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9:44

광선강고속철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 징후고속철도 · 징광고속철도 · 징하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스타이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진친고속철도 · 징진도시간철도 · 징슝도시간철도 · 장다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징바오고속철도 · 진싱도시간철도 · 징탕도시간철도 · 징빈도시간철도 · 진바오철도[快] · 카츠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건설 진웨이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지다위안고속철도 · 슝신고속철도 · 화이싱도시간철도 · 베이징순환도시간철도 · 스헝창강도시간철도 · 진슝도시간철도
계획 바오어고속철도 · 인타이고속철도 · 진청도시간철도 · 더상고속철도 · 스슝도시간철도 · 진창도시간철도 · 딩창도시간철도 · 징스한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 랑줘도시간철도 · 탕준도시간철도 · 제2징친도시간철도 · 싱헝도시간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둥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 징하고속철도 · 선다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판잉고속철도 · 단다도시간철도[快] · 하자철도[快] · 무쑤이철도[快] · 하무고속철도 · 하치고속철도 · 둔바이고속철도 · 무자고속철도 · 창훈도시간철도 · 카츠고속철도 · 차오링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선단고속철도
건설 선바이고속철도 · 하이고속철도
계획 치하이만고속철도 · 퉁치고속철도 · 무둔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 징후고속철도 · 항융고속철도 · 융타이원철도[快] · 원푸철도[快] · 푸샤철도[快] · 샤선철도[快] · 자오지고속철도 · 지칭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후닝도시간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허벙고속철도 · 닝항고속철도 · 웨이룽고속철도 · 칭룽도시간철도 · 칭옌철도[快] · 옌퉁고속철도 · 후쑤퉁철도[快] · 푸샤고속철도 · 롄전고속철도 · 상항고속철도 · 허안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허푸고속철도 · 푸핑철도[快] · 창푸철도[快] · 융푸철도[快] · 진원철도[快] · 취주철도[快] · 쉬롄고속철도 · 쉬옌고속철도 · 후닝옌장고속철도 · 룽샤철도[快] · 간루이룽철도[快] · 지라이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화이샤오연락선 · 룽룽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항타이고속철도 · 창주도시간철도 · 지정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닝안고속철도 · 츠황고속철도 · 항원고속철도 · 쉬안지고속철도 · 웨이옌고속철도
건설 진웨이고속철도 · 퉁쑤자융고속철도 · 장산고속철도 · 웨이쑤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창주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후쑤후고속철도 · 허신고속철도 · 진젠철도[快] · 화이쑤벙도시간철도 · 화이쑤푸도시간철도 · 항취고속철도 · 진젠철도[快] · 취리철도[快] · 융저우철도 · 지빈고속철도 · 차오마도시간철도 · 항저우공항고속철도 · 닝화이도시간철도 · 화이헝철도[快] · 난룽철도[快] · 루안징고속철도 · 허칭고속철도 · 지짜오고속철도 · 양마도시간철도 · 루퉁쑤후도시간철도
계획 융타이원고속철도 · 원푸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안후이성) · 더상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후자항고속철도 · 옌이고속철도 · 닝쉬안도시간철도 · 허신루도시간철도 · 빈린고속철도 · 쑤베이도시간철도 · 닝벙도시간철도 · 창타이철도 · 허캉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항린지고속철도 · 전쉬안고속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 징광고속철도 · 광선강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산산고속철도 · 광산고속철도 · 선잔철도 · 친베이고속철도 · 친팡철도[快] · 팡둥철도[快] · 상항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황황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광주도시간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창이창고속철도 · 뤄사오철도[快] · 헝류철도[快] · 류난도시간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난친철도[快] · 하이난 일주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우시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광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지정고속철도 · 정지도시간철도 · 우황도시간철도 · 장지화이고속철도 · 창주탄도시간철도 · 메이산철도[快] · 난핑고속철도 · 광칭도시간철도 · 정카이도시간철도 · 우셴도시간철도 · 우샤오도시간철도 · 셴타오도시간철도 · 광포자오도시간철도 · 광후이도시간철도 · 광포순환선 · 수이선도시간철도 · 룽룽고속철도
건설 장산고속철도 · 선산고속철도 · 선장철도 · 샹징고속철도 · 징이고속철도 · 이창고속철도 · 이뤄고속철도 · 사오융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한이고속철도 · 이싱고속철도 · 핑뤄저우고속철도 · 난위고속철도 · 광잔고속철도 · 주자오고속철도 · 우한허브직통선 · 광허고속철도 · 광중아오고속철도 · 난선고속철도 · 징징고속철도
계획 허잔고속철도 · 자오뤄핑고속철도 · 난헝고속철도 · 잔하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이지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허우도시간철도 · 우위도시간철도 · 위베이도시간철도 · 위구이도시간철도 · 구이베이도시간철도 · 류허도시간철도 · 류싼도시간철도 · 광칭융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아오둥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상저우도시간철도 · 광선제2고속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청이고속철도 · 위쿤고속철도 · 위구이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위철도[快] · 청구이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청위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몐루고속철도 · 안류고속철도 · 미멍고속철도 · 지위철도[快] · 구이카이도시간철도[快] · 구이양순환철도[快] · 바난고속철도
건설 시위고속철도 · 청위중셴고속철도 · 위완고속철도 · 청다완고속철도 · 위첸고속철도 · 판싱철도
계획 위구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루쭌고속철도 · 수이판도시간철도 · 두카이도시간철도 · 류웨이도시간철도 · 웨이자오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 쉬란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인시고속철도 · 란위철도[快] · 인란고속철도 · 란신고속철도 · 란중도시간철도[快] · 란장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건설 시위고속철도 · 옌위어고속철도 · 시옌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허철도[快] · 우시고속철도
계획 인타이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관중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广深港高速铁路
Guangzhou - Shenzhen - Hong Kong Express Rail Link
광선강고속철도
}}}
파일:1200px-CR400AF-2031_at_Shoupakou_(20180506093817).jpg

