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2:39:01

문부과학성

문과성에서 넘어옴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일본국 중앙성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4C97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내각부
총무성 법무성 외무성
재무성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
방위성 환경성
각성대신(주임대신) · 특별법에 따른 국무대신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문부과학성
文部科学省
{{{#!wiki style="margin:0 -10px; letter-spacing:-0.4px"
파일:문부과학성 로고.svg
<colbgcolor=#54b6cb><colcolor=#FFF> 약칭 문과성(文科省), MEXT[1]
설립일 2001년 1월 6일
전신 문부성, 과학기술청
대신 아베 토시코
부대신 다케베 아라타
노다카 아츠시
대신정무관 긴조 야스쿠니
아카마츠 켄[2]
사무차관 후지와라 쇼오
소재지
도쿄도 치요다구 카스미가세키3초메 2-2
(東京都千代田区霞が関三丁目2番2号)
내부부국
[ 펼치기 · 접기 ]
대신관방 (大臣官房)
종합교육정책국 (総合教育政策局)
초등중등교육국 (初等中等教育局)
고등교육국 (高等教育局)
과학기술 · 학술정책국 (科学技術 · 学術政策局)
연구진흥국 (研究振興局)
연구개발국 (研究開発局)
국제통괄관 (国際統括官)
외국 문화청 (文化庁)
스포츠청 (スポーツ庁)
소관 독립행정법인
[ 펼치기 · 접기 ]
국립특별지원교육종합연구소 (国立特別支援教育総合研究所)
대학입시센터 (大学入試センター)
국립청소년교육진흥기구 (国立青少年教育振興機構)
국립여성교육회관 (国立女性教育会館)
국립과학박물관 (国立科学博物館)
물질·재료 연구기구 (物質・材料研究機構)
방재과학기술연구소 (防災科学技術研究所)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 (量子科学技術研究開発機構)
국립미술관 (国立美術館)
국립문화재기구 (国立文化財機構)
교직원지원기구 (教職員支援機構)
과학기술지원기구 (科学技術振興機構)
일본학술진흥회 (日本学術振興会)
이화학연구소 (理化学研究所)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일본스포츠진흥센터 (日本スポーツ振興センター)
일본예술문화진흥회 (日本芸術文化振興会)
일본학생지원기구 (日本学生支援機構)
해양연구개발기구 (海洋研究開発機構)
국립고등전문학교기구 (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대학개혁지원·학위수여기구 (大学改革支援 · 学位授与機構)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직원 수 1,745명 (외국 제외)
260명 (문화청)
121명 (스포츠청)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조직4. 역대 문부과학대신5.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6. 기타
6.1. 서브컬처의 묘사
7. 진행 중인 사업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중앙성청의 하나. 한국의 교육부+ 과학기술부+옛 문화체육부[3][4] 즉, 합성시 문교과학부에 해당한다. 2008년 2월 25일 이명박 정부 당시의 교육과학기술부가 문부과학성을 모델로 만들어진 부서. 2001년 중앙성청 개편 당시 교육·문화 업무를 담당하던 문부성[5]에 과학기술청[6]의 과학·기술업무를 통합해 출범했다. 일본에서 통용되는 한자어 약칭은 '문과성'이지만, 한국에서는 예전 이름인 '문부성'이 약칭으로 더 많이 쓰인다.

문부과학성 설치법 제3조[7]에서는 '교육의 진흥 및 평생교육의 추진을 중핵으로 한 풍부한 인간성을 갖춘 창조적인 인재의 육성, 학술, 스포츠 및 문화의 진흥과 더불어 과학기술의 통합적인 발전을 꾀함과 동시에 종교에 관한 행정사무를 적절히 행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고 임무를 규정하고 있다.

교육, 과학기술, 학술, 문화 및 스포츠의 진흥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2. 역사

