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6:12:37

인도네시아 공산당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분파 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 차루 마줌다르 · 푸슈파 카말 다할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트로츠키_투명.svg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유럽 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노동자투쟁 파일:프랑스 국기.svg · 반자본주의신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 안타르샤 파일:그리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노동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헝가리 노동자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불가리아 공산당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프
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해체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티베트 공산당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포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파일:Logo_of_the_Communist_Party_of_Indonesia.svg
Partai Komunis Indonesia (PKI)
한글 명칭 인도네시아 공산당
영문 명칭 Communist Party of Indonesia
창립자 헹크 스네이블릿
창당일 1914년 5월 23일[1]
1920년 5월 23일[2]
해산일 1966년 3월 12일
당사 주소 자카르타
회원수 300만 명
청년조직 인도네시아 학생 운동 집중[3]
기관지 하리안 락얏[4]
당 색
적색 (#FF0000, Red)
스펙트럼 극좌
이념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1. 개요2. 역사
2.1. 식민지 시대2.2. 독립전쟁2.3. 독립 이후
3. 여담4. 관련 단체5. 인도네시아의 다른 공산당6.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파일:E2DN1dLVoAU9Meb.jpg
인도네시아 공산당(Partai Komunis Indonesia, PKI, 1914–1966)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부터 인도네시아 공화국 수카르노 집권기까지 반세기에 걸쳐 활동했던 인도네시아의 공산주의 정당이었다. 창립자는 네덜란드의 저명한 공산주의자 헹크 스네이블릿(Hendricus Sneevliet, Henk Sneevliet, Maring, 1883–1942)으로, 1914년 창당 당시의 명칭은 '동인도사회민주주의연합'(Indische Sociaal-Democratische Vereeniging, ISDV)이었다. '인도네시아 공산당'이라는 명칭은 1924년부터 정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수카르노 정권에 참여한 적도 있었지만 1965년 수하르토의 정권 장악 후 이어진 1965–1966년 공산주의자 대학살에서 탄압의 표적이 되었으며, 1966년 3월 불법화되었다.

2. 역사

2.1. 식민지 시대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는 소련이 주도하는 코민테른에 속했다. 전통적으로 스마랑을 비롯한 자바 중·동부의 공업 지대에서 노동자 중심으로 공산당 지지자가 많았다. 식민지 시대에 인도네시아 공산당은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1930년대부터)를 따르는 정통파 공산주의 정당이었으며, 초기에는 네덜란드 식민 정부의 유화책에 의해 한동안 합법 정당으로 활동하였다.

1910년대와 1920년대 전기까지 네덜란드령 동인도 내부의 공산주의 운동을 대표하는 인물로는 상기한 스네이블릿 외에 언론인 하지 미스박(Hadji Mohamad Misbach, 별명 '붉은 하지'Hadji Merah, 1876–1926)이나 전투적 노조 활동가 스마운(Semaun, 1899–1971)[5] 등이 있었다. 많은 토착민 공산주의자들은 상대적으로 진보적이었던 이슬람 정치 단체 이슬람연합(Sarekat Islam)에도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특히 하지 미스박을 비롯한 많은 이들은 이슬람과 공산주의 내지 사회주의의 비전이 충분히 양립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1921년 이슬람연합에서 이중 당적 금지안이 채택되고, 이슬람연합 및 하지 미스박이 활동했던 무하마디야(Muhammadiyah) 등 이슬람 단체들이 공산주의자들과 선을 긋자, 1920년대 초부터 하지 미스박, 스마운 등의 공산주의자들은 인도네시아 공산당 활동에 집중하게 되었다.[6]

1925년 5월, 코민테른 집행 위원회에서 비공산계 민족주의자들과 연합하여 반제국주의 통일 전선을 이루라는 지시가 인도네시아 공산당으로 내려왔다. 당시 인도네시아 공산당 내부에서는 전면적 무장 봉기로 식민 정부를 전복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는 무소(Musso, 1897–1948), 알리민(Alimin, 1889–1964) 등의 급진파가 득세하였고, 이들은 코민테른의 점진론으로 만족하려 하지 않았다. 유사한 시점에 자바 중부 지역 공산당과 공산당계 노동조합들의 회합에서 철도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노동자 총파업을 촉발하고 혁명을 일으켜 식민 정부를 붕괴시킨다는 계획이 결의되었다.