CR400형 전동차
운행계통도
[ 펼치기 · 접기 ]
노선 정보
분류 고속철도
기점 광저우난역
종점 홍콩사이까우룽역
역 수 7
개업일 2011년 12월 26일
소유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홍콩 정부
운영자 중국국가철로집단, 홍콩철로유한회사
사용차량 CR400형 전동차
CRH380A 전동차
차량기지 광저우동차단
선전베이동차운용소
섹콩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142㎞
궤간 1435㎜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차내폐색식
신호장비 CTCS-3
최고속도 310㎞/h
개통 연혁 2011. 12. 26. 광저우난 홍콩사이까우룽

1. 개요2. 개통 연혁3. 운행4. 홍콩 구간
4.1. 편성4.2. 동감호4.3. 출입경
5. 역 일람 및 요금
5.1. 홍콩행 고속열차 발매규정

[clearfix]

1. 개요

광선강고속철도는 광저우와 홍콩을 잇는 구광철도[1]를 고속선으로 전용화한 노선으로 수도 베이징시 광둥성 광저우시를 잇는 징광고속철도를 접경도시인 선전시를 넘어 홍콩특별행정구까지 연장한 노선으로 광저우난역과 선전시의 선전베이역 그리고 홍콩특별행정구 홍콩사이까우룽역을 잇는다.

2. 개통 연혁

자세한 개통 연혁은 다음과 같다.

3. 운행

운행체계는 기점인 광저우난역을 중심으로 운행되며 서로 120km 정도 떨어져 있는 광저우-선전 구간의 경우 광저우둥역과 선전역을 잇는 광선철도의 기존선도 복복선을 깔아놓을 정도로 혼잡노선이기 때문에 고속철도 역시 광저우-선전만을 왕래하는 열차가 많다. 그 중 일부는 국경을 넘어 홍콩 영내로도 진입하여 싸이까우룽역에서 종착하며, 한편으로 선전-홍콩을 왕래하는 열차도 많다.

징광고속철도 등과 연계하는 노선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하루에 왕복 1회로 운행하는 베이징시역 - 홍콩사이까우룽역(G79/G80)이 있다. 이 G79열차는 베이징시역에서 오전 10시에 출발하며, 홍콩사이까우룽역까지 8시간 31분이 걸리며 복편인 G80열차는 홍콩사이까우룽역에서 오전 11시에 출발하며, 베이징시역까지 8시간 30분이 소요된다.

2019년 연말까지는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G69/70편은 광저우난역 행으로 변경되었다가 시위가 사라진 2020년 이후 원상복구되었다. 그러나 시위가 없어진 뒤 곧바로 들이닥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싸이까우룽역 자체가 폐쇄되면서 홍콩과 본토를 오가는 노선이 중단되었는데 2023년 1월 15일부로 중국본토 - 홍콩 고속철 운행이 재개되었다. [다시열린 中국경 르포] 3년만에 다시 달린 홍콩-중국 고속철

