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국 중앙성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내각부 | 총무성 | 법무성 |
외무성 | 재무성 | 문부과학성 | |
후생노동성 | 농림수산성 | 경제산업성 | |
국토교통성 | 방위성 | 환경성 | |
각성대신(주임대신) · 특별법에 따른 국무대신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 |
방위장비청 防衛装備庁 | Acquisition, Technology & Logistics Agency |
|
<colbgcolor=#005dad><colcolor=#FFF> 약칭 | <colbgcolor=#FFF,#1F2023>ATLA |
설립일 | 2015년 10월 1일 |
장관 | 다케다 히로후미 |
방위기감 | 호카조노 히로카즈 |
상급기관 | 방위성 (防衛省) |
내부부국 |
|
소재지 | |
도쿄도
신주쿠구 이치가야혼무라초 5-1 (東京都新宿区市谷本村町5番1号) |
|
직원 수 | 1,813명 |
웹사이트 | | | |
|
[clearfix]
1. 개요
일본 자위대를 위한 무기 개발 및 구입을 일원화하기 위해 만든 방위성 산하 행정기구이다. 한국의 방위사업청에 해당한다.2015년 10월 1일, 무기 및 장비의 연구 개발을 담당하는 기술연구본부[1]와 조달 및 구입을 담당하는 장비시설본부를 통합해 만들어졌으며 1대 장관으로는 마지막 기술연구본부장인 와타카베 히데아키가 취임하였다.
2. 상세
창설 당시 직원 수는 1,800명으로 이 중 400명이 자위관이며, 예산은 1년 방위 예산의 40%에 해당하는 2조엔 정도를 배정받는다. 사실 방위성이 이러한 형식의 외청을 둔 것은 처음이 아닌데 과거에 있었던 방위시설청의 경우 2006년 관제 담합 사건으로 간부들이 체포되면서 폐지되고 방위성에 통합된 적이 있다. 이런 흑역사를 막기 위해서인지 부정부패를 사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20명의 감사원을 두는 한편 외부 감사도 이전보다 더욱 강화되었다고 한다.3. 진행 중인 주요 연구 & 개발
통합 미사일 방공 |
HGV 요격용 AD-SAM |
03식 지대공 미사일 개량형 함대공화(A-SAM) 및 FC 네트워크 |
ASM-3 (改) |
도서방위용 고속활공탄 |
도서방위용 대함미사일 |
레일건 |
|
|
고출력 레이저 무기 |
|
|
미일 차기 상륙장갑차 기술 공동연구 |
영국, 이탈리아와의 6세대 전투기 GCAP 공동개발 |
미국과의 함대공 극초음속 활공탄 요격 미사일 GPI 공동개발 |
4. 공개 행사
기술연구본부를 이어 매년 11월마다 방위기술심포지엄을 개최하는데 어지간한 일본제 무기 관련 최신 정보는 거의 대부분 이곳에서 나온다.
5. 조직
5.1. 간부
- 장관 1인
- 차장 1인
5.2. 부서
- 장관관방
- 장비관
- 심의관
- 총무관
- 인사관
- 회계관
- 감찰감사·평가관
- 장비개발관
- 항공장비연구소
- 육상장비연구소
- 함정장비연구소
- 전자장비연구소
- 선진기술추진센터
- 선박시설관
- 장비정책부
- 장비제도관리관
- 장비정책과
- 국제장비과
- 프로젝트관리부
- 프로젝트관리총괄관
- 사업회계관
- 통합장비계획관
- 사업감리관
- 장비기술관
- 기술전략부
- 혁신기술전략관
- 기술회계관
- 기술진흥관
- 기술전략과
- 조달관리부
- 조달총괄관
- 원가관리관
- 기업조사관
- 조달기획과
5.3. 조달사업부
- 군수품조달관
- 무기조달관
- 전자음향조달관
- 선박조달관
- 통신전기조달관
- 항공기조달관
- 수입조달관
5.4. 심의회
- 방위조달심의회
5.5. 평가 시설
- 삿포로 시험장 - 항공기 기체 및 엔진의 유체, 공력 시험, 전투차량 주행 시험
- 시모키타 시험장 - 총기, 화포 등 탄약류 발사 및 탄도 해석 시험
- 기후 시험장 - 레이더 등 센서 및 유도 무기 시험