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06 23:01:06

자크 리베트

자크 리베트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제43회
( 1990년)
제44회
( 1991년)
제45회
( 1992년)
이에리사 우에드라오고
(틸라이)
오구리 코헤이
(죽음의 가시)
자크 리베트
( 누드 모델)
잔니 아멜리오
(아이들 도둑)

}}} ||
<colbgcolor=#DADEF7><colcolor=#13294B> 자크 리베트
Jacques Rivette
파일:Jacques Rivette.jpg
본명 자크 피에르 루이 리베트
Jacques Pierre Louis Rivette
출생 1928년 3월 1일
프랑스 제3공화국 루앙
사망 2016년 1월 29일 (향년 87세)
프랑스 파리
국적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직업 영화 감독, 영화 평론가
배우자 마릴루 파롤리니( 이혼)[1]
베로니크 마니[2]

1. 개요2. 소개
2.1. 엄청나게 긴 분량과 기구한 영화 역정
3. 기타4. 필모그래피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영화 감독, 연극 연출가. 누벨바그 세대 감독으로 꼽히며 카예 뒤 시네마 평론가 감독 그룹 멤버 중 하나였다.

2. 소개

누벨바그 세대 감독 중에서 가장 급진적인 형태의 영화를 만들었다. 주로 현실과 허구 간의 경계를 흐트러트리거나, 미스터리와 연극, 마술을 통해 영화의 서사를 실험하는데 관심을 가졌으며 때문에 메타픽션적인 성향이 강하다. [3] 연극이라는 소재를 자주 썼으며, 판타지/미스터리 영화 비중도 은근히 있는 편. 때문에 영화평론가 조너선 로젠봄은 그의 영화를 ‘픽션의 집’이란 개념으로 설명했다.

루이 푀이야드, 오슨 웰스 후기작과 하워드 혹스 같이 서사 구조을 독특하게 뒤틀어놓은 영화감독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앙토냉 아르토 루이지 피란델로 같은 현대 연극의 선구자들도 자주 언급된다. 에릭 로메르와 다른 방식으로 문학적 박식함을 자랑하는것도 특징. 드니 디드로 [4] 장 라신, 루이스 캐럴, 오노레 드 발자크 등이 언급된다.

여성 주인공을 많이 내세웠으며 [5], 모호한 시공간 묘사나 즉흥적인 제작 방식 [6]도 특징으로 꼽힌다.

2009년 제인 버킨을 주연으로 내세운 작은 산 주변에서를 마지막으로 건강이 악화 [7], 영화계에서 은퇴해 투병 생활을 하다가 2016년 사망했다.

2.1. 엄청나게 긴 분량과 기구한 영화 역정

리베트의 영화 특징으로는 영화 분량이 엄청나게 길다라는 점이 있다. 다른 누벨바그 동료들 데뷔작과 달리 그의 데뷔작인 파리는 우리의 것은 2시간 20분 정도 되는 상대적으로 긴 분량을 자랑했다. 그러더니 세번째 영화인 미치광이 같은 사랑에서는 4시간 10분으로 되더니, 네번째 영화인 아웃 원에서는 12시간 53분이라는 엄청난 분량으로 악명을 떨치게 된다.

다행히 (?) 아웃 원을 배급하는 과정에서 지쳤는지 [8] 상영 시간이 많이 줄어들긴 했으나, 그래도 기본 2시간 반에 5시간 정도로 영화를 만들었다.

이러다보니 누벨바그 멤버 중에서는 가장 먼저 영화를 만들었음에도 가장 힘들게 만들었으며, 흥행이나 인지도도 떨어졌다. [9] 그나마 대중적으로 주목받게 된 계기도 1974년에 발표한 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부터였고, 본격적으로 거장 대접 받은 것도 1980년대 말부터였다. 상술했듯이 DVD DCP 상영이 본격화된 2000년대에서야 접근 사정이 나아진 편. 로메르가 경제적인 제작 방식으로 무수한 영화를 만들고, 샤브롤이나 트뤼포가 대중적 지지를 얻었던거나 고다르가 집단 창작을 통해 왕성하게 영화를 쏟아낸것과는 대조적. 심지어 내용도 난해한 편인지라 일반 관객은 물론 영화광들 사이에서도 꽤나 난이도 있는 감독으로 꼽힌다.

