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00:35:54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분파 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 차루 마줌다르 · 푸슈파 카말 다할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트로츠키_투명.svg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유럽 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노동자투쟁 파일:프랑스 국기.svg · 반자본주의신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 안타르샤 파일:그리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노동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헝가리 노동자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불가리아 공산당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프
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해체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티베트 공산당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포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د افغانستان د خلق دموکراټیک ګوند[파슈토어]
حزب دموکراتيک خلق افغانستان[다리어]
People's Democratic Party of Afghanistan
파일:PDPA1.svg.png
<colbgcolor=#cc0000> 약칭 PDPA ( 영문)
서기장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1965년~1979년)
하피줄라 아민 (1979년)
바브라크 카르말 (1979년~1986년)
하지 모하마드 참카니 (1986년~1987년)
모하마드 나지불라 (1987년~1992년)
창당 1965년 1월 1일
2022년 (무장단체로 부활)
해산 1992년 4월 16일
당원 약 160,000명 (1980년대 후반)
이념 아프가니스탄 내셔널리즘
좌익 내셔널리즘
세속주의
진보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1965년~1987년, 2022년~)
국가 무신론 (1965년~1979년)
이슬람 사회주의 (1979년~1992년)
스펙트럼 좌익
극좌 (1965년~1987년, 2022년~)
승계정당 아프가니스탄 국민연합당 (할크파)
아프가니스탄 조국당 (파르참파)
아프가니스탄 국민이슬람운동 (튀르크계)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무장단체)
1. 개요2. 역사3. 부활?4. 역대 서기장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1965년부터 1992년까지 활동한 아프가니스탄 공산주의 정당. 소련 괴뢰국이었던[3]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의 집권당이자 유일한 합법 정당이었다. 1992년 모하마드 나지불라 정권의 몰락과 함께 해체되었다.

2. 역사

아프가니스탄 왕국 시대이던 1965년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바브라크 카르말에 의해 카불에서 창당되었다. 창당 직후인 1965년 치러진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자유선거에서 3명의 의원을 당선시켰고, 이후 당국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도시 지역과 군부를 중심으로 하여 지지세를 넓혀나갔다.

1967년 타라키와 카르말 및 그 지지자들 간의 의견 차이로 인해 인민민주당은 타라키를 따르는 파슈툰 족 주도의 농촌 기반 파벌인 할크(Khalq)[4]와 카르말을 지지했던 도시 중하류층 기반의 파벌인 파르참(Parcham)[5]의 두 파벌로 분리된다. 다수파였던 할크파는 강경한 스탈린주의 성향으로 즉각적인 폭력혁명을 통한 프롤레타리아트 국가의 수립을 주장하였고 파르참파는 아프가니스탄이 혁명을 하기에 충분한 산업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입장에서 통일전선 전술을 통한 인민민주주의 체제의 수립을 우선시하였기에 두 파벌 간의 노선 대립은 자명했다.

1973년 모하마드 다우드 칸의 무혈 쿠데타로 아프가니스탄 왕국이 붕괴되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이 들어선다. 인민민주당은 초기에 새로운 공화국 정부를 지지하였으나 다우드 칸이 좌파를 탄압하자 지지를 철회하였다. 이후 1978년 인민민주당은 사우르 혁명(Saur revolution)이라 불리는 할크파 장교들 중심의 쿠데타로 공화국 정부를 전복시키고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을 수립했다. 이 때 할크파의 대표격인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가 초대 혁명평의회 의장을 맡아 국가원수에 취임하게 된다.

혁명에 성공했으나 이후 인민민주당의 내분은 가속화된다. 타라키의 심복이던 하피줄라 아민은 단기간 내 정부와 당의 요직에 있던 파르참파 대부분을 숙청하였고, 이후 타라키와 아민 간의 관계 역시 악화되어[6] 혁명 1년만인 1979년 아민은 타라키를 살해하고 혁명평의회 의장직에 취임했다. 더불어 국가 무신론을 강력하게 밀어붙여 종교지도자와 이슬람 지식인들의 상당수를 숙청한 타라키와 아민의 스탈린주의적 공포정치는 현재의 탈레반으로 이어지는 무자헤딘의 발흥을 불러왔고, 이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영향력 상실을 우려한 소련의 군사개입으로 이어져 1979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소련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은 아프간 침공 당시 무자헤딘 소탕과 더불어 소련의 괴뢰 역할로 만족하지 않으려 했던 아민 대통령을 제거하고자 했고, 결국 아민은 국가원수가 된 지 채 몇 달 만에 소련군에 의해 사살되고 만다.

