仁 어질 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ン, (ニ), ニン
|
||||||
일본어 훈독
|
ひと
|
||||||
-
|
|||||||
표준 중국어
|
rén
|
||||||
베트남어
|
nh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仁은 '어질 인'이라는 한자로, '어질다'를 뜻한다.2. 자형
갑골문 |
3. 상세
소리를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뜻을 나타내는 二(두 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명사 '사람'에서 파생되어 형용사 '사람답다', '어질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의미 파생은 한국어, 영어에서도 볼 수 있다.[예시]간독과 겸백에서 𡰥, ⿱ 身 心, 忎, ⿱人心 등의 여러 이체자로 쓰였다.
Baxter-Sagart의 재구에서는 仁 자 및 그 고자(⿱身心, 忎, ⿱人心)를 모두 뜻을 나타내는 心과 소리를 나타내는 身, 千, 人으로 이루어진 형성자로 보며, 설문해자에서는 이 글자를 회의자로 보고 있다.[2]
공자가 주장한 유교의 도덕 이념 또는 정치 이념에서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중 하나다. 공자는 인을 '혈족애를 바탕으로 한, 인간 특유의 도덕적 감수성'에 가까운 의미로 사용했다.
어질다는 것의 근본은 측은지심인데, 이는 맹자의 비유에 의하면 '우물에 빠지려는 아이를 보고 저절로 깜짝 놀라서 불쌍한 마음이 드는 것'과 같다고 한다.
뜻이 좋고 발음도 무난한 글자이기 때문에 사람의 이름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어감 자체가 중성적이기 때문에 남녀 모두에게 사용되며, 일본에서도 이 글자가 사용된 이름들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3]
'어질다'라는 뜻 이외에도 ' 과일의 씨앗', '알맹이'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대표적으로 생물학 용어인 인(仁, Nucleolus)과 행인(杏仁: 살구씨), 도인(桃仁: 복숭아씨)이 있다.
히라가나의 に와 가타카나의 ニ가 해당 글자에서 유래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4EC1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MM(人一一)으로 입력한다.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 숙어
- 관과지인( 觀 過 知仁)
- 살신성인( 殺 身 成仁)
- 송양지인( 宋 襄 之仁)
- 위부불인( 爲 富 不仁)
- 인의예지(仁 義 禮 智)
- 인자무적(仁 者 無 敵)
- 인자불살(仁 者 不 殺)
- 인자요산(仁 者 樂 山)
- 인지의진(仁 至 義 盡)
- 일시동인( 一 視 同仁)
- 지사인인( 志 士仁 人)
- 행재불인( 幸 災 不仁)
4.3. 인명
- 강상인( 姜 尙仁)
- 강인섭( 姜仁 燮)
- 강혜인(姜 慧仁)
- 권세인( 權 世仁)
- 권인숙( 權仁 淑)
- 김기인( 金 基仁)
- 김인섭( 金仁 燮)
- 김인성( 金仁 成)
- 김인성( 金仁 性)
- 김인직( 金仁 直)
- 김인환( 金仁 煥)
- 김종인( 金 鍾仁)
- 김종인( 金 鍾仁)
- 나바타메 히토미( 生 天 目 仁 美)
- 모용인( 慕 容仁)
- 미시마 진파치 ( 三 島仁 八)
- 박인비( 朴仁 妃)
- 박인수( 朴仁 秀)
- 선예인( 宣 叡仁)
- 설인아( 薛仁 雅)
- 손지인( 孫 智仁)
- 염해인( 廉 海仁)
- 오강인( 吳 慷仁)
- 오오와다 히토미( 大 和 田 仁 美)
- 오인정( 吳仁 正)
- 원인철( 元仁 哲)
- 원태인( 元 兌仁)
- 유아인( 劉 亞仁)
- 유인수( 柳仁 秀)
- 유지인( 兪 知仁)
- 유혜인( 柳 惠仁)
- 이아인( 李 妸仁)
- 이인수( 李仁 秀)
- 이인수( 李仁 秀)
- 이인수( 李仁 壽)
- 이인영( 李仁 榮)
- 이지인(아나운서)( 李 智仁)
- 이타도리 유지( 虎 杖 悠仁)
- 이혜인(李 惠仁)
- 이혜인(李 慧仁)
- 인조(仁 祖)
- 인종(仁 宗)
- 일본/황실: 남성 황족의 이름 끝에 '仁(ひと)'이 들어간다.
- 장인섭( 張仁 燮)
- 장예인( 張 睿仁)
- 장효인( 張 孝仁)
- 전인범( 全仁 釩)
- 정극인( 丁 克仁)
- 정예인( 鄭 叡仁)
- 조지인( 趙 智仁)
- 채다인( 蔡 多仁)
- 채태인( 蔡 泰仁)
- 키노미야 히토시( 木ノ 宮 仁)
- 카자마 진( 風 間 仁)
- 탁발인( 拓 跋仁)
- 함인섭( 咸仁 燮)
- 혼다 히토미( 本 田 仁 美)
- 황대인( 黃 大仁)
- 황런쥔( 黄仁 俊)
- 황보인( 皇 甫仁)
4.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수인리( 水仁 里)
- 경인선( 京仁 線)
- 대구광역시
- 수인선( 水仁 線)
- 인왕산(仁 王 山)
- 인천광역시(仁 川 廣 域 市)[4]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仁 溪 洞)
- 경기도 용인시( 龍仁 市)
- 흥인지문( 興仁 之 門)
- 인덕원역(仁 德 院 驛)
- 꾸이년( 歸仁)
4.5. 중국어
- 仁 [rén]
- 형) 인자하다
- 예) 仁慈 [réncí]: 인자하다
- 명) 감각적이다
- 예) 不仁 [bùrén]: 무감하다
- 명) 속살
- 예) 杏仁 [xìngrén]: 행인
- 예2) 虾仁 [xiārén]: 조갯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