문부과학성의 변천사
문부성 과학기술청
문부과학성

3. 조직

4. 역대 문부과학대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문부경 (1869~1885)
초대·7대
오키 다카토
2대
기도 다카요시
-
타나카 후지마로
3대
사이고 주도
4대
테라지마 무네노리
5대
고노 도가마
6대
후쿠오카 다카치카
초대·7대
오키 타카토
전전 문부대신 (1885~1947)
초대
모리 아리노리
임시대리
오야마 이와오
2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3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4대
오키 타카토
5대
고노 토가마
6대
이노우에 가오루
임시대리
요시카와 아키마사
7·10대·임시대리
사이온지 긴모치
8대
하치스카 모치아키
9대
하마오 아라타
7·10대·임시대리
사이온지 긴모치
11대
토야마 마사카즈
12대
오자키 유키오
13·31대
이누카이 쓰요시
14대
카바야마 스케노리
15대
마츠다 마사히사
16대
키쿠치 다이로쿠
17대
고다마 겐타로
18대
쿠보타 유즈루
19대
가쓰라 다로
7·10대·임시대리
사이온지 긴모치
20대·임시대리
마키노 노부아키
21대
코마츠바라 에이타로
22대
하세바 스미타카
20대·임시대리
마키노 노부아키
23대
시바타 카몬
24대
오쿠다 요시토
25대
오오카 이쿠조
26대
이치키 키토쿠로
27대
타카다 사나에
28·34대
오카다 료헤이
29대
나카하시 토쿠고로
30대
카마타 에이키치
13·31대
이누카이 쓰요시
32대
오카노 케이지로
33대
에기 카즈유키
28·34대
오카다 료헤이
35대
미츠치 추조
36대
미즈노 렌타로
37대
쇼다 카즈에
38대
코바시 이치타
39대
타나카 류조
40대
하토야마 이치로
41대
사이토 마코토
42대
마츠다 겐지
43대
카와사키 타쿠키치
44대
우시오 후사노스케
45대
히라오 하치사부로
46대
하야시 센주로
47대
야스이 에이지
48대
기도 고이치
49대
아라키 사다오
50대
카와라다 카키치
51대
마츠우라 시게지로
52대
하시다 쿠니히코
52대
하시다 쿠니히코
53대
도조 히데키
54대
오카베 나가카게
55대
니노미야 하루시게
56대
코다마 히데오
57대
오타 코조
58대
마츠무라 켄조
59대
마에다 타몬
60대
아베 요시시게
61대
타나카 코타로
전후 문부대신 (1947~2001)
62대
타카하시 세이이치로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63-64대
모리토 타츠오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65대
시모조 야스마로
66대
타카세 소타로
67대
아마노 테이유
68-69대
오카노 키요히데
70대
오다치 시게오
71대
안도 마사즈미
72대
마츠무라 켄조
73대
키요세 이치로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74-75대
나다오 히로키치
74-75대
나다오 히로키치
76대
마츠나가 도
77대
나다오 히로키치
78대
하시모토 료고
79대
마츠다 타케치요
80-81대
아라키 마스오
82-83대
나다오 히로키치
84-85대
아이치 기이치
86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87대
아리타 기이치
88-89대
겐노키 도시히로
90대
나다오 히로키치
91-92대
사카타 미치타
93대
타카미 사부로
94대
이나바 오사무
95대
오쿠노 세이스케
96대
미하라 아사오
97대
나가이 미치오
98대
가이후 도시키
99대
스나다 시게타미
100대
나이토 타카사부로
임시대리
오히라 마사요시
101대
다니가키 센이치
102대
다나카 타츠오
103대
오가와 헤이지
104대
세토야마 미츠오
105대
모리 요시로
106대
마츠나가 히카루
107대
가이후 도시키
108대
후지오 마사유키
109대
시오카와 마사주로
110대
나카지마 겐타로
111-112대
니시오카 다케오
111-112대
니시오카 다케오
113대
이시바시 카즈야
114대
호리 고스케
115대
이노우에 유타카
116대
하토야마 구니오
117대
모리야마 마유미
118-119대
아카마쓰 료코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118-119대
아카마쓰 료코
120대
요사노 가오루
121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122대
오쿠다 미키오
123대
코스기 타카시
124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125대
아리마 아키토
126·127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128대
오시마 다다모리
129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과학기술청장관(1956년~2001년)
초대
쇼리키 마츠타로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2·3대
우다 고이치
4대
쇼리키 마츠타로
5대
미키 다케오
임시대리·6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7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8대
아라키 마스오
9대
이케다 마사노스케
10대
미키 다케오
11대
곤도 츠루요
12·13대
사토 에이사쿠
임시대리
이케다 하야토
14·15대
아이치 기이치
16대
우에하라 쇼키치
17대
아리타 기이치
18·19대
니카이도 스스무
20대
나메지마 나오키
21대
기우치 시로
22대
니시다 신이치
23대
히라이즈미 와타루
21·24대
기우치 시로
25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26대
마에다 카즈오
27대
모리야마 킨지
28대
아다치 도쿠로
29대
사사키 요시타케
30대
마에다 마사오
31대
우노 소스케
32대
쿠마가이 타이사부로
33대
가네코 이와조
34대
오사다 유지
35대
나카가와 이치로
36대
야스다 타카아키
37대
이즈루키 미치유키
38대
타케우치 레이치
39대
고노 요헤이
40대
미쓰바야시 야타로
41대
이토 소이치로
42대
미야자키 기이치
43대
나카무라 기시로
44대
사이토 에이사부로
45대
오시마 토모지
46대
산토 아키코
47대
타니가와 칸조
48대
나카지마 마모루
임시대리
미야자와 기이치
49대
와타나베 쇼이치
50대
에다 사쓰키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51대
오미 미키오
52대
다나카 마키코
53대
우라노 야스오키
54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55대
지카오카 리이치로
56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57대
타케야마 유타카
58대
아리마 아키토
59·60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61대
오시마 다다모리
62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문부과학대신 (2001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2대
도야마 아쓰코
3·4대
가와무라 다케오
5·6대
나카야마 나리아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7대
고사카 겐지
8대
이부키 분메이
9대
도카이 기사부로
10대
스즈키 무네오
11대
시오노야 류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2·13대
가와바타 다쓰오
14대
다카키 요시아키
15대
나카가와 마사하루
16대
히라노 히로후미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7대
다나카 마키코
18·19대
시모무라 하쿠분
20대
하세 히로시
21대
마쓰노 히로카즈
22·23대
하야시 요시마사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4대
시바야마 마사히코
25·26대
하기우다 고이치
27·28대
스에마쓰 신스케
29대
나가오카 게이코
{{{#!wiki style="margin: -16px -11px" }}}
30대
모리야마 마사히토
31·32대
아베 토시코
}}}}}}}}}}}}

