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20:56:10

성주성 전투

성주 전투에서 넘어옴
임진왜란 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성주성 전투
星州城 戰鬪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1592년 (선조 25년) 9월 26일 ~ 1593년 (선조 26년) 2월 15일
(1592년 음력 8월 21일 ~ 1593년 음력 1월 15일)
장소

조선 경상도 성주목 성주성
원인 일본군의 성주성 점령
교전국 <rowcolor=black> 조선
(수세)
일본
(공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조선 어기.svg 제말 (성주 목사)
파일:조선 어기.svg 제홍록 (훈련부정)
파일:조선 어기.svg 정인홍 (의병장)
파일:조선 어기.svg 김면 (병마절도사)
파일:조선 어기.svg 정철 (도체찰사)
파일:조선 어기.svg 손승의 (별장)
파일:조선 어기.svg 김준민
파일:조선 어기.svg 이죽
파일:조선 어기.svg 주국신 (교생)
파일:조선 어기.svg 소상진 (군관)
파일:조선 어기.svg 임계영 (의병장)
파일:조선 어기.svg 장윤
파일:조선 어기.svg 곽천성
파일:조선 어기.svg 염세응
지휘관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모리 테루모토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가쓰라 모토츠나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요시미 모토요리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모리 모토야스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무라카미 카게치카
병력 조선군: 20,000명 일본군: 20,000명[1]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2]
결과 조선의 승리
영향 * 성주 목사 제말, 별장 손승의 전사
* 성주성 탈환 및 경상우도, 낙동강 서부 지역 수복
* 일본군의 주요 보급로 차단

1. 개요2. 배경3. 전개4. 영향5. 기타

[clearfix]

1. 개요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게 성주성이 점령당하자 성주성을 탈환하기 위해서 벌어진 전투이다.

2. 배경

성주성은 1592년 6월 6일(음력 4월 27일) 문경을 함락시키고 경상도 방어선이 붕괴될 때 기세를 모아 진격한 고니시 유키나가의 군에 의해 함락되어 일본군이 점령하고 있었다. 일본군이 점령한 성주는 당시 경상도의 거점 고을 중 하나였고, 대구에서 조령을 잇는 주보급로를 방어하는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조선군은 성주성을 탈환해서 일본군의 물자보급에 차질을 주고 개령에 본진을 둔 모리 테루모토의 부대를 고립시킬 계획이었다.

원래 성주성을 점령하고 있던 부대는 하시바 히데카츠의 제 9군이었는데 8월 11일에 제 7군의 모리 테루모토와 휘하 장수인 가쓰라 모토쓰나의 1만 병력과 교대하였고, 나중에는 의병들에게 쫓긴 우도 일대의 일본군까지 합세하여 병력이 2만 명이 넘게 되었다.

김성일 김면, 정인홍 등의 의병이 성주성을 탈환하도록 하는 한편 도체찰사인 정철에게 병력 증원을 요청하여 5천명을 지원받았고, 화순에서 기병한 의병까지 합세하여 병력이 2만 명에 달했다.
파일:JIN_7D_6006.jpg
전투가 벌어진 전장인 성주성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철거되어 임정사 앞에 동북쪽 성곽의 흔적만 일부 남아 있었으나 성주군에서 북문과 성곽을 재건하였다.

3. 전개

정인홍 김면은 8월 21일 주둔지에서 출발하여 성주성 남쪽으로 진출하고, 다음 날인 8월 22일부터 공성기구를 마련해 대대적으로 성주성을 공격할 준비를 했다. 이때 일본군의 지휘관이었던 가쓰라 모토쓰나는 조선군의 병력이 수만명에 달하자 개령에 있는 본진의 모리 테루모토에게 병력 증원을 요청했다.

증원군은 의병의 후방을 공격하였고, 포위망을 형성하기 전에 기습을 받은 조선군은 대열이 무너져 제대로 된 대항을 하지 못 하고 후퇴했다. 1차 공격에 실패한 조선군은 9월 11일 다시 성주성 탈환을 시도한다.
조선군이 공성기구를 준비하는 등 공격을 준비하고 있을 때 부상현을 넘은 일본증원군이 의병을 공격했고, 성안의 일본군도 합세하여 조선군을 공격했다. 전투 중에 별장 손승의가 조총에 맞아 전사하게 되는 피해를 입고 조선군은 2차 공격도 실패하게 되었다.

3달 뒤인 12월 7일에 3차 공격이 시작되었는데 8일에 걸쳐 공방전을 벌였지만 피해가 커지자 12월 14일에 철수하게 된다. 일본군은 3차례에 걸친 조선군의 공격을 받고도 성을 지켜냈지만 1593년에 접어들면서 보급이 줄어 식량이 부족해지는 등 전세가 점차 불리해져 본대가 후퇴해야 할 상황에 이르자 1월 15일 밤에 성주성을 철수하여 개령의 본대와 합류하여 선산방면으로 철수했다. 이리하여 조선군은 3차례의 격전 끝에 성주성을 탈환할 수 있게 되었다.

4. 영향

일본군으로부터 성주성을 탈환함으로서 조선은 경상우도, 낙동강 서부 지역을 수복하게 되었으며, 일본군의 주요보급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되었다.

성주성 전투에서 입은 피해 자체는 일본군보다 조선 측의 피해가 더 커서 승전이 맞는지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조선군의 성주성 탈환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했고, 일본군의 보급에 큰 타격을 주었으므로 전략적 승전이라고 볼 수 있다.

5. 기타

이 전투에서 전사한 성주 목사 제말과 정유재란 진주성을 지원하다가 전사한 그의 조카인 제홍록의 공을 기리기위해 1792년 정조 때 성주성과 진주성에 쌍충사적비를 세웠으며 현재도 비석이 남아 있다.[3]


[1] 전투 중 본진에 병력 증원을 요청했기 때문에 나중에는 더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2] 보급 문제 등으로 인한 전략적 후퇴이기에 피해 규모는 크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됨 [3] 제말은 고성 사람으로 전란 전 수문장을 지냈다는데, 기록이 워낙 적어 출신도 불분명하다. 아무튼 제말은 원혼이 되어 후임 수령들한테 원통함을 호소하고 무덤의 위치를 알려주었다는 민담마저 있을 정도로 존재감이 빠르게 잊혀졌다. 그나마 전란 후 200년이 지나서야 정조대에 복권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