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11:44:43

스키피오

1. 개요2. 상세3. 스키피오 가문의 인물들4. 기타

1. 개요

Cornelii Scipiones

고대 로마에 존재하던 명문 귀족 가문 코르넬리우스 씨족의 가문 이름 중 하나.

2. 상세

역사상 처음 등장한 코르넬리우스 가문의 지파는 아니나, 지파로 갈라져 나온 이후 가문 내에서 많은 집정관을 배출하는 등 고대 로마의 유력 가문 중의 하나였다. 오늘날까지 카르타고와 대대로 싸운 대표적인 파트리키 가문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사례로 많이 언급되는 로마 귀족 가문이기도 하다.

존속 기간 내내 로마 사회와 원로원 안팎에서 최고의 명예와 권세를 휘둘렀고 약 600년 동안 로마 역사에서 존속한 대귀족 가문이다. 가문의 전체 역사만 놓고 보더라도 기원전 4세기부터 꾸준히 공화정기의 집정관, 법무관 등 선출직 요직에는 단골손님으로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포에니 전쟁 이후인 기원전 2세기 이래 원로원 안에서 양대 파벌을 형성한 클라우디우스 씨족 가문 내 종가격 지파 풀케르 가문과 로마 원로원을 양분했고 세계제국이 된 로마를 지배했다. 그러나 스키피오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포에니 전쟁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밖에 모르고 보통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아닌 스키피오라 알고 있기 때문에 이게 이름인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

스키피오는 군사 지휘관의 지휘봉 또는 권장을 의미한다.[1] 기원전 396년 로마 제2의 건국자로 불리는 독재관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휘하의 기병장관[2]으로 선임되었던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가 시조이다. 기원전 3세기에 이르러서는 집정관을 자주 배출하는 명문가 중 하나로 자리잡았으며, 포에니 전쟁 시기에는 적극적 주전파로 나서 한니발에게 자주 깨지기도 했지만 결국엔 적지에서 한니발을 회전에서 격파하고 여러 장군들이 두각을 나타내면서 후대까지 이어지는 명성을 얻었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가문과 밀접한 동맹 및 혈연관계에 있었으며,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바로 이 가문에서 스키피오 가문으로 입양된 인물이다.

스키피오 씨족은 오직 3개(그나이우스, 루키우스, 푸블리우스)의 프라이노멘(개인 이름)만을 사용하였으며 그마저도 공화정 말기로 가면 본가는 푸블리우스,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의 분가는 루키우스로 통일된다.

아프리카누스의 경우 헬레니즘 문화를 받아들이고 후원하는 등 당시로서는 개방적인 성향이었으나 후에 스키피오 가문이 공화정 최고의 명문귀족으로 자리잡으면서 골수 원로원파 가문이 되었다.[3] 티베리우스 그라쿠스 살해를 주도한 것이 당시 최고 제사장이었던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세라피오였을 정도.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인 메텔루스 스키피오 카이사르의 내전에서 원로원파의 핵심 인물 중 하나였으며,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패배하고 폼페이우스가 사망한 뒤에도 북아프리카까지 도망쳐 탑수스 전투까지 싸웠다.

가문의 대는 제정 시대에 이르러 살비디에누스 가문의 남자 아이를 입양해 대를 이었고, 입양을 통해 대를 잇게 된 양자와 그 후손들이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와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아래에서 집정관, 고위 관료에 올랐다. 따라서 제정 시대 이후, 로마 근교의 오스티아, 티볼리 근처에서 지방 귀족 정도로 가세가 완전히 몰락한 풀케르 가문 등과 달리 여전히 위세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허나 서기 4세기 중반, 마지막 스키피오로 알려진 루키우스 스키피오 오르피투스를 끝으로 더 이상 로마 원로원, 정부 관보에서 이름이 사라지고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코르넬리우스 씨족을 넘어 로마 귀족 그 자체를 상징하다시피한 스키피오 가문 역시 도미나투스 체제 이후 원로원이 유명무실화된 상황 속에서 그 위세를 잃고 멸문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3. 스키피오 가문의 인물들

4. 기타


[1] 그리스어의 σκῆπτρον(스켑트론, 지팡이)에서 유래한 라틴어 단어. 영어의 sceptre(셉터), 왕홀과 어원을 공유한다. [2] 이름과 달리 실제로는 독재관에 이은 2인자로 부독재관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3] 그나이우스 칼부스의 후손인 보수적 성향의 나시카 가문과 친헬레니즘적인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계열이 가문 내에서 서로 경쟁했는데, 아프리카누스의 아들들과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후손을 남기지 못하면서 나시카 가문이 본가가 되었다. [4] 아버지, 아들, 손자, 증손자 이름이 모두 같은 인물이 있다. [5] 코르쿨룸은 '영리한' 정도의 뜻을 가지는 라틴어 고어로, 이 별명은 코르쿨룸 사후에 붙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당대의 그는 스키피오 나시카로 불렸다. [6] 그라쿠스 형제의 어머니인 코르넬리아가 아프리카누스의 막내딸이다. [7] 원래 크라수스의 아들인 카이사르 휘하의 군단장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와 결혼했으나 푸블리우스가 카르헤 전투에서 사망하면서 미망인이 되었다. [8] 원로원파(옵티마테스)의 핵심인 메텔루스 가문은 100년 동안 집정관 역임자만 10명을 훌쩍 넘게 배출한 번성한 가문이었지만 이 시기에는 남계 후손이 없어져 메텔루스 스키피오가 유일한 구심점으로 남은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