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3:24:24

신인민전선

파일:신인민전선 로고.svg
Nouveau Front populaire (NFP)
한글 명칭 <colbgcolor=#FFF,#1F2023>신인민전선
출범일 2024년 6월 10일
당수[1] 프랑수아 뤼팽[2]
올리비에 포르[3]
마누엘 봉파르[4]
마랭 통들리에[5]
파비앙 루셀[6]
전신 신민중생태사회연합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참여 정당3. 역사4. 경제 정책5. 외교 정책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인민전선이 세울 정부는 취임 직후부터 단 하나의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취임 직후부터 정부는 프랑스 국민의 생명과 신뢰를 해치고 있는 프랑스 국민의 생명과 신뢰를 해치는 비상사태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마크롱 시대의 잔인함과 학대를 종식시킬 것입니다. 끝낼 것입니다. 우리는 즉시 사회적 비상사태와 기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0가지 획기적인 조치를 즉시 채택할 것입니다. 기후 문제를 해결하고, 공공 서비스를 복구하고, 프랑스와 전 세계의 평화를 위한 프랑스와 전 세계의 평화를 위한 길. 다음을 위해, 2024년 여름부터 삶이 달라질 수 있도록. 당 선언문의 일부

불복하는 프랑스, 사회당, 녹색당, 공산당 등의 좌파 정당들이 입법 계약[7]을 통해 결성한 프랑스의 좌파 정당연합. 2024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에 참여할 예정이다. 과거 전간기 프랑스의 인민전선에서 이름을 따 왔다.

2. 참여 정당

신인민전선 참여 정당
참여 여부 참여정당 상세
연합 참여
후보 출마
<colbgcolor=#FFF,#1f2023> 불복하는 프랑스
사회당
유럽 생태녹색당
프랑스 공산당
운동세대
피카르디여 일어나라! #
반자본주의신당
공화주의와 사회주의 좌파 #
광장 #
바스크 국가, 예! #[8]
청년 반파시스트 근위대 #
뉴 딜 #
마요트의 안전을 위한 연합 #
국민의 일꾼 #[9]
연합 지지 생태주의 시대 [10]

3. 역사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 정당 국민연합이 31.37%의 득표율로 30석을 획득해 선거에서 승리했다. 이와 더불어 사회당 연합은 7석, 불복하는 프랑스는 3석의 의석을 불리는 데 성공했지만 마크롱이 이끄는 선거 연합 Besoin d'Europe은 7.82%p의 득표율을 상실해 무려 10석이나 의석을 잃었다. 선거 이후 마크롱은 의회 해산을 단행해 조기총선을 시행하게끔 했다.

이 상황에서 프랑수아 뤼팽은 극우파의 집권을 막기 위해 인민전선과 좌파연합 건립을 촉구했다. 이후 6월 10일 불복하는 프랑스, 사회당, 녹색당, 공산당, 운동세대 등의 정당이 과거 1936년의 인민전선에서 명칭을 착안한 신인민전선을 발족하기로 협의했고 이후 여러 정당과 단체들이 추가로 합류하거나 지지 선언을 했다.

전체 577개 선거구 중 해외 영토와 코르시카를 제외한 546개 선거구 배분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불복하는 프랑스는 229곳, 사회당은 175곳, 녹색당은 92곳, 공산당은 50곳에 후보를 내기로 했다. 이는 이번 유럽의회 선거에서 각 정당이 얻은 득표율을 기준으로 조율했다.
#

사회당에 소속된 프랑수아 올랑드 전 대통령이 신인민전선 후보로 코레즈 제1선거구 #에 출마한다.

6월 15일, 노동조합 및 인종차별 반대 운동가들과 함께 프랑스 각지에서 국민연합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

4. 경제 정책

연금개혁 폐지와 '진정한 무상교육'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을 도입할 것을 계획했고, 재원 마련을 위해 상속세 개편을 추진할 것이다.

5. 외교 정책

"우크라이나 국민의 주권과 자유를 변함없이 수호할 것"을 약속했고, 키예프에 무기 납품을 제공할 것을 약속하며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소를 확보하기 위해 평화유지군을 파견할 것을 제안했다. #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다고 밝혔다. # 또한 네타냐후의 극우 정권과의 결별과 팔레스타인 정치범에 대한 석방을 촉구했다.

