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0:20

동경(고려)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고려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개경
개성부
서경
평양부
동경
계림부
경기 경기 서경기 동경기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10도 관내도 중원도 하남도 강남도 해양도
산남도 영남도 영동도 삭방도 패서도
12목 양주 광주 충주 청주 공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승주 해주 황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도 양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개경
개성부
서경
평양부
동경
계림부
남경
한양부
강도
강화군
경기 경기 서경기 동경기 남경기
경기좌도
경기우도
5도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교주도 서해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양계 북계(서북면) 동계(동북면)
8목 광주 충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승주 황주 }}}}}}}}}
||<|2><tablewidth=100%><width=13%><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edc89,#670000> 도호부 ||<-2><width=17%> 안변도호부 ||<width=17%> 안서도호부 ||<width=17%> 안북도호부 ||<width=17%> 안남도호부 ||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한 사로국
辰韓 斯盧國
BC 2c
경주
慶州
935
안동대도독부
安東大都督府
940
경주
慶州
1012
경주
慶州
1204
계림부
鷄林府
1392
경상북도 경주시
慶州市 1955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삼경
동경 (계림부)
東京 (鷄林府)
<colbgcolor=#fedc89><colcolor=#670000> 장관직 동경유수
전신 금성(金城)
설치 987년
폐지 1308년
후신 경상도 경주부
현재 경주시
1. 개요2. 역사3. 여담

[clearfix]

1. 개요

고려 초중기의 주요 도시 3경[1] 중 하나로 현재의 경북 경주시 일대를 이른다.

2. 역사

고려 시기 신라는 멸망했지만 그 과정에서 왕건은 신라의 구 세력을 그대로 포용했고[2], 옛 신라의 수도 금성은 동경으로 개칭되어 고려 초중기 동안에는 계속 중요한 도시로 남아있었다. 사실 수도 개경에도 황룡사 9층 목탑보다 높은 건물은 없었을 정도니[3] 고려시대에도 신라 때만큼은 아니더라도 개경에서 온 사람들이 감탄할 정도로 크고 화려한 도시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가 개성의 동남쪽이라지만 동쪽보단 남쪽에 더 가까운데도 동경이라 이름 지은 이유에 대해, 주보돈 교수는 이미 신라 때부터 경주를 동경이라는 별칭으로 불렀기 때문에 고려에서도 그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 주장하기도 했다.[4]

그러다 이후 무신집권기 신라부흥운동의 성격이 있었던 동경민란의 진압 이후 경주로 격하되어[5] 3경에서도 빠지고 '남경(서울)'이 추가되었고, 몽골 제국군의 침략으로 황룡사 목탑이 불타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곧 동경으로 복권되어 원간섭기 이후의 외왕내제 체제가 붕괴되기 전까지 여전히 고려의 주요 도시로 기능했다.

다만 이러다보니 흔히들 고려 후기에 3경에서 동경이 빠지고 남경이 그 자리에 들어갔다는 식으로 아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둘 다 떨어졌다. 고려사 지리지에 의하면 고려 후기 충렬왕 34년( 1308년) 때 남경과 동시에 각각 계림부와 한양부로 격하되었다.

3. 여담

조선시대에도 최상급 행정기관인 5개 부(府) 중 하나였을 정도로 위상은 상당했고, 경상도의 여러 도시들과 더불어[6] 경상도 내에서 손꼽히는 잘 나가는 도시였다.[7] 일제강점기 초반에도 전국 도시들 중에서 최상위권에 위치할 정도로 위상은 여전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부산, 대구가 경주를 역전하여 전국 대도시의 위상을 뺏겼다. 심지어 예전만 하더라도 경주 주변의 외항으로 경주에 장 보고 문화생활하러 오던 옆동네 포항, 울산한테도 밀리는 지방 소도시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나마 역사 유적들 많다고 재개발까지 제한된 지역이라 이후에도 이런 쪽으로나마 명성을 유지할 듯 싶다.[8]

개의 품종 중 하나인 동경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했다.

조선 헌종 때인 1845년에 나온 경주지역 지리지 이름도 동경잡기(東京雜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개경( 개성), 서경( 평양), 동경( 경주). 후술되어있지만 이후 남경(서울)도 추가된다. [2] 다만 후백제 견훤 서라벌 기습으로 이미 서라벌을 함락하고 약탈과 방화를 일삼은 전적이 있었다. 사실 이 사건 때문에 신라 지도부들이 완전한 고려 지지로 돌아섰다. [3] 개경에도 흥왕사처럼, 황룡사보다 옆으로 더 넓은 사찰은 있었다. 흥왕사는 조선의 경복궁과 맞먹는 면적을 자랑했다. [4] 그리고 평양이 개경의 서쪽보다는 북쪽에 가까운데도 고려시대에 북경이 아닌 서경이라 이름지은 이유도 엄연히 고구려와 신라를 모두 통합했다는 입장인 고려 정부가 신라의 옛 수도인 동경과 대등하게 대비하기 위해서 고구려의 옛 수도 평양을 서경으로 붙였다고 주보돈 교수는 추정하였다. [5] 고려, 조선시대에는 이런 식으로 반란이 일어나면 행정구역의 격을 낮추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경우가 밀성군(밀양)을 귀화부곡으로 격하시킨 사례다. [6] 대표적으로 상주시, 진주시, 안동시, 성주군. [7] 18세기의 인구 통계에 따르면 5번째로 인구가 많은 곳이었다. [8] 정작 경주보다도 더 쇠락한 도시는 상주로, 이 곳은 그나마 관광업으로라도 지금도 충분히 먹고 사는 편인 경주와 달리 이렇다 할 관광지도 없으며, 주변에 있는 문경시 김천시 같은 곳들도 규모가 그리 크지 않고 인프라도 별로라서 이들의 도움을 받기도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