3. 기타

4. 필모그래피

<rowcolor=#13294B> 년도 제목 연출 각본 출연 비고
1961 파리는 우리의 것
Paris nous appartient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61년 올해의 영화 3위
장편 데뷔작
1966 수녀
La religieuse
제19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67년 올해의 영화 공동 7위
1969 미치광이 같은 사랑
L'amour fou
1971 아웃 원[12]
Out 1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공동 169위
1974 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
Céline et Julie vont en bateau
제27회 로카르노 영화제 특별 심사위원상 수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공동 78위
1976 대결
Duelle
1976 북서풍
Noroît
1980 메리 고 라운드
Merry-Go-Round
1981 북쪽에 있는 다리
Le pont du Nord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82년 올해의 영화 공동 5위
1981 파리는 떠나고
Paris s'en va
단편
1984 지상의 사랑
L'amour par terre
제4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1985 폭풍의 언덕
Hurlevent
1989 4인조
La bande des quatre
제3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89년 올해의 영화 공동 3위
1991 누드 모델[13]
La Belle Noiseuse
제44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 수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1994 잔 다르크 Ⅰ: 전투
Jeanne la Pucelle I - Les batailles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94년 올해의 영화 7위
1994 잔 다르크 Ⅱ : 감금
Jeanne la Pucelle II - Les prisons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94년 올해의 영화 7위
1995 파리의 숨바꼭질
Haut bas fragile
1995 '뤼미에르와 친구들' 中
파리
Paris
옴니버스 영화 참여, 단편
1998 은밀한 방어
Secret défense
2001 알게 될 거야
Va savoir
제54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2003 마리와 줄리앙 이야기[14]
Histoire de Marie et Julien
2007 도끼에 손대지 마라
Ne touchez pas la hache
제5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카예 뒤 시네마 선정 2007년 올해의 영화 공동 10위
2009 작은 산 주변에서
36 vues du pic Saint-Loup
제6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유작


[1] 카예 뒤 시네마에서 비서로 일했던 이탈리아 여성이며, 누벨바그 멤버들과 친교가 있었다. 장 루슈의 어느 여름의 기록에 인터뷰이로 출연했으며, 이탈리아로 귀국한 뒤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스트로브-위예 스틸 사진가로 일했다. 리베트하고는 어느 여름의 기록 촬영 당시 사귀다가 결혼했으나 수녀 연극 상연 후 이혼했다. 다만 우호적인 이혼이었는지 지상의 사랑까지 전성기 리베트 작업에 대본 및 스틸 사진가로 참여했다. 2012년 4월 21일 향년 80세 타계. [2] 2000년대 중순 만나 사귀다가 알츠하이머 진단 후 결혼했다. 리베트 타계까지 함께 했으며 2021년 영화의전당 리베트 회고전에 영상 편지를 보낸 적이 있다. [3] 영화 만드는 과정과 정치를 연결시키고자 했던 고다르의 메타픽션이랑 달리 리베트의 메타픽션은 정치적이기 보다 미학적인 측면에 치중해 있었다. [4] 디드로는 리베트 영화의 중요한 키워드로 꼽힌다. 디드로 작품인 수녀를 영화화하기도 했을 정도. [5] 특히 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는 페미니스트들에게 각광 받아 수잔을 찾아서 같은 미국 영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6] 홍상수 쪽대본 제작방식의 선구자라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 이후 배우들이 각본을 써오거나 촬영 환경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았고 본인도 결말이 어떻게 될지 몰랐다고 한다. 다만 후기로 갈수록 많이 줄어들었다. [7] 알츠하이머를 앓았다고 한다. 이 영화는 리베트 영화치고 1시간 30분 정도로 상당히 짧은데, 알츠하이머 증상으로 촬영과 편집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고 한다. [8] 한동안 상영용 프린트가 딱 한 벌 밖에 없었다고 한다. 때문에 완전판 상영은 DCP 리마스터링 되기 전까지 세계적으로 드문 일이였으며 (한국보다 예술영화 상영 상황이 좋은 일본조차 상영을 위해 펀딩을 했으며, 호주에서는 2014년에서야 겨우 틀 수 있었다고 한다.), 전세계적으로 관람한 관객 수도 1000명 정도 밖에 안된다는 얘기가 있다. 한국은 그나마 운이 좋아서 2007년에 첫 상영 후 두 차례 상영한바 있다. 참조 [9] 해외에서도 미지의 누벨바그 감독, 이런 이미지가 강한 편이다. 씨네필 뿐만이 아니라 영화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단독 연구서가 별로 없는 감독으로 꼽힌다. (...) [10] 얼굴 팔리는 대외 활동을 좋아하지 않아 영화제 참석해 얼굴 드러내는것도 꺼렸다고 한다. 2021년 임재철 평론가가 강연에서 밝히길, 친구가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서 만난 리베트에게 사인을 요청했더니 당황하더니 '왜 나한테 사인을 받으려고 하는 거냐, 영화 공부 안 하고 뭐 하냐'라고 질책하면서 거절했다고 한다. [11] 누벨바그 멤버 중 말년까지 상당히 열심히 영화를 보러다녔다고 한다. [12] 13시간짜리 작품. 4시간 정도로 편집한 버전 '아웃 원: 유령'도 있다. [13] 2시간짜리 축약본이 존재한다. [14] <대결>, <북서풍>과 삼부작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