4. 홍콩 구간

2018년 9월 23일부로 광선강고속철의 홍콩구간이 개통되었는데 중국 본토 광둥성 선전시 경내에 위치한 푸톈역에서 홍콩 방면으로 31 km의 연장이 이뤄졌으며, 이 중에서 일부 구간(5km)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26km)은 홍콩의 영역이다. 이 26km 구간은 일국양제에 따라 중국 중앙정부 산하 국유기업이 아닌 홍콩정부 산하 MTR이 공사했으며 개통 이후 MTR 푸톈역~ 싸이까우룽역 구간의 선로를 관리하고 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Vibrant Express)[2]라는 이름으로 CRH380A 열차를 운행하여 고속철도 운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해당 구간은 전구간이 지하이며, 홍콩의 땅값이 무시무시하게 비싸고 선로가 지나가는 구룡반도 북부 삼수이포와 청사완 일대는 이미 아파트들이 빽빽히 우거진 빌딩 숲이라서 거의 대부분이 대심도이다. 도심 대심도 지하 운행에 따른 진동 등의 문제로 인해 이 구간은 200 km/h로 최고속력이 제한된다.[3]
이로 인해 홍콩에서 상하이시 베이징시로 가는 고속철도, 또는 그 반대로 가는 고속철도의 이용이 가능해지고, 선전/광저우까지도 기존선 국제열차보다 적은 시간이 든다. 홍콩에서 광저우까지는 45분 정도, 선전시까지는 20분 정도가 걸린다.

이 노선은 고속열차만 운행하는 전용노선으로 다른 MTR 노선과는 접점이 없으며, 튄마선 캄셩로드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섹콩차량기지가 차량사업소 및 비상시 승객 대피소 역할을 수행한다.

4.1. 편성

개통 초기부터 단거리 열차과 장거리 열차로 나누었는데 홍콩사이까우룽역과 광선강고속철도와 연결된 본토 내 44개 역[4]을 연결하는 장거리 고속열차는 본토측 푸싱호 열차를 투입하고 홍콩측 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Vibrant Express)는 단거리 구간인 광선강고속철 구간[5]에만 운행하게 하였다.

한편 홍콩 광둥성의 교류를 고려해 단거리 열차의 운행이 장거리에 비해 매우 많은데 그 중에서도 홍콩 선전시만을 왕래하는 열차가 많은 게 특징. 참고로 두 도시는 30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홍콩에서 가장 가까운 선전시에 공장 등이 대거 옮겨가 양쪽 수요가 어마무시하며 이미 동철선은 포화상태로 국경 근처 로우역 록마차우역은 늘 만원이며 중국 본토로 가는 도로들도 교통체증이 심해 수요 분산이 필요해서 단거리도 고속철도가 수요를 일부 떠맡게 된다. 그래도 광저우난역까지는 100km 이상으로 서울역- 대전역 경부고속철도와 대강 비슷하게 뽑히는 거리다.

4.2. 동감호

🚄 세계의 고속철도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ruby(新幹線, ruby=しんかんせん)] 파일:CRH 로고.svg
파일:CRH(푸싱호 계열) 로고.svg

파일: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 로고.svg 홍콩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NHSRCL 로고.svg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afrosiyob.jp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하라마인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알 보라크 로고.svg 파일:Whoosh.jpg
유럽 · 북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프랑스· 스위스
파일:TGV inOui 로고.svg
파일:OUIGO 로고.svg
파일:Renfe_AVE.svg 파일:TGV 리리아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LeFrecce.jpg
파일:italo.png
파일:Avanti West Coast.png 파일:LNER Logo.png
파일:GWR 로고.svg 파일:East_Midlands_Railway.png
파일:YHT 로고.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ICE 로고.svg 파일:sj2000.png 파일:삽산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오스트리아· 체코 러시아· 핀란드
파일:체코국철.png 파일:Railjet 로고.svg 파일:allegrotrain.png
(영업중단)
프랑스· 영국·벨기에·독일· 네덜란드 벨기에·네덜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파일:fyra-logootje.png
(폐지)
파일:NS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철 로고.svg Intercity Direct
파일:aplogo1.pn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발트3국 (폴란드)
파일:acela.png 파일:브라이트라인 로고.svg EIP 파일:RBLOGO.png
파일:Texas_Central_logo.png * 파일:CAHSRA.png
음영 : 건설 중 · 예정. 그 외의 로고 미정 목록은 해당 목록 참조. }}}}}}}}}

파일:vibrant-test-run-at-guangzhou-south.png

파일: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 로고.svg

장거리 구간에 투입되는 중국측 푸싱호 열차와 별도로 단거리구간에는 홍콩 지하철을 운영하는 철도회사 홍콩 MTR이 Vibrant Express 라는 열차를 투입하고 있다. 이 열차는 중국중차 칭다오 쓰팡(CRRC Sifang)에서 개발한 8편성짜리 CRH380A열차를 사용하고 있다.

4.3. 출입경

홍콩 내의 역이 홍콩사이까우룽역 하나뿐이므로 홍콩 내부 이동을 위해 고속열차를 이용하는 건 불가능하고, 역사에서 출입경 수속이 실시되어 내륙여행허가나 중국비자를 받아야 탑승이 가능하다.

