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9:26:50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

임진왜란 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여주 전투[朝]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朝] · 율포 해전[朝] · 여주 전투[朝]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日]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
第二次 蔚山 慶尙左兵營 奪還 戰鬪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파일:울산병영성 항공사진.jpg

▲ 전투가 벌어졌던 당시 울산병영성의 현재 모습
시기 1598년 (선조 31년) 1월 12일 ~ 1월 14일
(1597년 음력 12월 6일 ~ 1597년 12월 8일)
장소

조선 경상도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및 약사동 일원
원인 가토 기요마사 울산도호부 점령
- 조선-명 연합의 일본군 본진 소탕 및 공격
교전국 <rowcolor=black> 조선-명 연합
(공세)
일본
(수세)
주요 인물
조선 지휘관

파일:조선 어기.svg 권율
파일:조선 어기.svg 정기룡
파일:조선 어기.svg 김귀희
파일:조선 어기.svg 장운익
지휘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88px-Jyanome_%28No_background_and_Black_color_drawing%29.svg.png 가토 기요마사
파일:600px-Japanese_crest_Hana_Kurusu.svg.png 고니시 유키나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88px-Japanese_Crest_Nabesima_Gyouyou.svg.png 나베시마 나오시게[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88px-Japanese_Crest_Tachibana_Mamori.svg.png 다치바나 무네시게
파일:600px-Japanese_crest_Turu_no_maru(White_background).svg.png 모리 가쓰노부
파일:600px-Japanese_crest_Hana_Kurusu.svg.png 아사노 나가마사
파일:600px-Japanese_crest_Hana_Kurusu.svg.png 아사노 요시나가
파일:600px-Japanese_crest_Hana_Kurusu.svg.png 하치스카 이에마사
명 지휘관

파일:명나라 국기.png 양호
파일:명나라 국기.png 마귀
파일:명나라 국기.png 천만리
병력 연합군: 13,300명
- 조선군: 10,300명
- 명군: 3,000명
일본군: 8,000명~10,400명[2]
피해 피해규모 불명 사상자: 400명~500명 (추정)
결과 조선-명 연합의 승리
- 조명연합군의 경상좌도병영 · 울산도호부 탈환 및 울산지역의 거점 확보
영향 가토 기요마사 포위
- 울산성 전투 개시

1. 개요2. 상세3.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1598년 1월 12일부터 1598년 1월 14일[3]까지 벌어진 조명연합군과 일본군에 의해 벌어진 2일간의 전투. 이 전투의 승리로 울산성 전투가 일어날수 있었다.

2. 상세

때는 1598년 1월 12일(양력)으로, 당시 조명연합군이 경주지역을 완전탈환한 뒤에 전열을 재정비 후 울산 경상좌도 병영일대의 일본군과 2일에 걸친 전투이다. 이때 이 전투가 실패로 끝났으면 울산성 전투는 조금 뒤 또는 더 늦게 일어났거나 아예 일어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전투는 일본군이 조명연합군이 보낸 정탐병과 일부 작은 전투가 있었던 직후 시작되었다. 당시 상황에서는 일본군이 어느 정도 유리한 위치를 점령하고 있었는데, 이는 병영성의 고지가 주변보다 월등히 높았던 것과 병영성 서쪽의 산(고지)을 일본군이 미리 점령한 탓이었다. 하지만 고니시 유키나가의 지시에 의하여 함월산에 있던 일본군은 대부분 울산성으로 후퇴하였다. 결국 병영성의 병력 2000명과 함월산의 병력 6000명이 고니시 유카나가 소속 일본군의 최전선이자 방어선이었다. 거기다가 울산병영성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였다. 병영성의 성벽과 돌들도 울산왜성을 쌓으며 헐었기 때문에 함락은 예고되었던 결과이고, 일본군은 결국 조명연합군에 의해서 퇴각하였다. 그리고 병영일대는 2일 만에 조명연합군에 의해서 완전히 점령되었다.

3. 같이 보기



[1] 이방자 비의 외가인 나베시마 가문의 시조 [2] 연구마다 결과가 다르다. [3] (음력 1597년 12월 6일 ~ 1597년 12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