5.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외국인의 일본 유학을 지원하는 일본 정부 국비 유학 장학금

6. 기타

1982년 교과서 검정과정에서 3.1운동데모와 폭동으로, 대한제국과 중국에 대한 침략을 진출로 수정하도록 지시한 일이 드러나 한중 양국의 비난을 받은 적이 있다. 이 일을 계기로 일본 교과서 검정과정에 근린 제국 조항이 도입되었다.

이 기관 산하의 문화청이 일본 상용한자 2136자의 음훈이 총망라된 '상용한자표(常用漢字表)'를 작성해 공개하고 있다. 출처

2020년 3월 중학생용 교과서에 독도를 대한민국이 불법 점거한다는 내용을 넣어 대한민국 외교부의 항의를 받았다. 하지만 내용의 수정이나 삭제는 이뤄지지 않았다.

6.1. 서브컬처의 묘사

뜬금없게도 걸즈 앤 판처에 실제 정부 조직으로 등장한다. 학원함을 문부과학성 학원함교육국(文部科学省学園艦教育局)에서 관리한다는 묘하게 세세한 설정 때문. 영세학교인 현립 오아라이 여학원 폐교시키려는 악의 축으로 등장하고, 이를 막기 위해 전차도를 한다는 것이 걸판의 주요 스토리. 이외에 기타 학원물에서도 폐교 위기의 학교 입장에서도 만악의 근원으로 불리고 있다고.

메르헨 메드헨의 주 무대인 쿠즈노하 여자 마법학교가 문부과학성에서 인정한 국가 공인 학교라는 것이 밝혀진다.

7. 진행 중인 사업

8. 관련 문서


[1] 'Culture, Sports, Science' 부분은 약자로 하면 발음이 똑같아지는 'X'(MECSST = MEXT)로 표기했다. 비슷한 예로는 LX 약자를 만들기 위해 Informatics의 cs를 X로 바꾼 한국국토정보공사가 있다. [2] 부흥대신 정무관 겸임 [3] 옛 교통부의 관광 부문이 이관되기 전 부처이다. [4] 관광은 국토교통성(한국의 국토교통부에 상당) 소관이다. [5] 영어 명칭은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Sports and Culture로, 現 교육부 출범 이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당시부터 1990년 노태우 정부까지 있었던 문교부를 생각하면 된다. '문부성'이란 명칭은 758~64년 식부성(式部省)이 잠깐 사용한 적이 있었다. 식부성이란 조선의 예조에 해당하는 곳으로, 교육과 의례 외에도 문관 인사도 담당했다. [6] 영어 명칭은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로, 중앙성청개편 이전까지 총리부(한국으로 치면 국무총리실) 소속이었다. 즉 구 과학기술처와 비슷한 형태. [7] 이곳의 붙임 파일 참조. [8] 한국의 외청(外廳)에 해당한다. 독임제의 외국은 청(庁) 합의제의 외국은 위원회이다. [9] 과거 지방에 있는 대학과 지방교육위원회의 시설정비에 관한 보조금 업무를 수행하는 "지방공사사무소"가 국립대학의 부지 내에 존재했지만, 국립대학의 법인화에 따라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