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고려 행정구역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경 |
개경 개성부 |
서경 평양부 |
동경 계림부 |
||||||
경기 | 경기 | 서경기 | 동경기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10도 | 관내도 | 중원도 | 하남도 | 강남도 | 해양도 |
산남도 | 영남도 | 영동도 | 삭방도 | 패서도 | ||||||
12목 | 양주⋅ 광주⋅ 충주⋅ 청주⋅ 공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승주⋅ 해주⋅ 황주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도 양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경 |
개경 개성부 |
서경 평양부 |
동경 계림부 |
남경 한양부 |
강도 강화군 |
||||
경기 | 경기 | 서경기 | 동경기 | 남경기 | ||||||
경기좌도
|
경기우도
|
|||||||||
5도 | 양광도 | 전라도 | 경상도 | 교주도 | 서해도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양계 | 북계(서북면) | 동계(동북면) | |
8목 | 광주⋅ 충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승주⋅ 황주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도호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도호부 | 안변도호부 | 안서도호부 | 안북도호부 | 안남도호부 | }}}}}}}}} |
交州道
1. 개요
고려 시대의 행정구역. 5도 양계 중 하나.2. 역사
원주시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강원도 영서 지역과 경기도 동부 일부 지역이 교주도에 속했다.[1] 당시 지금의 경기도 지역 대부분은 양광도에 속했고, 태백산맥 건너 영동 지역은 동계에 속했다. 사실 이 도가 교주도라는 이름을 달고 있었던 기간이 아주 길지는 않았고 그 명칭은 춘주도, 동주도, 회양도 등으로 계속 바뀌었는데 한국사 교과서의 지도 등에는 대표적으로 교주도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교주(交州)는 강원도(북한) 회양군의 옛 지명이다. 지금의 도청인 치소는 교주, 동주, 춘주 등지에 있었으나, 춘주에 있는 기간이 가장 많았다.고려 말에는 동계의 남쪽 길쭉한 부분과 합쳐져 '교주강릉도'가 되었다. 이 시기의 영역은 현대의 강원도와 거의 같다. 위 지도를 보면 그럼 동계가 너무 작아지는 거 아닌가 싶을 수도 있지만, 고려 말엽에는 동북쪽 국경이 많이 넓어져서 동계(=동북면)도 훨씬 커졌다.[2] 이 동북면은 이후 함경도로 이어진다.
3. 관련 문서
[1]
현재의
포천시·가평군과
연천군이 이 지역에 속했다.
[2]
이 동북면에는 여진족 귀화자들이 많이 살았고 고려 이주민들도 많이 살아서 이 두 이주민들은 훗날 혼혈 등을 통해 현대 함경도 도민들의 기원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