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21:09:14

방위산업체/업체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방위산업체

1. 개요2. 아시아
2.1. 대한민국2.2. 일본2.3. 중국2.4. 이스라엘2.5. 인도2.6. 사우디아라비아
3. 유럽
3.1. 프랑스3.2. 영국3.3. 독일3.4. 스웨덴3.5. 스위스3.6. 벨기에3.7. 이탈리아3.8. 스페인3.9. 체코3.10. 러시아3.11. 우크라이나3.12. 오스트리아3.13. 노르웨이3.14. 튀르키예
4. 오세아니아
4.1. 호주
5. 아메리카
5.1. 미국5.2. 브라질

[clearfix]

1. 개요

국내 방산업체들의 경우 그동안은 내수시장 중심으로 작은 규모였던지라 대부분의 장비가 전문 생산업체에 의한 독점에 가까운 체제를 취해왔으나 2008년 이후 "일물자 다업체 조달제도"로 개편되어 2016년 8월 현재 1300여개 방산물품 중 약 60여개의 장비가 복수업체에 의한 조달 및 경쟁체제로 바뀌었고 앞으로도 대규모 설비 및 투자가 필요한 장비 외에는 이 제도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한다.

다만 이것은 장단점이 있다. 복수업체를 유지하기 위해 물량을 나누어 일감이 모자라면 회사들은 방산부문을 오래 유지해 기술을 개발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시장 자체가 작기 때문에 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가 적은 틈을 타고 복수업체 지정 조항을 악용해 안주하는 업체, 한탕을 노리는 가짜 방산업체가 끼어들 여지가 있다.

해외 방산업체들은 역사가 길거나 산업체 자체가 상당히 다국적 기업에 가깝게 돌아가는 편이다. 냉전 종식 이후 북미와 서유럽, 러시아 모두 대대적인 인수합병이 일어나서 과거에 비하면 숫자가 상당히 줄었다.[1]

2. 아시아

2.1. 대한민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방위산업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svg 파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 화이트.svg
파일:한화오션 CI.svg 파일:한화오션 CI_다크모드.svg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세로.svg 파일:현대로템 CI.svg 파일:현대로템 CI 화이트.svg
파일:현대위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LIG넥스원 CI.svg 파일:LIG넥스원 로고 화이트.svg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svg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로고.svg 파일: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로고 화이트.svg 파일:SNT모티브 CI.svg
파일:SNT다이내믹스 CI.png
파일:풍산그룹 CI.svg
※ 그룹 내 방산 계열사 시가총액 총합이 1조원 미만인 방위산업체는 문서 참고 }}}}}}}}}


방위사업청 방산업체 지정현황 ( 원 출처)

2.2. 일본

2.3. 중국

2.4. 이스라엘

2.5. 인도

2.6. 사우디아라비아

3. 유럽

3.1. 프랑스

3.2. 영국

3.3. 독일

3.4. 스웨덴

3.5. 스위스

3.6. 벨기에

3.7. 이탈리아

3.8. 스페인

3.9. 체코

3.10. 러시아

통합항공기제작사, 러시안 헬리콥터스, 유나이티드 엔진 코퍼레이션의 경우 러시아 정부가 주도하여 설립한 국영 지주회사 로스텍 산하 기업이다. 위 회사는 러시아가 재정난으로 인해 설립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랄바곤자보드도 로스텍 자회사이다.

3.11. 우크라이나

3.12. 오스트리아

3.13. 노르웨이

3.14. 튀르키예

4. 오세아니아

4.1. 호주

5. 아메리카

5.1. 미국

5.2. 브라질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노스롭, 그루먼, 록히드, 마틴, 보잉, 맥도널, 더글러스, 제너럴 다이나믹스같이 대부분 지금은 아니지만, 모두 과거 자기 이름으로 사업을 영위하던 군용기 회사였다. 물론 맥도널 더글러스, 버톨처럼 아예 이름이 사라진 회사도 많다. [2] 구 삼성테크윈 [3] 한화디펜스 [4] 구 한화 방산부문 [5] 구 삼성탈레스 [6] 구 대우조선해양 [7] 구 삼성항공우주산업+구 현대우주항공+대우중공업 항공부문 [8] 현대정공 방산사업부+현대 중공업 방산파트 [9] 구 기아중공업 [10] 아시아자동차 [11] 기아가 아시아자동차를 인수한 직후 회사 재정을 좋게 만들려고 한 것이 장륜장갑차의 생산을 시작으로 한 군용 차량 생산이었다. [12] 구 LG정밀 [13] 구 대우정밀 [14] 구 통일중공업, SNT중공업 [15] 구 쌍용중기 [16] 애시당초 STX 주식회사의 모태가 쌍용중공업이다. [17] 구 삼강엠앤티. 2019년 STX 조선해양 방산 부문 인수. [18] 기아차와 달리 특수 차량 위주로 주로 생산 납품한다. [19] 구 로우전자 [20] 대표적인 무기체계로 DAGAIE NG가 있다. 우리나라 해군에서도 쓰고 있으며, 삼양화학공업이 기술협력 생산으로 납품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