6. 둘러보기

프랑스 좌파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프랑스 좌익 정당
파일:불복하는 프랑스 신 로고.svg 파일:사회당(프랑스) 로고.svg 파일:프랑스 공산당 로고.svg
장뤼크 멜랑숑 올리비에 포르 파비앙 루셀
파일:유럽 생태녹색당 로고.png 파일:운동세대 로고.svg 파일:프랑스 좌익급진당 로고.png
야니크 자도 브누아 아몽 기욤 라크루아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사상 공화주의 · 자코뱅주의 · 급진주의 · 사회주의 · 아나키즘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트로츠키주의 · 유럽공산주의) · 생디칼리슴 · 신좌파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 생태사회주의 · 구조주의 ·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샤를 푸리에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 조르주 소렐 · 장폴 사르트르 · 모리스 메를로퐁티 · 시몬 드 보부아르 · 자크 라캉 · 롤랑 바르트 · 루이 알튀세르 · 미셸 푸코 · 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장 보드리야르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자크 데리다 · 피에르 부르디외 · 에티엔 발리바르 · 자크 랑시에르 · 알랭 바디우
정치인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 · 프랑수아 올랑드 · 에마뉘엘 마크롱*
주요 총리 아리스티드 브리앙 · 레옹 블룸 · 에두아르 달라디에 · 기 몰레 · 피에르 모루아 · 미셸 로카르 · 피에르 베레고부아 · 리오넬 조스팽 · 장마르크 에로 · 마뉘엘 발스 · 베르나르 카즈뇌브
기타 장폴 마라 · 조르주 당통 ·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 자크 르네 에베르 ·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 · 자크 루 · 필리포 부오나로티 · 장 조레스 · 자크 도리오 · 모리스 토레즈 · 자크 뒤클로 · 로랑 파비위스 · 세골렌 루아얄 ·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 안 이달고 · 다니엘 콩방디트 · 프랑수아 뤼팽
관련 인물 자크루이 다비드 · 외젠 들라크루아 · 귀스타브 쿠르베 · 빅토르 위고 · 에밀 졸라 · 알베르 카뮈 · 누벨바그( 장뤽 고다르 · 프랑수아 트뤼포 · 클로드 샤브롤 · 자크 리베트 · 에릭 로메르) · 아니 에르노 ·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 목수정
관련 집단 클뢰브 데 자코뱅( 몽테뉴파 · 에베르파) · 상퀼로트 · 클뢰브 데 코르들리에 · 마레파 · 앙라제 · 드레퓌스파 · 급진당 · 인민전선 · 레지스탕스 · 신인민전선( 신민중생태사회연합) · 파리 제8대학교 · 파리 낭테르 대학교
언론사 르몽드(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리베라시옹 · 뤼마니테 · 샤를리 엡도 · 카이에 뒤 시네마
관련 사건 프랑스 혁명 · 리옹 폭동 · 1832년 6월 봉기 · 프랑스 2월 혁명 · 파리 코뮌 · 드레퓌스 사건 · 68혁명 · 노란 조끼 운동
* 대통령 집권 이후로는 좌파 진영의 인사로 분류되지 않는다.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분파 }}}}}}}}}}}}

||<-3><tablebgcolor=#002395><tablebordercolor=#002395><tablewidth=100%>
파일:프랑스 국장.svg
프랑스의 이념
Idéologie Française
||
사회주의 급진·자유주의 자유주의 우파
드골주의
프랑스 내셔널리즘


[1] 집단지도체제로 운영한다. [2] '피카르디여 일어나라!'의 창당인. [3] 사회당의 대표. [4] 불복하는 프랑스의 대표. [5] 유럽 생태녹색당의 대표. [6] 프랑스 공산당의 대표. [7] contrat de législature. 입법부의 임기 동안 여러 정치 단체 간에 체결된 약속을 의미한다. [8] 원래 당명은 바스크어 Euskal Herria Bai이다. [9]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정당. [10] 이하 좌익급진당, 해적당 등의 여러 정당 및 프랑스 민주노동연맹 등 단체들이 연합을 지지함. 위키백과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