중국에서 홍콩으로 오는 사람들도 중국 내부에서는 출입경 심사를 생략하고 홍콩사이까우룽역 도착할 때 받는다. 싸이까우룽역 역사 지하구간에 출입경심사장이 설치되어 홍콩에서 중국으로 입경할 때에는 중국 사전입국 심사를 실시하는데 이를 일지양검이라 한다. 이를 위해 출입경심사장에 홍콩 이민국 관원과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이민관리국 경찰들과 해관총서 세관원들이 상주한다. 또한 홍콩 홍콩사이까우룽역의 지하에서 홍콩출입경심사를 받고 걸어가다 보면, 홍콩구역과 중국내지구역이 노란 선으로 나눠져서 표시되어 있는데, 이곳부터는 리턴도 불가능하며 노란선을 기준으로 홍콩기본법/중국대륙법이 각각 적용되고, 중국출입경심사장이 보인다. 중국내지에서 홍콩으로 방문할 때는 중국출입경심사장-노란색국경선[6]-홍콩출입경심사장이 보인다. 노란경계선이 그어진 구역 쪽에는 면세점이 나온다.[7] 열차로 왕복할 수 있으므로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홍콩에서는 일국양제 위반이라며 논란이 있었다. 물론 이미 선전완 통상구에서도 오히려 홍콩 측이 이득[8]을 보며 하고있는 것이기도 했고 편리하기도 해서 현재는 쉰 떡밥이다.


5. 역 일람 및 요금[9]

한국어 중국어 영어 영업
거리
(km)
요금
(元)
소재지 연계노선
광저우난역[Vibrant] 广州南 Guangzhounan 0 0 광저우시 판위구 징광고속철도
구이광고속철도
난광철도
칭성역[Vibrant] 庆盛 Qingsheng 30 24.5 난사구
후먼역[Vibrant] 虎门 Humen 49 34.5 둥관시 후먼진
광밍청역[Vibrant] 光明城 Guangmingcheng 86 59.5 선전시 광밍구
선전베이역[Vibrant] 深圳北 Shenzhenbei 102 74.5 룽화구 항선철도
푸톈역[Vibrant] 福田 Futian 110 82.0 푸톈구
홍콩사이까우룽역[Vibrant] 香港西九龍 Hong Kong West Kowloon 142 215 홍콩특별행정구
※ 선전 푸톈역 → 홍콩사이까우룽역 요금 : ¥68 / ¥109 / ¥204

참고할점은 중국 내지와 홍콩을 오갈때 선전시 경계를 넘어선곳에서 승하차시 요금이 확 뛴다는 점이다. 위 표에서 선전시가 아닌 둥관시에 위치한 후먼역에서 탄다음 홍콩에서 하차시 ¥178.0이지만 약 37km 떨어진 선전시에 위치한 광밍청역에서 타면 ¥95.0으로 무려 ¥83이 내려가므로 광저우에서 타서 홍콩으로 간다면 선전에서 고속철을 환승해서 홍콩으로 가는게 좀더 저렴하다.

5.1. 홍콩행 고속열차 발매규정


[1] 이 노선은 선전역을 분기점으로 양 구간으로 나누는데 본토구간을 광선철도, 홍콩구간을 동철선으로 부른다. [2] 표준 중국어/ 광동어로는 둥간하오/동감호. 한국 한자음도 동감호다. [3] 영국 High Speed 1도 최고속력이 300 km/h이나, 런던 대심도 구간은 230 km/h로 제한되어 있다. [4] 광저우를 넘어 광둥성 곳곳과 베이징, 상하이, 푸저우, 쿤밍, 창사, 샤먼 등 광둥성 바깥 지역 [5] 홍콩 -|- 선전 - 둥관 - 광저우 [6] 이 선을 기준으로 중국대륙법/홍콩기본법이 각각 적용된다. [7] 이미 이런 방식의 출입경심사는 홍콩- 선전시 육상 경계에서도 이뤄지고 있다. 중국 관원들이 홍콩 영역에 넘어가 중국 입경 심사를 하며, 반대로 홍콩 관원들이 중국 영역으로 넘어가 홍콩 입경 심사를 한다. [8] 땅은 중국 내지 땅인데, 법은 홍콩법을 따르는 구역 [9] 광저우난역 출발, 2등석 기준 [Vibrant] MTR 소속 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열차 정차구간 [Vibrant] MTR 소속 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열차 정차구간 [Vibrant] MTR 소속 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열차 정차구간 [Vibrant] MTR 소속 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열차 정차구간 [Vibrant] MTR 소속 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열차 정차구간 [Vibrant] MTR 소속 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열차 정차구간 [Vibrant] MTR 소속 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열차 정차구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