그러나 1926년 초, 식민 정부가 먼저 발빠르게 예방 조치에 들어가 공산당 탄압을 시작하였고, 공산당 내부에서는 지도부 내에서 봉기 시작 시점에 관해 견해가 갈렸다. 코민테른 동남아시아 지부의 지도적 인물이었고 코민테른 집행 위원회에도 참가한 전적이 있는 탄 말라카(Tan Malaka, 1897–1949)는 신중론을 펼쳤고, 결국 탄압 국면에서 봉기는 1926년 6월까지 연기되었다. 이 와중에 섣부르게 바타비아, 파당, 반튼, 수라바야 등지에서 소수 급진파가 무장 봉기를 시도하다가 식민 정부에 의해 손쉽게 진압당해 버렸고, 본격적인 봉기는 시작도 못 해본 채 대대적인 공산당 탄압으로 공산주의자들이 대거 체포되며 1927년 공식적으로 공산당이 불법화되어, 결국 공산당 세력은 지하화하고 크게 약화되었다.

1930년대, 급진파 무소는 주로 모스크바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동인도와의 연락을 유지하고 공산당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다. 공산당 세력은 1927년 불법화 이후 1945년까지 뚜렷한 정치적 역할을 하지는 못했으나, 조용히 청년과 노동자를 지지 세력으로 끌어 모으며 때를 기다렸다.

2.2. 독립전쟁

1945년, 동인도를 점령한 일본 세력이 무력화되자 동인도에 정치적 공백이 발생했고, 무소를 비롯한 공산당 지도부는 공산당을 지지하는 여러 민병대를 거느리고 다시 정치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공산당은 활발한 선전·선동 활동으로 세력을 급속하게 불려나가며, 돌아온 네덜란드군에 맞서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일단 수카르노의 민족주의 독립파와 함께 싸웠다.

그러나 수카르노 지도부가 렌빌 협정(Perjanjian Renville, 1948)으로 네덜란드와 일단 타협하고 여러 공산당계 민병대에 무장 해제 및 해산을 요구하자, 무소와 공산당은 이에 반발하였다. 인도네시아군의 자료에 따르면 이때 공산당은 마디운에서 마디운 소비에트를 결성하고, 1948년 9월 18일 무소를 주석, 아미르 샤리푸딘(Amir Sjarifuddin, 1907–1948)을 총리로 하는 '인도네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의 건국을 선언하며 봉기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사실 무소를 비롯한 공산당 지도부가 마디운 봉기에 얼마나 동조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확실한 것은, 수카르노 지도부가 이 봉기를 매우 철저하게 진압하고 그 과정에서 무소를 포함한 지도부를 대거 사살하면서 공산당이 엄청난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공산당을 과하다싶을 정도로 철저하게 탄압한 것은, 수카르노가 당시 인도네시아의 공산화를 우려해 독립 지지를 유보하고 사태를 관망하던 미국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어필이었다는 분석이 있다. 미국은 수카르노의 공산당 탄압을 보고는 인니 독립을 지지하고 네덜란드를 압박해 인니 독립에 크게 기여했다.

2.3. 독립 이후

전쟁 종결 후 1953년 서기장에 취임한 디파 누산타라 아이딧(Dipa Nusantara Aidit, 1923–1965)이 당의 생존 전략으로 무장 혁명 노선을 포기하고 의회 정치에 접근하여, 공산당은 대중적으로 탈바꿈했다. 이 전략은 크게 유효하여 1955년 독립 후의 제1회 총선에서 공산당은 총 257석 가운데 39석을 획득하고, 인도네시아 국민당, 마슈미, 나다툴울라마에 이은 원내 제4당[7]이 되었다. 이후 약 10년간의 전성기가 이어지며 공산당은 유력한 대중 정당 가운데 하나로서, 당시 인도네시아의 사회와 문화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1957년 공산당은 지방선거에서 합계 득표수 기준 자바 지역 제1당[8]의 자리를 획득하는 기념비적인 선거 결과를 거두었고, 이어 수카르노의 교도민주주의(1957–1966) 시기에는 나사콤(Nasakom)의 한 축으로서 1962년 3월 공산당에서 아이딧 서기장과 루크만 뇨토(Lukman Njoto, 1925–1965) 2인이 입각하여 완전히 주류 세력이 되었다. 중소결렬 이후 인도네시아 공산당은 친중 노선을 취했으며, 1960년대 전반의 최대 확장기에는 당원의 수만 2백만에서 3백만 명에 달하는 중국과 소련에 이은 세계에서 3번째로 큰 공산당이었다.

