ 2015년 2월까지 서울중앙지방법원 영장전담판사를 맡았으며,[3] 2017년에는 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승진해 부산고등법원 창원재판부, 수원고등법원, 서울고등법원에서 항소심 재판을 주로 담당했다.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재직 당시 거물급 정치권 인사들의 항소심 재판을 맡으면서 내린 주요 판결 등은 다음과 같다.[4]

2023년 7월, 조재연, 박정화 대법관의 후임 최종후보 8인에 이름을 올렸으나, 최종 후보로 권영준 교수와 서경환 부장판사가 지명되었다.

2024년 1월 25일, 퇴임한 안철상, 민유숙 대법관의 후임 선정절차에서 최종후보 6인에 이름을 올렸다. 여성으로는 박순영 고법판사[5], 신숙희 판사와 같이 두 번 연속 최종후보자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2024년 2월 2일, 조희대 대법원장 취임 후 첫 인선으로 윤석열 대통령에게 엄상필 부장판사와, 신숙희 상임위원을 임명 제청했다. 두 명 모두 대법관추천위원회 최종후보로 연속으로 이름을 올린 끝에 지명되었다.

2024년 2월 21일,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가 전체회의를 열어 공식적인 인준절차가 시작되었다. 두 대법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각각 27일, 28일에 걸쳐 진행한다고 합의했다. 이데일리

파일:Screenshot_20240228_112745_Samsung Notes.jpg
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 국회방송 (2024.2.28)

2024년 2월 28일, 엄 대법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진행되었다.[6]
엄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질의 관련 쟁점은 다음과 같다.

두 후보자의(+ 신숙희 판사) 신상 논란이 없다는 점과 직무 수행에 관해 인사청문보고서는 적격으로 채택, 임명동의안 표결로 넘어갔다. #

2024년 2월 29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임명동의안 표결에서 총 투표수 263인 중, (가 242인, 부 11인, 기권 10인)으로 통과되었다. KBS 이후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안을 재가했고 안철상, 민유숙 前 대법관 퇴임 후 두달여 만에 신숙희 판사와 임기를 시작하면서 공석이 마무리되었다.

3. 대법관 재임 중

4. 경력



[대법관] 임기종료일은 2030년 2월 28일. [2] 장남은 공군 병장, 차남은 육군 병장으로 전역했다. [3] 소위 채동욱 혼외자 의혹에서 문제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영장청구를 기각한 바 있다. # [4] 파기환송심을 포함한 2심이 주요 판결 내용. [5] 대법관추천위원회 최종후보로 두 번 연속 같이 이름을 올렸으나, 윤석열 대통령이 비토한바 있어 상대적으로 지명 가능성이 낮다. [6] 신숙희 후보자는 전날인 27일 청문회를 마쳤다. [7] 윤석열 정부가 추진 중인 이 법은 필수 진료과에서 의료사고가 발생하면 원칙적으로 해당 의사에 대한 기소를 제한한다는 것이 골자다. 불가피한 의료 사고에 대한 의료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됐다. [8] "입증 책임을 환자에게 떠넘긴다는 환자 단체의 비판도 있다"는 지적에 "충분히 균형을 잘 고려해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9] 조국 재판 1심 절차의 심리 기간 및 이재명 민주당 대표 사건을 배당받은 강규태 부장판사가 사직한 문제를 지적하는 질의에서 [10] 울산시장 선거개입 사건 관련 재판 관련 질의에서 [11] 창원간첩단 사건 피고인의 재판 지연 의혹행위 관련 질의에서 [12] 국민의힘 총선 예비후보로 등록한 서천호 前 국가정보원 차장을 윤석열 대통령이 22대 총선을 앞두고 사면을 단행한 것이 약속 사면이라 부적절하다는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서 [13] 사면절차의 투명한 목적에 의한 법제화 관련 질의에서 [14] 2023년 김명수 사법부가 압수수색영장 심문을 도입하려다 큰 논란이 되자 뜻을 이루지 못한 일이 있다. 이 제도에 대해서는 판사들은 대체로 찬성하는 입장이고 검사들은 대체로 반대하는 입장이다. [현직] 2024.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