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율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소속 | |||||||
선무공신 | ||||||||
관련 전투 | ||||||||
이치 전투 | 독성산성 전투 | 행주대첩 |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전투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2년 |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
5월
|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 |||
6월
|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 |||
7월
|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 |||
8월
|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 |||
9월
|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 |||
10월
|
제1차 진주성 전투[朝] | |||
12월
|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 |||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3년 |
1월
|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 ||
2월
|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 |||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 ||||
1593년 |
6월
|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
1594년 |
3월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
7월
|
거제도 진공작전[朝] | |||
1597년 |
2월
|
부산 진공작전[朝] | ||
3월
|
기문포 해전[朝] | |||
6월
|
가덕도 해전[朝] | |||
7월
|
칠천량 해전[日] | |||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7년 |
8월
|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 ||
9월
|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 |||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7년 |
11월
|
제2차 석주관 전투[日] | ||
12월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 |||
1598년 |
7월
|
절이도 해전[朝明] | ||
9월
|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 |||
11월
|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 |||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독성산성 전투 禿城山城 戰鬪 |
||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
1593년 (선조 26년) 1월 13일 (1592년 음력 12월 11일) |
|
장소 |
경기도 오산시 독산성 |
|
교전국 |
<rowcolor=black> 조선 (수세) 승
|
일본 (공세) 패
|
주요 인물 |
지휘관 권율 선거이 변이중 (소모사) 조경 (조방장) 임희진 (의병장) 처영 (승병장) |
지휘관 우키타 히데이에 |
병력 | 조선군: 10,000명 | 일본군: 20,000명~30,000명 |
피해 | 피해 규모 불명 | 피해 규모 불명 |
결과 | 조선의 승리 | |
영향 | 경기도 지역 탈환 가속 |
[clearfix]
1. 개요
임진왜란 때인 1593년 1월 경기도 오산의 독산성에서 권율이 참여한 전투로서, 승리하여 경기도 지역의 일본군을 궤멸시켰다.2. 배경
임진왜란 초기에 벌어진 용인 전투에서 남도근왕군 5만 명이 와해당한 후 용인 전투 참전 장수 중 유일하게 피해를 입지 않았던 권율은 이치 전투에서 승리한 후 임진년 말경에 휘하 장수 선거이, 소모사 변이중, 조방장 조경, 의병장 임희진과 변사정, 승병장 처영과 군사 1만 명을 이끌고 북상했다.권율은 용인 전투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급하게 교전하기 보다는 수원의 독성산성으로 들어가 경기도 지역의 주도권을 잡으려 하였다.
당시 한양에는 일본군 6만 명이 주둔하였는데 한양 주둔 일본군 총사령관이자 제8진 우키타 히데이에는 전세가 불리한 상황에 조선군이 북상까지 하면 한양의 후방 연락망과 보급 추진로를 유지하기 어려우리라 판단, 군사 2만을 뽑아 수원에서 오산, 관천, 용인 등지로 들어가는 길을 차단하고 공격을 개시했다.
3. 전개
우키타 히데이에는 처음에는 독성산성을 공격해 봤지만 쉽게 뚫리지 않았고 이에 전략을 바꾸어 산성을 포위하여 권율을 압박하였다.하지만 조선군은 소수의 기병을 타격조로 편성해 운용하고 수시로 야습을 감행함으로써 일본군을 교란했다. 여기에 일본군은 성 안으로 가는 물줄기를 막아 독성산성을 고립시키려 했지만 오히려 조선군이 제방을 막고 있던 일본군을 야간에 기습하여 단수시도 마저도 차단한다.
그리고 전라도 도사 최철견이 의병을 모집해 권율을 구원하기 위해 오자 일본군은 전의를 상실하고 5일 만에 산성에서 철수했다. 이에 권율은 기병 추격조를 편성하여 철수하는 일본군에게 피해를 입혔다.
이로써 경기도 일부가 수복되었고 명나라 원군이 오고 곳곳에서 의병이 일어나는 가운데 1593년이 가까워 갔다.
4. 의의
이 전투 이후 조명연합군이 평양성을 수복했다는 소식을 들은 권율은 근왕군 대부분을 경기도 지역 탈환작적에 배치하고 자신은 한강을 건너 행주산성에 입성, 남하하는 조·명 연합군에 호응해 일본군이 주둔 중이던 한양을 공격할 기회를 노렸다. 권율이 부재한 와중에도 선거이와 황진의 활약으로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주둔하던 죽주산성을 수복했고 경기도 지역에서의 교전을 이어나간다.그리고 이때쯤, 간크게도 매사냥을 나간 다이묘 나카가와 히데마사를 매복한 조선군이 사로잡는 어이없는 일도 일어난다.
하지만 벽제관 전투에서 명나라 군대가 패하면서 전황은 급격히 역전, 도리어 한양과 가장 가까지 위치한 권율이 일본군의 공격을 받는 신세가 된다.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행주 대첩 참조. 결국 독성산성 전투는 임진왜란 3대첩인 행주 대첩의 예고편이 되는 전투였던 셈으로, 이 전투의 승리가 없었다면 행주대첩의 승리도 없었을 것이다.
독산성 전투 설명 영상(8분부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