1965년 9월 30일 사건 이후 1966년까지 수하르토를 필두로 한 군부에 의해 당 지도부를 포함한 50만에서 100만에 달하는 인도네시아의 공산주의자와 동조자 및 화인들이 대거 학살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정세가 혼란해지자 아이딧 서기장은 1965년 말 일단 피신하였으나, 친수하르토계 군인들에게 수라카르타에서 체포되어 11월 22일 보욜랄리(Boyolali)에서 총살당했다. 인도네시아 공산당은 수하르토에 의해 공식적으로 1966년 3월 12일 불법화되었으며, 공산당계 노동조합 조직이었던 전인도네시아노동조합중앙회(Sentral Organisasi Buruh Seluruh Indonesia, SOBSI)도 1966년 4월 불법화되었다. 잔존한 공산주의자들과 동조자들도 다수가 사형·투옥·유배·추방되었으며, 수하르토 정권은 강력한 반공 정책을 밀어붙였다. 인도네시아 공산당은 조직이 완전히 와해되었고, 전 인도네시아 공산당원들도 수하르토 정권에 의해 차별을 겪어야 했다.[9]

1998년 수하르토 정권이 민주화 운동으로 붕괴되고, 인도네시아가 민주주의의 길로 접어들면서 드디어 전 인도네시아 공산당원들이 그간의 일에 대해 입을 열 수 있게 되기는 했지만, 사회적인 차별은 2000년대 중반까지도 남아 있었다. 대학살 사건의 진상 규명도 군부에 의해 방해되고 있는 처지이고, 오늘날에는 인도네시아 대중들도 공산주의에 별 흥미를 가지지 않은 탓에 조직 복원은 요원해 보인다.

3. 여담

카를 마르크스의 저작을 비롯한 공산주의 문헌이 최초로 말레이어로 번역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전반이었다. 〈 공산당 선언〉은 1923년 이미 파르토노(Partono)에 의해 말레이어로 번역되어 신문 《수아라 라얏》(Soeara Ra’jat) 지면에 게재(당시 동인도에서 공산당 활동은 합법이었다)되었다. 그러나 공산당의 세력이 절정에 달했던 1955–1965년 시점까지도 마르크스의 대표작 《 자본론》은 여러 2차 문헌들과 함께 필요에 따라 인도네시아어로 발췌 번역되었을 뿐 완역되지 못했으며[10], 이후 수하르토 치하에서 공산주의 활동 자체가 거의 불법화됨에 따라 계속 번역되지 못한 채로 남아 있다가 민주화가 이루어진 후인 2006년에야 정식으로 인도네시아어로 완역되어 출간되었다.[11]

가끔 혼동되는 인도네시아 사회당(Partai Sosialis Indonesia, PSI, 1948–1960)과는 엄연히 다르다. 인도네시아 사회당은 마르크스주의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페이비언 민주사회주의를 추구한 정당이었다.

4. 관련 단체

5. 인도네시아의 다른 공산당

인도네시아 공산주의 운동의 확고한 주류 정파는 인도네시아 공산당이었지만, 수카르노 시대에는 몇몇 소수 정파가 더 있었다.

6. 참고 문헌


[1] 인도네시아 사회민주당 (영문명칭 Indies Social Democratic Association [2] 인도네시아 공산주의자 연합 [3] Consentrasi Gerakan Mahasiswa Indonesia, CGMI [4] Harian Rakjat [5] 십 대에 철도 노동자로 일하다가 전업 노조 활동가가 됨 [6] 이후에도 인도네시아 공산당 내부에서는 공산주의와 이슬람의 정치적 양립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정치적 지분을 차지하였다. 하지 미스박 외 대표적인 인물로는 하지 미스박 이후 세대 인도네시아 공산주의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였던 탄 말라카(Tan Malaka), 그리고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공산당의 전성기에 이론가로 활동했던 하산 라잇(Hasan Raid, 1923–2010)이 있다. [7] 당시 1석이라도 의원을 배출한 정당은 무려 28개에 달하였으나, 상위 득표 4당과 기타 정당의 득표율 차이는 현격했고, 상위 4당의 의석은 도합 198석으로 전체 의석의 약 80%에 해당하였다. 제5당이었던 인도네시아이슬람연합당(PSSI)과 인도네시아기독당(Parkindo)이 각각 8석, 제7당 가톨릭당이 7석, 제8당 인도네시아 사회당이 5석을 획득하였다. [8] 중부자바, 욕야카르타 지역 제1당, 자카르타(제1당 마슈미), 서부자바(제1당 마슈미), 동부자바(제1당 나다툴울라마) 제2당. [9] 이 시기를 학살 가해자인 정치깡패 안와르 콩고의 시선으로 풀어낸 다큐가 액트 오브 킬링이다. [10] 당시 인도네시아어는 학술 언어로 갓 쓰이기 시작한 시점이었으며, 지식인들은 주로 네덜란드어, 영어 등의 외국어로 학술 문헌을 읽었다. [11] (Pontoh and Guillermo 2019, 1) [12] 인도네시아 공산당에서 무르바당을 트로츠키주의자 소굴이라고 욕하는 일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