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2 18:19:27

남해왜성 소탕전

임진왜란 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1592년
(선조 25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여주 전투[朝]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朝] · 율포 해전[朝] · 여주 전투[朝]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1593년
(선조 26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강화협상
·휴전기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거제도 진공작전[朝]
정유재란 1597년
(선조 30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日]
7월
서생포 해전[日] · 칠천량 해전[日]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석주관 전투[日]
12월
사로병진책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울산성 전투[日]
1598년
(선조 31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日]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남해왜성 소탕전
南海倭城 掃蕩戰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1598년 (선조 31년) 12월 18일 ~ 12월 21일
(1598년 음력 11월 21일 ~ 24일)
장소

조선 경상도 남해 일대
원인 남해안 지역의 일본군 잔적(殘賊) 소탕
교전국 <rowcolor=black> 조선-명 연합
(공세)
일본
(수세)
주요 인물
조선 지휘관

파일:조선 어기.svg 이순신 (무의공)
파일:조선 어기.svg 조효열
파일:조선 어기.svg 송희립
파일:조선 어기.svg 김완
파일:조선 어기.svg 우치적
파일:조선 어기.svg 나대용
파일:조선 어기.svg 이완
파일:조선 어기.svg 손문욱
지휘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Goshichi_no_kiri_inverted.svg.png 지휘관 불명
명 지휘관

파일:명나라 국기.png 진린
파일:명나라 국기.png 유정
병력 병력 규모 불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사상자: 1,000명 ↑
결과 조선-명 연합의 승리
- 남해안의 일본군 소탕
- 임진왜란 종전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로 노량해전 이후 전개된 소탕 작전이다.

2. 상세

노량 해전의 패배 소식을 들은 소 요시토시가 병사를 이끌고 남해도를 떠났으며, 시마즈군의 부장인 카바야마 히사다카(樺山久高),키이레 타다츠구(喜入忠続)는 노량에서 패배하자 도주해 데리자와 카몬효에이, 데리자와 세이로쿠, 데리자와 세이이치 등을 비롯한 50여 인과 함께 남해도에 상륙했다.

그들은 요시토시가 버리고 간 성에서 숨어있다가 뗏목을 만들어 타고 창선도로 향했으며, 조선, 명나라 연합군은 남해도에서 요시토시 휘하의 일본군 1천여 명을 죽였다. 조선, 명 연합군은 일본군이 버리고 간 배를 모두 불태우고 포구를 봉쇄했으며, 진린이 11월 21일 낮에 성을 수색했지만 적의 배는 텅 비었고 성 위에 불빛이 있었지만 곧 꺼졌다고 하며, 새벽녘에 적들이 밤 사이에 뒷산으로 도망쳤고 일본군은 수만 석이 되는 곡식, 총포, 화약, 소, 말 등의 가축을 놓고 갔다고 한다.

진린은 수급을 얻기 위해 급급하면서도 방옥을 불태우게 해 3천여 석의 양곡이 소실되었으며, 유정도 24일에 도착해 일본군이 남긴 수급을 찾는 것에 몰두하다가 조선 사람 중에 일본군에게 잡혔다가 산 속으로 들어가 숨어있던 사람들을 찾아내 모조리 목을 베면서 고니시가 보낸 적의 인질 6명의 목도 베었다. 또한 진린이 남해도에서 불을 질러 일본군 뿐만 아니라 남해에 사는 조선 사람들이 산에서 내려오지 않자 손문욱이 이 상황을 보고해 진린이 중지했다.

한편 시마즈 요시히로는 카바야마 히사다카 등을 구하기 위해 가신인 고다이 토모야스(五代友泰)를 파견한다. 고다이는 조그만 배를 타고 남해도로 건너가, 카바야마를 만난 후 함께 선흥도로 탈출한 뒤 다시 일본으로 도망치는데 성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