아민을 숙청한 이후 소련은 상대적으로 온건한 혁명전술을 지지했던 파르참파의 지도자 바브라크 카르말을 혁명평의회 의장직에 앉히고 아프간의 내정에 대한 본격적인 개입을 시작한다. 일각에서는 카르말이 인민민주당의 지도자가 된 1979년 후반부터 1992년까지의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만을 소련의 괴뢰국으로 칭하기도 한다.[7] 한편 소련의 지원으로 집권한 카르말은 할크파 소속의 장교들과 정치인들을 숙청하지 않고 당 내에 남겨 두었으며, 소련의 지원을 받아 무자헤딘과 싸웠으나 CIA 이란, 중국,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는 무자헤딘들을 상대로 큰 성과를 올리지는 못했다.

이후 1986년 사임하고 소련으로 망명한 카르말의 뒤를 이어 하지 모하마드 참카니가 1년간 의장을 맡았지만 이후 1987년 파르참파의 후계자이자 아프간 비밀경찰의 수장이었던 모하마드 나지불라가 서기장 및 혁명평의회 의장에 취임한다. 나지불라는 공산정권의 통치에 대한 국민적 반감을 완화하기 위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버리고 1990년 인민민주당의 당명을 '조국당(Watan Party)'으로 개칭하는가 하면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다당제 허용과 제도권 정치 참여를 전제조건으로 무자헤딘 측에게 유화책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1989년 소련군이 철수한 이후에도 나지불라 정권은 당시 소련의 지원 아래 무자헤딘 반란 세력들과 내전을 치르며 1990년대 초반까지 정권을 유지했으나, 1991년 나지불라 정권을 지원하던 소련이 붕괴되면서 고립무원의 상태에 빠졌다. 결국 이듬해인 1992년 4월 나지불라 정권은 붕괴되었고, 이후 인민민주당은 모든 권력을 잃고 해산되었으며, 이후 대부분의 당원과 전직 정부군 인사들은 압둘 라시드 도스툼의 무장단체이자 정당인 아프가니스탄 국민이슬람운동으로 흡수되거나 1990년대 말 탈레반 정권이 수립되자 탈레반 정권에 대항하는 북부동맹에 합류하여 당시 북부동맹을 지휘하던 아흐마드 샤 마수드와 부르하누딘 라바니, 모하마드 파힘 등 1980년대와 1990년대 초까지 과거 적대 세력이었던 옛 무자헤딘 출신의 지도부 인사들과 함께 탈레반과 싸웠다.

3. 부활?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로 아프간 전역이 탈레반의 손에 들어간 이후 아프가니스탄 내전이 한창인 2022년, 부활한 인민민주당을 자칭하는 무장단체가 영상을 업로드했다. # 이들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은 현재 부활하여 반 탈레반 투쟁을 벌이기 시작하였으며, 수도 카불에서 무장 봉기를 준비하며 각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벌이는 중이고 아프가니스탄 국민저항전선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과 일시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다만 해당 영상을 제외하면 근거가 빈약한 상태이며, 아프가니스탄의 현재 상황으로 인해 단체의 실존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직까지 인민민주당이 분명한 실체로 부활했다 단정짓기는 힘든 상황이다.

4. 역대 서기장

대수 이름 재임 기간
1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1965년 1월 1일 ~ 1979년 9월 14일
2 하피줄라 아민 1979년 9월 14일 ~ 1979년 12월 27일
3 바브라크 카르말 1979년 12월 27일 ~ 1986년 11월 24일
4 하지 모하마드 참카니 1986년 11월 24일 ~ 1987년 9월 30일
5 모하마드 나지불라 1987년 9월 30일 ~ 1992년 4월 16일

5. 같이 보기



[파슈토어] [다리어] [3] 1979년 이후. [4] 파슈토어 다리어로 ' 인민'을 의미한다. [5] 파슈토어 다리어로 '깃발'을 의미한다. 이 이름은 공산주의자 전체에 대한 비칭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천 개의 찬란한 태양에서 악역 인물이 공산주의자들을 욕하며 "파르차미 도당"이라 칭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6] 타라키는 당내의 민주적 균형 유지를 위해 파르참파 인사들을 남길 것을 주장했으나 아민은 파르참파에 대한 자비는 없다며 강경책을 주장했다. [7] 이전 할크파 정권은 소련의 영향력 하에 있는 위성국이었으나 그 내정 및 외교에 있어 일정한 독립성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