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2:09:59

상경

1. 단어
1.1. 하다, 수도로 올라가다
1.1.1. 타 언어에서
1.2. , 상업/경제 분야1.3. 기타
2. 직급
2.1. , 의무경찰의 계급2.2. , 조선시대 내시부2.3. , 조선시대 판서
3. 지역
3.1. , 수도 중 하나
3.1.1. 한국3.1.2. 기타3.1.3. 관련 문서

1. 단어

1.1. 하다, 수도로 올라가다

사전적 의미로는 지방에서 수도로 가는 것을 말한다. 즉 이에 따르면 한국 사람이 상경이라는 표현을 쓰면 서울특별시로 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선 꼭 서울특별시 지역이 아니어도 수도권(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괄한다. '입경()'이라고도 한다.
예시
* 광주광역시나 대구광역시에서 ( 서울로) 상경한다.[1]
* 정부의 대책에 불만을 가진 농민들은 정부청사 앞에 가서 상경 집회를 하였다.
* 지방에서 서울로 많이 상경했다.
만약, 고향이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수도권보다 북쪽에 위치하더라도 수도권으로 갈 때는 관습상 「上京한다」 혹은 「올라간다」 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남북분단의 현실상 수도권 지역은 대한민국 북서쪽 끝 위치가 되었고, 결국 수도권보다 더 북쪽에 있는 북한[2] 지역을 제외하면 실제로도 수도권으로 갈 땐 북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나마 수도권 지역이 지리적으로도 남쪽이면서 '상경'이라는 말을 쓸 만한 곳은 고성군 같은 강원도 북부 지역 정도이다.

여담으로 지금은 남북으로 갈라져버려 이런 사실이 있었다는 것도 알기 어렵게 됐지만 원래 개성 사람들은 조선 시대 내내 서울( 한양) 갈 때 이 용어나 한양으로 '올라간다'[3]는 말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원래 자기 고장( 개경)이 수도였는데, 그걸 망할 이성계 놈에게 부당하게 빼앗겼다고 생각했다고.

위 개성 사례에서도 언급되듯이 서울의 격을 맨 위로 두고 나머지 지역을 그보다 아래로 두는 뉘앙스가 강하다. 서울(京)이 (上)라는 단어 그대로의 의미에서도 드러난다. 그래서 서울중심주의에 빠진 용어로 보고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반대말은 '하경()'. 근데 하경이라는 말은 목적지가 포괄적이어서 그런지 거의 안 쓰인다. 오히려 귀향이 더 많이 쓰이는 편이다. '하향하다', '내려가다'라고도 한다.

1.1.1. 타 언어에서

중국어에서 온 단어이지만 중국에서는 한국처럼 자주 쓰이지 않는다. 한국과 달리 수도집중현상이 심하지 않기에 평생 베이징을 가보지 않는 경우도 있고 일반적으로 자금성 관광을 위해 딱 한 번만 베이징으로 가보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도 이 표현을 쓰는데,[4] 현대에는 주로 도쿄(東京)로 향하는 것을 뜻하지만[5] 일본 역사의 특수성상 원래 수도였던 교토(京都)를 향할 때도 이 말을 쓰기도 한다. ' 상락(上洛, じょうらく)'이라는 말도 상경과 같은 뜻인데 과거 일본에서 중국의 고도인 낙양(洛陽)을 도읍의 상징으로 삼은 것에서 착안하여 나온 단어로 국어사전에도 있는 말이지만 이는 옛 일본, 주로 센고쿠 시대를 다룬 매체에서 쓰인다. 여기서 향하는 지역은 천황 무로마치 막부 쇼군이 있는 지금의 교토이다.

동양을 벗어나서 영국식 영어도 go up to London이라고 지방에서 런던을 갈 때는 올라간다 표현을 쓴다. 이런 이유로 영국 철도에서는 수도인 런던 방향을 동서남북 방위에 상관없이 상행으로 취급한다. 비슷한 이유로 스코틀랜드에서는 에딘버러를, 아일랜드에서는 더블린을 올라간다고도 하는 듯 한다. It's a Long Way to Tipperary에도 런던에 가는 것을 Up to라고 한다.

1.2. , 상업/경제 분야

대학의 학과 중 경제학과, 경영학과, 통계학과, 회계학과, 세무학과, 무역학과 등 상업 활동과 관련된 학문들을 다루는 학과를 묶어 상경(商經)계열 혹은 상경계통이라고 칭한다.

대부분의 대학의 경우에는 상과대학 소속의 학과나 학부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 경영학 선호현상에 따라 상과대학에서 경영학을 분리시켜 따로 경영대학이라는 단과대학을 만드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6]

상경계열 학과는 문과 수험생들이 진학하는 인문사회계열이지만, 학부과정에서도 수학이 많이 필요하여 협문에 대칭되는 광문이라 불린다. 또한 공과대학과 같이 기업에서의 실무와 관련된 지식을 배우는 학문인 만큼 최근 인문, 사회과학 전공자에 비해서 그나마 취업 상황이 좀 더 낫기 때문에 문과 수험생들 사이에서 가장 선호하는 학과 계열 중 하나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과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2. 직급

2.1. , 의무경찰의 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무경찰 문서
번 문단을
계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군인의 상병과 마찬가지로 의무경찰에는 상경이라는 계급이 있다.

2.2. , 조선시대 내시부

조선시대 내시부 소속 정 9품의 하급직.

2.3. , 조선시대 판서

尙更과는 다르다. 위의 내시들과 달리 종1품~정2품 사이의 판서를 부르는 말이다.

3. 지역

3.1. , 수도 중 하나

한자문화권에서 여러 개의 수도를 두는(다경제) 나라들 중 (위 상)을 써서 '상경'이라는 이름 붙이는 경우가 있다. 대체로 북쪽에 위치한 도시에 붙이는 명칭이다. 말고 를 써서 ' 상도'라고 하기도 한다.[7]

3.1.1. 한국

3.1.1.1. 발해 왕조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2531a2><tablebgcolor=#2531a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京)
중경현덕부 동경용원부 남경남해부 서경압록부
부(府)
장령부 부여부 막힐부 정리부 안변부
솔빈부 동평부 철리부 회원부 안원부
독주주
영주 | 동주 | 속주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경용천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2. 고려 왕조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고려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개경
개성부
서경
평양부
동경
계림부
경기 경기 서경기 동경기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10도 관내도 중원도 하남도 강남도 해양도
산남도 영남도 영동도 삭방도 패서도
12목 양주 광주 충주 청주 공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승주 해주 황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도 양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개경
개성부
서경
평양부
동경
계림부
남경
한양부
강도
강화군
경기 경기 서경기 동경기 남경기
경기좌도
경기우도
5도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교주도 서해도
양계 북계(서북면) 동계(동북면)
8목 광주 충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승주 황주
도호부 안변도호부 안서도호부 안북도호부 안남도호부 }}}}}}}}}


개경의 별칭이었다. 동국이상국전집에서 나오는데 개경을 상도()라 하였다.

3.1.2. 기타

3.1.3. 관련 문서



[1] 사전적 의미상 '서울로'까지 쓰면 '역전 앞' 같은 겹말이 된다. [2] 북한 사람들은 애초에 수도권에 갈 일 자체가 없으니까 이런 용어를 쓸 일이 없고, 만약 공식/비공식적으로 수도권으로 갈 일이 생긴다고 해도 방남이니 탈북이니 하는 다른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3] 혹은 개성으로 되돌아올 때 '내려간다'라고 말하거나. [4] じょうきょう라고 읽는다. [5] 일제강점기 때도 저랬다. 경성역- 부산역- 부관연락선- 시모노세키역- 동경역의 구조. 이 때는 당연히 경성행이 하행, 부산행이 상행이었다. [6] 예를 들면 부산대학교가 상과대학에서 경영학과를 분리시켜 경영대학을 만들고, 나머지 학과를 묶어 경제통상대학을 신설하였다. [7] 여담으로 제나두(Xanadu)는 원나라 상도를 뜻하는 말이 서구권에 퍼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